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식음료
- 식당의 어원 및 정의
-. 음료관리
식당의 종류
식사의 종류
식음료부문의 경영조직
객실부문의 경영조직
- 식당의 어원 및 정의
-. 음료관리
식당의 종류
식사의 종류
식음료부문의 경영조직
객실부문의 경영조직
본문내용
안내, 예약의 접수 및 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⑹ 소멜리어- 와인의 추천 및 주문, 와인의 준비 및 서비스, 와인의 수령 및 재고파악, 와인셀라 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⑺ 바텐더- 음료의 주문 및 서비스, 주문 받은 음료 및 칵테일의 준비, 바의 영업준비, 음료의 수령 및 관리, 바의 기물 및 소모품 관리, 음료의 재고파악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⑻ 웨이터와 웨이츄리스- 영업준비 및 마감, 식음료의 주문 및 서비스, 기물 및 소모품의 수령 및 준비, 재고파악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⑼ 오더테이커- 룸서비스에 근무하면서 전화로 객실고객의 식음료 주문을 받는 업무를 담당한다.
⑽ 수납원- 영업장에 근무하면서 계산서 작성, 영수증 발행, 계산 및 수납업무 등을 담당한다.
-. 식당의 서비스 시스템
⑴ 셉드랭 시스템 -이 서비스 시스템은 프렌치 서비스 브리개이드라고도 하는데, 고급고객을 대상으로 고급서비스를 제공하는 레스토랑에 적합한 서비스 시스템이다. 즉, 식당의 총책임자인 지배인이 있고, 그 밑에 각 조의 서비스를 책임지는 캡틴이 있으며, 각 조의 캡틴은 2~3명의 웨이터와 함께 담당구역의 서비스를 조직적으로 수행하는 서비스 시스템이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수준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근무조건이 좋은 반면에 인건비의 지출이 과대하다.
⑵헤드웨이터 시스템 -일반식당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헤드웨이터 밑에 식사서비스를 담당하는 밀웨이터와 음료서비스를 담당하는 드링크 웨이터를 두어 담당테이블의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치프드랭시스템을 축소시킨 시스템이다.
⑶스테이션웨이터 시스템 -원웨이터 시스템이라고도 하는데, 식당의 책임자인 헤드웨이터밑에 웨이터를 두어 몇 개의 지정된 테이블을 한명의 웨이터가 몇 개의 테이블을 맡아 주문을 받고 식사와 음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테이블을 치우는 일까지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서비스의 공백이 발생하므로 서비스의 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객실부문의 경영조직
1) Front Desk - 호텔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이고 주로 로비에 위치하여 고객의 숙박등록, 객실지정, 퇴실절차를 담당한다.
2) Telephone Switchboard - 복잡한 커뮤니케이션을 네트워크를 권장한다. 보통 private branch exchange (BPX)를 사용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이유에서 PBX Operater라고 부르기도 한다. 단순히 전화에 답하는 기능 이상으로 국제전화연결, Wake-up Call, 자동체계 감시, 비상연락망 관리등을 수행한다.
3) Reservation - 숙박의 예약을 접수하고 진행시킨다. 정확한 예약장부를 유지하여 초과예약되는 경우가 없도록 한다.
4) Unformed Service - 주차요원, 도어맨, 포터, 리무진 운전수 등이 포함된다. 고객을 가장 많이 접하는 직원들로서 고객의 체재기간 동안 최대한 고객의 편의를 돌본다.
5) Bussiness Center - 사업상 체재중인 고객에게 비서업무를 제공한다.
⑹ 소멜리어- 와인의 추천 및 주문, 와인의 준비 및 서비스, 와인의 수령 및 재고파악, 와인셀라 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⑺ 바텐더- 음료의 주문 및 서비스, 주문 받은 음료 및 칵테일의 준비, 바의 영업준비, 음료의 수령 및 관리, 바의 기물 및 소모품 관리, 음료의 재고파악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⑻ 웨이터와 웨이츄리스- 영업준비 및 마감, 식음료의 주문 및 서비스, 기물 및 소모품의 수령 및 준비, 재고파악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⑼ 오더테이커- 룸서비스에 근무하면서 전화로 객실고객의 식음료 주문을 받는 업무를 담당한다.
⑽ 수납원- 영업장에 근무하면서 계산서 작성, 영수증 발행, 계산 및 수납업무 등을 담당한다.
-. 식당의 서비스 시스템
⑴ 셉드랭 시스템 -이 서비스 시스템은 프렌치 서비스 브리개이드라고도 하는데, 고급고객을 대상으로 고급서비스를 제공하는 레스토랑에 적합한 서비스 시스템이다. 즉, 식당의 총책임자인 지배인이 있고, 그 밑에 각 조의 서비스를 책임지는 캡틴이 있으며, 각 조의 캡틴은 2~3명의 웨이터와 함께 담당구역의 서비스를 조직적으로 수행하는 서비스 시스템이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수준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근무조건이 좋은 반면에 인건비의 지출이 과대하다.
⑵헤드웨이터 시스템 -일반식당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헤드웨이터 밑에 식사서비스를 담당하는 밀웨이터와 음료서비스를 담당하는 드링크 웨이터를 두어 담당테이블의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치프드랭시스템을 축소시킨 시스템이다.
⑶스테이션웨이터 시스템 -원웨이터 시스템이라고도 하는데, 식당의 책임자인 헤드웨이터밑에 웨이터를 두어 몇 개의 지정된 테이블을 한명의 웨이터가 몇 개의 테이블을 맡아 주문을 받고 식사와 음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테이블을 치우는 일까지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서비스의 공백이 발생하므로 서비스의 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객실부문의 경영조직
1) Front Desk - 호텔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이고 주로 로비에 위치하여 고객의 숙박등록, 객실지정, 퇴실절차를 담당한다.
2) Telephone Switchboard - 복잡한 커뮤니케이션을 네트워크를 권장한다. 보통 private branch exchange (BPX)를 사용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이유에서 PBX Operater라고 부르기도 한다. 단순히 전화에 답하는 기능 이상으로 국제전화연결, Wake-up Call, 자동체계 감시, 비상연락망 관리등을 수행한다.
3) Reservation - 숙박의 예약을 접수하고 진행시킨다. 정확한 예약장부를 유지하여 초과예약되는 경우가 없도록 한다.
4) Unformed Service - 주차요원, 도어맨, 포터, 리무진 운전수 등이 포함된다. 고객을 가장 많이 접하는 직원들로서 고객의 체재기간 동안 최대한 고객의 편의를 돌본다.
5) Bussiness Center - 사업상 체재중인 고객에게 비서업무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