목차
◈골절이란◈
◈골절의 원인◈
◈골절의 종류◈
◈골절의 분류◈
◈골절의 진단◈
◈골절의 증상◈
◈골절의 치료방법◈
◈골절 치유기간◈
◈골절 시 치유과정◈
◈골절의 응급처치◈
◈골절 간호◈
◈수술간호◈
◈일어나서 앉기, 보행 연습, 퇴원◈
◈참고문헌◈
◈골절의 원인◈
◈골절의 종류◈
◈골절의 분류◈
◈골절의 진단◈
◈골절의 증상◈
◈골절의 치료방법◈
◈골절 치유기간◈
◈골절 시 치유과정◈
◈골절의 응급처치◈
◈골절 간호◈
◈수술간호◈
◈일어나서 앉기, 보행 연습, 퇴원◈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무, 응급 처치가 필요한가?
치료 장침의 확인
② 필요한 경우에 응급 처치의 실시 : 쇼크나 출혈에 대하여
③ 환자와 가족에 대한 설명과 정신적인 지지 : 예측하지 않은 돌연한 사태에 혼란해 하고 있는 환자 및
가족에게 이후의 방침과 견해를 설명하고, 불안이나 걱정을 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④ 치료 처치의 준비와 보조
수술적 정복, 고정의 경우 "정형외과 수술과 간호"
도수 정복, 고정의 경우 "석고 붕대 고정과 간호" "견인 장치와 간호"
⑤ 정복 고정 후의 간호 : 환자의 행동 제한의 범위와 가동 범위에 따른 간호 계획의 실시
고정 사지의 근 등척성 운동과 등장성 운동
a. 등척성 운동 : 관절은 많이 움직이지 않지만 근육 섬유의 긴장이 증가되는 것이다.
b. 등장성 운동 : 관절을 움직임으로써 근육의 힘을 증가시킨다. 진행성 저항 운동을 한다.
c. 상지의 기능 : 손의 기능으로 쥐는 것, 드는 것, 치는 것, 미는 것 등의 기능과 수근관절의 운동과
척골 관절의 운동을 촉진, 견관절의 운동 기능을 회복한다.
d. 하지의 운동 : 기림 운동을 시작하면서 보행 훈련을 실시하다. 보행을 보조하기 위해 부목, 보행기 목발, 지팡이 등을 사용한다.
e. 관절 운동 : 고정 직후부터 가능한 범위 내에서 수동적, 능동적 운동을 한다.
비고정부의 관절 운동 가능 영역 훈련
일상생활 행동 보조
정신, 심리적인 간호
합병증의 간호
⑥ 재활 간호 :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격려하며 실시한다.
재활의학과에 의뢰한 환자
사회 복귀를 위하여 협조
◈수술간호◈
① 출혈 유무와 양 수술 부위에서의 출혈, 카테터에서의 배액량, 상태 관찰
② 하지 근력, 지각, 운동각, 운동 상태 확인 수술 전에는 없었던 하지 저림이나 이상 통증, 종창, 청색 증을 발견했을 경우에는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③ 마취에서 깨어나 2시간 이상 경과하던 보조에서 체위를 바꿔준다.
④ 다리 관절의 굴곡 운동 장애 유무 체크, 정맥혈 환류를 촉진시킨다.
◈일어나서 앉기, 보행 연습, 퇴원◈
① 의사의 지시에 따라 수술 후 수일 뒤에 침대를 조금씩 올려서(35도 45도 60도) 수술 전에 연습한
것에 따라 혼자 앉을 수 있도록 한다.
② 침대 끝에 앉기 (침대 끝에 앉아서 다리를 내리기)를 할 수 있으면 일어서는 연습을 한다.
③ 처음 일어서기 : 침대 끝에 앉은 환자에게 신발을 신기고, 간호사 2명이 환자의 양 겨드랑이를 부축하고
환자와 호흡을 맞춰서 일어선다. 현기증, 심계항진 등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잠시 그 자세를 유지한다.
