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교폭력의 개념
2. 학교폭력의 원인
1) 개인적 요인
2) 가정의 요인
3) 학교환경요인
4) 사회환경요인
3. 학교폭력의 피해현황
4. 학교폭력관련 법적문제 (신고과정포함)
5. 학교폭력 대안
6. 치료프로그램
7. 참고문헌
2. 학교폭력의 원인
1) 개인적 요인
2) 가정의 요인
3) 학교환경요인
4) 사회환경요인
3. 학교폭력의 피해현황
4. 학교폭력관련 법적문제 (신고과정포함)
5. 학교폭력 대안
6. 치료프로그램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전화로 협박이 온다면 그 내용을 녹음을 해 놓는 것이 필요하며, 괴롭히거나 놀린 흔적이 있으면 그것을 증거로 보관해 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피해자 본인이나 목격자인 친구의 일기, 편지 등의 기록물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신체적인 피해(상처, 멍자국)에 대한 것도 사진을 찍어두는 것과 같이 증거를 만들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자료를 신고를 할 때 함께 제출할 수 있으며, 보상을 원할 때는 관련 자료를 법원에 제출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⑧ 학교폭력을 신고하여 조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알고 싶어요!
피해자가 경찰서 민원실에 고소장을 접수 하여 경찰서 조사계에서 사건을 조사하게 됩니다. 또한 학교폭력은 형사계에 신고를 해서 바로 조사가 이루어질 수도 있습니다. 조사는 보통 피해를 먼저 조사하고 가해자를 조사하게 됩니다. 가해자의 가해 내용이 악하고, 재범에 우려가 있고, 도망갈 염려가 있거나, 다시 가해할 가능성이 있는지 등을 참고해서 구속 혹은 불구속을 결정하게 됩니다. 구속인 경우는 10일 이내에 검찰에 보내지고, 검찰에서는 가해자의 가해정도에 따라 기소유예 혹은 기소결정을 하게 됩니다.
피해자의 고소장 접수
↓
(경찰서 조사계)
사건 조사<조서 작성함>
↓
구속 혹은 불구속 여부 결정
↓
구속(10일 이내 검찰 보내짐)
↓
기소유예 혹은 기소결정됨
** 기소유예는 죄는 있으나 연령 신분을 종합하여 벌금이나 다른 것 등으로 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말하며 청소년의 경우 많은 경우 기소유예 판정이 납니 다.
** 기소의 경우 재판을 받게 되고 그 결과에 따라 형을 받습니다.
5. 학교폭력 대안
학교 폭력문제는 피해, 가해학생 당사자뿐만이 아니라 나아가 가정과 학교, 교육당국과의 협력으로 해결하여야 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폭력으로 인해서 많은 피해학생과 가해학생이 발생함에 따라 더욱 시급하게 학교폭력의 감소의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고 특히 학교폭력의 치료프로그램도 중요하지만 예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게 생각한다.
첫째, 학교 폭력 문제는 이에 관련된 학생만의 문제가 아니라 학교, 교사, 학생, 교육당국, 지역사회, 부모 등 모두의 문제로 서로 협력할 때 학교 폭력을 감소시키고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학교 폭력의 직접적인 당사자인 가해 학생이나 피해 학생만이 고통과 부정적 문제를 갖는 것이 아니며 이를 지켜보는 다수의 학생이나 부모, 학교, 지역 사회 모두 이로 인해 피해를 경험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 폭력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모든 주체가 참여하는 체계적 접근이 이루어질 때 비로소 그 효과가 나타난다.
둘째, 특히 학교 당국과 교사의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이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감소하는데 필수적이다. 학교 폭력의 발생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조치를 내리고, 가해학생, 피해학생, 부모 등을 중재하고 지역사회 관련기관 등과 연결하여 문제를 해결하는데 교사와 학교의 역할을 매우 중요하다.
셋째, 학교 폭력뿐만 아니라 청소년 문제에 대한 행정적이고 제도적인 대처가 반드시 필요하다. 예를 들어, 학교 내 상담 전담 교사나 학교폭력 담당 교사의 배치,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제작 및 공급, 교사, 학부모, 학생들 대상으로 학교폭력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대처 방안등에 관한 교육 기회의 확대, 지역사회 청소년 시설의 확대, 학교 폭력을 예방하고 학생들의 권리를 신장시키는 법안의 제정 등 제도적 부분의 개선이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
6. 치료 프로그램
① Mentoring :
청소년과 자원 봉사자인 성인(대학생)이 짝을 이루어 교육을 포함한 여러 가지
활동을 함께하는 프로그램이다. 일반적으로 자원봉사자인 성인의 역할에 따라
프로그램의 성공 여부가 결정된다.
② 부모교육: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 교육 방법이다.
