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복주 마케팅전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 금복주 ]
금복주의 뜻
금복주 마스코트
금복주 경영이념
금복주 경영목표
금복주 비전

2. 본론
금복주의 제품
금복주의 마케팅
금복주의 사회 봉사활동
금복주의 위법행위
[ 금복주 - 참소주 ]
참소주의 광고
참소주의 SWOT 분석
참소주와 참이슬의 비교

3. 결론

본문내용

다고 알려져 있다.
대나무 숯은 바로 이러한 대나무를 1000℃의 고온에서 구워 만들어낸 것으로 일반 숯보다 미세한 구멍이 많아 숯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흡수, 흡취 효과가 탁월하여 숯 가운데 최고의 숯으로 손꼽는다.
또한 대나무 숯으로 여과한 물, 즉 죽탄수는 알칼리성이라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신체의 밸런스를 유지시켜주며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에도 큰 효과가 있다.
이밖에도 수돗물에 대나무 숯을 넣으면 염소냄새를 제거하고 대나무 숯의 미네랄이 물 속에 녹아들어 물이 더욱 맛있게 변하게 되며 공기정화는 물론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줄여주기도 한다.
5. 독특하고 참신한 광고 및 이벤트
참(진)이슬(로)는 광고에서도 독특하고 참신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참眞이슬露 5대광고모델로 선정된 김태희는 깨끗하고 신선한 이미지로 참眞이슬露의 순순한 맛을 잘 표현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적이고 정적인 미의 이미지를 표현해온 참眞이슬露는새로운 변신을 통해 더욱 친근한 모습으로 고객 곁으로 달려갈 것이다.
또한 소비자 사랑을 지속적으로 실천해온 참眞이슬露는 꾸준한 제품 개선과 더불어 소비자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국내 영화 및 연극 등의 지원과 협찬을 아끼지 않는 한편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문화장르를 접하게 하고 있다.
참진이슬로는 인터넷을 통해 화제의 개봉영화를 볼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 중이며, 두꺼비 동창회 등 인간미가 묻어나는 캠페인도 전개하고 있다.
금복주 - 참소주
진로 - 참이슬
출시일
1994년 12월 4일
1998년 10월 19일
알콜 도수
21%
21%
브랜드
참소주란 좋은 맛 때문에 한번
마시면 다시 생각나는 소주
즉, 맛있는 소주를 말한다.
참眞이슬露는 참이슬이라는 진로 본래의 의미를 되살리고, 맑고 깨끗한 제품의 속성을 표현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
특징
참소주는 숙취해소에 좋은 아스파라긴을 첨가하여, 분자여과 공법으로 만든 술이며, 지하 162m에서 뽑아올린 암반천연수로 만들었다.
1000도의 고온에서 구워낸 대나무 숯으로 3번 여과하여 잡미와 불순물을 제거한 술로서, 마실 때 부담이 없는 소주이다.
제조방법
분자여과 공법
MSC(Molecular Service Carbon)
대나무 숯 여과공정
3. 결론
첫째, 금복주에는 공장 견학 시스템이 없다.
우리조는 몇주전 성서에 자리한 금복주 공장에 견학을 하기 위해 문의했더니 제조과정의 기술 유출 문제상 견학이 불가능 하다는 답을 들었다.
참소주 홈페이지에서 사이버 견학은 가능했지만 그림과 설명만이 있었다. 우리가 기대한건 직접 눈으로 보면서 질문도 해가며 직원들을 만나 상세한 설명과 이야기를 듣는 눈으로 보고 몸으로 체험하는 견학이었다. 어떤 기업이든 자기들만의 기술이 있으니 노출을 꺼리는 거라고 생각은 하고, 다른 브랜드들도 견학이 불가능 한지 알았다. 그러나 금복주의 경쟁사인 ‘진로’의 홈페이지를 통해 진로 공장에는 견학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견학 할 날짜를 정해 신청하면 직접 공장 견학이 가능했다. 금복주처럼 사이버 견학 시스템은 물론 직접 공장 견학이 가능한 것이다.
금복주는 기술 유출에는 걱정이 없겠지만 이렇게 견학을 요청한 우리가 장기적인 고객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먼저 지각하여야 할 것이다. 소주를 잘 먹지 않는 사람이지만 견학으로 인해 참소주를 알게되고 참소주 매니아가 되어 장기적인 고객이 되는 일이 불가능 한 일은 아니지 않은가. 더군더나 견학을 통해 대구사람들이 선호하는 참소주에 대한 신뢰를 키워 주위 사람들에게 전하게 된다면 그 보다 더 좋은 마케팅이 어디있을까. 백번 듣는 것보다 눈으로 한 번 보고 경험하게 된다면 더욱 믿을 수 있는 제품이 될 것이다.
최대한 기술 유출을 막는 선에서 견학을 가능하게 하다면 고객의 신뢰도를 높임은 물론 충성도 역시 증가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지방 시장에서 머무르고 있는 단계이다.
금복주에서 생산하는 참소주, 안동소주 등 우리에게 친숙한 브랜드는 대구, 경북 권에서 선호되고 있을 뿐이다. 수도권에서는 아직도 진로의 방어에 시장을 뚫지 못하고 있다. 몇 년 간 시도했지만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건 아직 어려운 일이다.
대구, 경북 지역에서 가장 선호되는 참소주는 수도권에서는 전체 소주 시장의 10% 점유율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렇게 참소주의 시장 점유율이 낮은 까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규정(희석식소주의 자도소주 50%이상 구입명령조항 신설(제 38조 7))
-희석식소주는 주류판매업자의 총구입수량중 50%를 자도소주로 우선 구입토록 의무화하고 그러나 전국시장점유율 10%이상의 제조업자가 속한 도 및 시는 구입의무를 면제전국시장점유율 산정시 수출분은 제외하고 수입분은 포함하여 계산토록함.-
은 95년 12월 29일에 신설된 조항이다. 하지만, 이 규정은 대법원의 판결(자도소주구입제도 사건 - 96헌가18 - 1996.12.26)에 의해 무효화 되었다.
따라서, 1999년 12월 28일 법률 제 06055호에 의해 전면개정되고, 법률 제 07031호에 의해 2003년12월 31일에 일부개정된 주세법에는 상기 조항이 폐지되었다.
그러므로 지역제한 없이 각 지역소주도 소주판매회사의 마케팅 능력에 따라 전국적으로 판매될 수 있다.
단, 아직도 전국적으로 유통되는 소주가 많지 않은 이유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기 지역 소주맛에 길들어져 있거나 아직도 자도소주규제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어 다른 소주를 찾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지역마다 자기 지역의 소주맛에 길들어졌기 때문에 다른 소주를 찾자 않는 사람들이 많다.
이 이유로 수도권에서는 진로가 90% 이상의 소주 시장을 거의 독점하고 있는 수준이다.
수도권은 소주라면 참이슬을 떠올릴 정도로 소주에 대한 이미지가 크다.
지금도 금복주는 수도권 소주시장을 뚫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 미미한 점유율에 불과한 참소주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 더욱 노력을 가해야할 것이다.
다양하고, 활발한 마케팅을 통하여 지역 브랜드에서 전국적인 선호도를 지닌 브랜드로 시장을 넓혀가는 것이 금복주의 과제이다.
대구사람으로서 수도권에서 “소주주세요” 했을때 참소주를 받을 수 있길 바란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7.27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83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