요추를 받쳐주는 것이 없어 환자가 불안해 할 때에는 허리부분에 내의로 고정시키거나 수술 전에 사용
했던 코르셋을 착용한다. (피로를 느끼면 눕힌다.)
④ 혼자 일어설 수 있게 되면 보행 연습을 시작한다. 보행 연습을 시작할 수 있는 시기는 양다리를 접어서
60도~90도 올릴 수 있을 때이다.
⑤ 2주 째부터 근력 증강 운동을 추가하고, 일상생활상의 제반 주의사항을 지도하고 퇴원 준비를 한다.
⑥ 코르셋 착용 기간은 3개월~4개월이고, 그 이상이 될 경우에는 허리와 복근력 저하의 원인이 된다는 것을
지도한다.
⑦ 가벼운 노동에 종사하는 경우는 수술 후 2~3개월, 중노동에 종사하는 경우에는 수술 후 5개월 후에 제거한다.
▣참고문헌▣
·한윤복. 1983년. 정형외과 간호학. 수문사. 38∼40
·정형외과학 제 5판. 2002년. 대한정형외과 학회. 최신의학사. 563∼568,
·대한 정형외과학회. 1999년. 정형외과학 제5판. 69∼71. 572∼579 563∼568
·박정태, 박윤기. 2002년. 임상정형외과학 개론. 현문사. 28∼30. 366∼370. 384∼385
·서문자 외. 2000년. 넷째판 성인간호학 下Ⅱ. 수문사. 1269∼1278
·전시자 외. 1991년. 성인간호학. 현문사. 1098∼1103
·김조자 외. 2000년. 성인간호학 하(2). 현문사. 1077∼1092
·응급간호. 1998년. 김강주 외. 현문사 P.365∼369
·응급간호 매뉴얼. 2001년. 김광주 외6인. 현문사. P.485∼487
·응급처치법. 대한적십자사
·http://ciy119.com.ne.kr/emergency/emergency9.htm
·http;//www.kaot.or.kr/edu/lecture/fx.htm
·http;//www.webhospital.org/Main_Frame/main2.html
·http://ks016.hihome.com/all/recure04.htm
치료 장침의 확인
② 필요한 경우에 응급 처치의 실시 : 쇼크나 출혈에 대하여
③ 환자와 가족에 대한 설명과 정신적인 지지 : 예측하지 않은 돌연한 사태에 혼란해 하고 있는 환자 및
가족에게 이후의 방침과 견해를 설명하고, 불안이나 걱정을 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④ 치료 처치의 준비와 보조
수술적 정복, 고정의 경우 "정형외과 수술과 간호"
도수 정복, 고정의 경우 "석고 붕대 고정과 간호" "견인 장치와 간호"
⑤ 정복 고정 후의 간호 : 환자의 행동 제한의 범위와 가동 범위에 따른 간호 계획의 실시
고정 사지의 근 등척성 운동과 등장성 운동
a. 등척성 운동 : 관절은 많이 움직이지 않지만 근육 섬유의 긴장이 증가되는 것이다.
b. 등장성 운동 : 관절을 움직임으로써 근육의 힘을 증가시킨다. 진행성 저항 운동을 한다.
c. 상지의 기능 : 손의 기능으로 쥐는 것, 드는 것, 치는 것, 미는 것 등의 기능과 수근관절의 운동과
척골 관절의 운동을 촉진, 견관절의 운동 기능을 회복한다.
d. 하지의 운동 : 기림 운동을 시작하면서 보행 훈련을 실시하다. 보행을 보조하기 위해 부목, 보행기 목발, 지팡이 등을 사용한다.
e. 관절 운동 : 고정 직후부터 가능한 범위 내에서 수동적, 능동적 운동을 한다.
비고정부의 관절 운동 가능 영역 훈련
일상생활 행동 보조
정신, 심리적인 간호
합병증의 간호
⑥ 재활 간호 :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격려하며 실시한다.