(예를 들어, 훈육 방법, 보상과 처벌의 사용 방 법 등)
media 교육 (폭력매체에 최소한 적게 노출되도록 함)을 포함한 학교폭력의 피 해, 가해 징후에 대한 교육, 가족 관계 향상 프로그램.
③ 폭력예방 상담:
공격적인 학생을 대상으로 좌절과 적대감을 극복하는 방법을 훈련시키고 폭력을
사용하지 않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지도, 협상기술, 표현력 향상시킴
④ 학급관리ㆍ상호인식 프로그램(SMRTP : Self-Mutual Recognition Test
Program) :
집단구성원 상호간에 일어나는 집단역학적 심리상태와 행동에 대하여 자기들끼
리 상호인식한 감정이나, 자신에 대한 스스로의 이해정도를 진단할 수 있는 절
차적 도구를 말한다. (이후 SㆍMRTP로 명명함)
→ SㆍMRTP의 특징
주관적 진단법과 객관적 진단법의 복합구조로써 자기인식진단과 상호인식진단이 동시에이루어진다.
자기인식진단(SRT) : 「내가 본 나」는 어떠한가를 진단
상호인식진단(MRT) : 「남이 본 나」는 어떠한가를 진단
정성적요소(定性的要素)의 정량화기법(MSTQF)을 적용한다.
인간관계에 일어나는 「마음의 선」을 「경우의 수」로 정량화(定量化)하여 통계처리(Measurement & Statistical Technology of Qualitative Factors).
개인진단과 집단진단을 동시에 시행함으로써 개인의 인성과 집단공동체의식, 집단구성원간의 상호작용 및 그 조화도를 측정한다.
반복검사에 의한 연계분석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자정효과를 제고한다.
7. 참고문헌
정지민"학교폭력 피해-가해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학교적응 및 공격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석사논문, 1998
표갑수 「아동.청소년 복지론」, 청주대학교 출판부, 1998
박재윤, 박영숙, 홍영란, 1996; Astor, Behre, Fravil & Wailace, 1997;"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998
최자은"청소년의 폭력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1998
장일순"한국사회의 공격성 및 폭력 증가의 원인에 대한 연구", 경희대 사회과학 논문집, 1990
학교폭력대책국민협의회, www.ttastop.org
청소년폭력예방재단, www.jikim.net
⑧ 학교폭력을 신고하여 조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알고 싶어요!
피해자가 경찰서 민원실에 고소장을 접수 하여 경찰서 조사계에서 사건을 조사하게 됩니다. 또한 학교폭력은 형사계에 신고를 해서 바로 조사가 이루어질 수도 있습니다. 조사는 보통 피해를 먼저 조사하고 가해자를 조사하게 됩니다. 가해자의 가해 내용이 악하고, 재범에 우려가 있고, 도망갈 염려가 있거나, 다시 가해할 가능성이 있는지 등을 참고해서 구속 혹은 불구속을 결정하게 됩니다. 구속인 경우는 10일 이내에 검찰에 보내지고, 검찰에서는 가해자의 가해정도에 따라 기소유예 혹은 기소결정을 하게 됩니다.
피해자의 고소장 접수
↓
(경찰서 조사계)
사건 조사<조서 작성함>
↓
구속 혹은 불구속 여부 결정
↓
구속(10일 이내 검찰 보내짐)
↓
기소유예 혹은 기소결정됨
** 기소유예는 죄는 있으나 연령 신분을 종합하여 벌금이나 다른 것 등으로 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말하며 청소년의 경우 많은 경우 기소유예 판정이 납니 다.
** 기소의 경우 재판을 받게 되고 그 결과에 따라 형을 받습니다.
5. 학교폭력 대안
학교 폭력문제는 피해, 가해학생 당사자뿐만이 아니라 나아가 가정과 학교, 교육당국과의 협력으로 해결하여야 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폭력으로 인해서 많은 피해학생과 가해학생이 발생함에 따라 더욱 시급하게 학교폭력의 감소의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고 특히 학교폭력의 치료프로그램도 중요하지만 예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게 생각한다.
첫째, 학교 폭력 문제는 이에 관련된 학생만의 문제가 아니라 학교, 교사, 학생, 교육당국, 지역사회, 부모 등 모두의 문제로 서로 협력할 때 학교 폭력을 감소시키고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학교 폭력의 직접적인 당사자인 가해 학생이나 피해 학생만이 고통과 부정적 문제를 갖는 것이 아니며 이를 지켜보는 다수의 학생이나 부모, 학교, 지역 사회 모두 이로 인해 피해를 경험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 폭력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모든 주체가 참여하는 체계적 접근이 이루어질 때 비로소 그 효과가 나타난다.