재활의학과에 의뢰한 환자
사회 복귀를 위하여 협조
◈수술간호◈
① 출혈 유무와 양 수술 부위에서의 출혈, 카테터에서의 배액량, 상태 관찰
② 하지 근력, 지각, 운동각, 운동 상태 확인 수술 전에는 없었던 하지 저림이나 이상 통증, 종창, 청색 증을 발견했을 경우에는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③ 마취에서 깨어나 2시간 이상 경과하던 보조에서 체위를 바꿔준다.
④ 다리 관절의 굴곡 운동 장애 유무 체크, 정맥혈 환류를 촉진시킨다.
◈일어나서 앉기, 보행 연습, 퇴원◈
① 의사의 지시에 따라 수술 후 수일 뒤에 침대를 조금씩 올려서(35도 45도 60도) 수술 전에 연습한
것에 따라 혼자 앉을 수 있도록 한다.
② 침대 끝에 앉기 (침대 끝에 앉아서 다리를 내리기)를 할 수 있으면 일어서는 연습을 한다.
③ 처음 일어서기 : 침대 끝에 앉은 환자에게 신발을 신기고, 간호사 2명이 환자의 양 겨드랑이를 부축하고
환자와 호흡을 맞춰서 일어선다. 현기증, 심계항진 등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잠시 그 자세를 유지한다.
요추를 받쳐주는 것이 없어 환자가 불안해 할 때에는 허리부분에 내의로 고정시키거나 수술 전에 사용
했던 코르셋을 착용한다. (피로를 느끼면 눕힌다.)
④ 혼자 일어설 수 있게 되면 보행 연습을 시작한다. 보행 연습을 시작할 수 있는 시기는 양다리를 접어서
60도~90도 올릴 수 있을 때이다.
⑤ 2주 째부터 근력 증강 운동을 추가하고, 일상생활상의 제반 주의사항을 지도하고 퇴원 준비를 한다.
⑥ 코르셋 착용 기간은 3개월~4개월이고, 그 이상이 될 경우에는 허리와 복근력 저하의 원인이 된다는 것을
지도한다.
⑦ 가벼운 노동에 종사하는 경우는 수술 후 2~3개월, 중노동에 종사하는 경우에는 수술 후 5개월 후에 제거한다.
▣참고문헌▣
·한윤복. 1983년. 정형외과 간호학. 수문사. 38∼40
·정형외과학 제 5판. 2002년. 대한정형외과 학회. 최신의학사. 563∼568,
·대한 정형외과학회. 1999년. 정형외과학 제5판. 69∼71. 572∼579 563∼568
·박정태, 박윤기. 2002년. 임상정형외과학 개론. 현문사. 28∼30. 366∼370. 384∼385
·서문자 외. 2000년. 넷째판 성인간호학 下Ⅱ. 수문사. 1269∼1278
·전시자 외. 1991년. 성인간호학. 현문사. 1098∼1103
·김조자 외. 2000년. 성인간호학 하(2). 현문사. 1077∼1092
·응급간호. 1998년. 김강주 외. 현문사 P.365∼369
·응급간호 매뉴얼. 2001년. 김광주 외6인. 현문사. P.485∼487
·응급처치법. 대한적십자사
·http://ciy119.com.ne.kr/emergency/emergency9.htm
·http;//www.kaot.or.kr/edu/lecture/fx.htm
·http;//www.webhospital.org/Main_Frame/main2.html
·http://ks016.hihome.com/all/recure04.htm
추천자료
침상만들기 실습보고서 (기본간호학)
두부손상
수술실 장비 및 기계
간질에 관한 개념, 간호과정
운동상해에 대해서
OR case study- CRIF
정형외과 진단명과 수술명
두부손상 대상자 간호사례연구
[물리치료]근골격계 질환
Pneumonia (폐렴) 케이스 스터디
[간호학][근골격계 정리][구조와 기능] 주요질환,약어, 문헌고찰
[아동간호학] 신생아질환 - 출생시 손상(birth trauma), 신생아의 피부 문제, 생리적 합벽증
[골질환-골다공증과 골연화증] 골다공증의 분류와 발생요인 및 진단방법, 골다공증의 영양치...
CVA(cerebral vascular accident) = strok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