둘째, 특히 학교 당국과 교사의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이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감소하는데 필수적이다. 학교 폭력의 발생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조치를 내리고, 가해학생, 피해학생, 부모 등을 중재하고 지역사회 관련기관 등과 연결하여 문제를 해결하는데 교사와 학교의 역할을 매우 중요하다.
셋째, 학교 폭력뿐만 아니라 청소년 문제에 대한 행정적이고 제도적인 대처가 반드시 필요하다. 예를 들어, 학교 내 상담 전담 교사나 학교폭력 담당 교사의 배치,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제작 및 공급, 교사, 학부모, 학생들 대상으로 학교폭력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대처 방안등에 관한 교육 기회의 확대, 지역사회 청소년 시설의 확대, 학교 폭력을 예방하고 학생들의 권리를 신장시키는 법안의 제정 등 제도적 부분의 개선이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
6. 치료 프로그램
① Mentoring :
청소년과 자원 봉사자인 성인(대학생)이 짝을 이루어 교육을 포함한 여러 가지
활동을 함께하는 프로그램이다. 일반적으로 자원봉사자인 성인의 역할에 따라
프로그램의 성공 여부가 결정된다.
② 부모교육: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 교육 방법이다.
(예를 들어, 훈육 방법, 보상과 처벌의 사용 방 법 등)
media 교육 (폭력매체에 최소한 적게 노출되도록 함)을 포함한 학교폭력의 피 해, 가해 징후에 대한 교육, 가족 관계 향상 프로그램.
③ 폭력예방 상담:
공격적인 학생을 대상으로 좌절과 적대감을 극복하는 방법을 훈련시키고 폭력을
사용하지 않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지도, 협상기술, 표현력 향상시킴
④ 학급관리ㆍ상호인식 프로그램(SMRTP : Self-Mutual Recognition Test
Program) :
집단구성원 상호간에 일어나는 집단역학적 심리상태와 행동에 대하여 자기들끼
리 상호인식한 감정이나, 자신에 대한 스스로의 이해정도를 진단할 수 있는 절
차적 도구를 말한다. (이후 SㆍMRTP로 명명함)
→ SㆍMRTP의 특징
주관적 진단법과 객관적 진단법의 복합구조로써 자기인식진단과 상호인식진단이 동시에이루어진다.
자기인식진단(SRT) : 「내가 본 나」는 어떠한가를 진단
상호인식진단(MRT) : 「남이 본 나」는 어떠한가를 진단
정성적요소(定性的要素)의 정량화기법(MSTQF)을 적용한다.
인간관계에 일어나는 「마음의 선」을 「경우의 수」로 정량화(定量化)하여 통계처리(Measurement & Statistical Technology of Qualitative Factors).
개인진단과 집단진단을 동시에 시행함으로써 개인의 인성과 집단공동체의식, 집단구성원간의 상호작용 및 그 조화도를 측정한다.
반복검사에 의한 연계분석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자정효과를 제고한다.
7. 참고문헌
정지민"학교폭력 피해-가해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학교적응 및 공격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석사논문, 1998
표갑수 「아동.청소년 복지론」, 청주대학교 출판부, 1998
박재윤, 박영숙, 홍영란, 1996; Astor, Behre, Fravil & Wailace, 1997;"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998
최자은"청소년의 폭력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1998
장일순"한국사회의 공격성 및 폭력 증가의 원인에 대한 연구", 경희대 사회과학 논문집, 1990
학교폭력대책국민협의회, www.ttastop.org
청소년폭력예방재단, www.jikim.net
추천자료
(학교폭력) 학교폭력의 개념, 발생원인과 실태 및 문제점과 대책 (A+대박자료)
[교육학]학교폭력, 청소년 집단따돌림의 실태와 원인 및 해결방안
학교폭력의개념,원인,특징,뉴스및상담사례,예방책
학교폭력의 발생 원인과 해결방안
청소년 문제 중 학교폭력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학교폭력 문제 원인 및 그 해결책 제시해 보기(최근사례중심 예를들어 일진회 등)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학교폭력과 왕따 문제에 대한 원인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학교폭력과 왕따문제에 대한 원인과 문제를 해결 하고 예방할...
요즘 학교폭력에 대한 공공과 민간의 끊임없는 예방 및 사후 조치에도 불구하고 학교폭력이 ...
학교폭력의 개념, 원인, 특성, 실태, 문제점, 해결방안
[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학교폭력과 ‘일진회’ 영향 - 일진회 개념, 일진 현...
정신건강)현대사회의 병리현상 중 가정폭력, 학교폭력, 왕따의 특징과 원인, 대책에 대하여 ...
학교폭력 개념,원인,유형분석/ 학교폭력 문제점과 사례분석/ 학교폭력 문제해결방안제안과 나...
2017년 2학기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학교폭력의 특성 및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