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롤로그
2. <매트릭스> 시리즈의 내러티브 분석
3. <매트릭스> 시리즈의 특수 효과 & 미장센 분석
4. 에필로그
2. <매트릭스> 시리즈의 내러티브 분석
3. <매트릭스> 시리즈의 특수 효과 & 미장센 분석
4. 에필로그
본문내용
유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매트릭스> 시리즈의 특수효과와 미장센은 영화의 전체적 내러티브와 함께 호흡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내러티브의 힘을 몇 배로 부풀려주고 있다. 즉 이런 요소들은 단순한 볼거리 과시용의 작위적인 표현들이 아니라, 표현 그 자체를 예술적 차원까지 끌어올림으로써 엔터테인먼트를 원하는 관객들과 진지한 무엇인가를 원하는 관객들까지 동시에 섭렵하고 있는 것이다. 만약 <매트릭스> 시리즈가 천문학적인 제작비를 들여가며 이런 시각적 요소들에 공을 들이지 않았다면, 영화사에 한 획을 긋는 문제작이 아니라 당돌한 실험작에 그치고 말았을지도 모른다.
4. 에필로그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매트릭스> 시리즈는 서로 다른 공리계의 공존이, 또는 서로 다른 문화와 생각들의 공존이 왜 생존에 필수적인가를 설파하면서 결론을 맺고 있다. 이는 인류가 왜 서로 다른 문화가 공존하는 것을 포용해야 하는지, 왜 서로 다른 생각을 허용해야 하는지를 대변하는 휴머니즘적 결말이다. 물론 이런 결말도 중요하긴 하지만, 내가 이 영화에 더욱 주목한 것은 바로 이 영화가 양산해낸 포스트모던적 담론들이다. <매트릭스>는 온갖 철학과 종교에서 따온 인용들로 가득 찬 혼성모방의 진수이다. 현대의 최첨단 기술이 신화나 신학 같은 고대적 모티브과 모순적 결합을 이룬다든지, 가장 대중적인 오락에 매우 난해한 지적 유희를 도입하여 대중과 엘리트를 가르는 구별을 모호하게 만드는 것 모두가 포스트모던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어떤 면에서는 그 정도가 심하여 키치적이기까지 하다. 하지만 <매트릭스>의 포스트모던적 방법론은 너무나도 치밀하여 현대 사회의 다양한 군상들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고 있음에는 틀림없다.
특히 실재와 허구라는 주제를 다룸에 있어 이 영화만큼 성공적인 케이스를 찾아보기 힘들다. 비록 성격이 다르긴 하지만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는 <너바나>라던가 <트루먼쇼>같은 영화들도 있고, <매트릭스>의 방법론은 그 영화들을 훨씬 뛰어넘는 훌륭한 결과물을 만들어냈다. 결국 <매트릭스> 시리즈를 분석하면서 이런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만약 진실이 잔혹한 것이라면 진실을 아는 것과 모르는 것 중 어느 쪽이 행복할지 꽤나 고민스러울 것이다. 매트릭스란 비록 영화 속 설정이긴 하지만 실제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세계도 매트릭스와 크게 다를 바가 없다. 매트릭스는 기호와 복제로 이루어진 세계다. 이는 실재하지 않지만 실재보다 더욱 실재처럼 느껴진다. 세계 곳곳에는 우리를 위협하는 진실이 수두룩하게 쌓여 있으며, 우리는 때때로 이것을 알면서도 모른 체 하는 경우가 많다. 즉 우리는 행복을 보장해 주는 매트릭스를 찾아다니고 있는 것이다. 이 영화는 이런 선택에 대한 훌륭한 고민의 장을 마련해주고 있다.
※ 참고 자료
매트릭스로 철학하기 / 슬라보예 지젝 외 / 한문화
영화 속의 문화 / 김성곤 / 서울대학교 출판부
매트릭스 시리즈가 우리에게 남긴 것 / 정성일 / 월간말
The Matrix Has You / 김정대 / 온키노
매트릭스의 철학,무엇을 말했는가 / 진중권
이처럼 <매트릭스> 시리즈의 특수효과와 미장센은 영화의 전체적 내러티브와 함께 호흡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내러티브의 힘을 몇 배로 부풀려주고 있다. 즉 이런 요소들은 단순한 볼거리 과시용의 작위적인 표현들이 아니라, 표현 그 자체를 예술적 차원까지 끌어올림으로써 엔터테인먼트를 원하는 관객들과 진지한 무엇인가를 원하는 관객들까지 동시에 섭렵하고 있는 것이다. 만약 <매트릭스> 시리즈가 천문학적인 제작비를 들여가며 이런 시각적 요소들에 공을 들이지 않았다면, 영화사에 한 획을 긋는 문제작이 아니라 당돌한 실험작에 그치고 말았을지도 모른다.
4. 에필로그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매트릭스> 시리즈는 서로 다른 공리계의 공존이, 또는 서로 다른 문화와 생각들의 공존이 왜 생존에 필수적인가를 설파하면서 결론을 맺고 있다. 이는 인류가 왜 서로 다른 문화가 공존하는 것을 포용해야 하는지, 왜 서로 다른 생각을 허용해야 하는지를 대변하는 휴머니즘적 결말이다. 물론 이런 결말도 중요하긴 하지만, 내가 이 영화에 더욱 주목한 것은 바로 이 영화가 양산해낸 포스트모던적 담론들이다. <매트릭스>는 온갖 철학과 종교에서 따온 인용들로 가득 찬 혼성모방의 진수이다. 현대의 최첨단 기술이 신화나 신학 같은 고대적 모티브과 모순적 결합을 이룬다든지, 가장 대중적인 오락에 매우 난해한 지적 유희를 도입하여 대중과 엘리트를 가르는 구별을 모호하게 만드는 것 모두가 포스트모던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어떤 면에서는 그 정도가 심하여 키치적이기까지 하다. 하지만 <매트릭스>의 포스트모던적 방법론은 너무나도 치밀하여 현대 사회의 다양한 군상들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고 있음에는 틀림없다.
특히 실재와 허구라는 주제를 다룸에 있어 이 영화만큼 성공적인 케이스를 찾아보기 힘들다. 비록 성격이 다르긴 하지만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는 <너바나>라던가 <트루먼쇼>같은 영화들도 있고, <매트릭스>의 방법론은 그 영화들을 훨씬 뛰어넘는 훌륭한 결과물을 만들어냈다. 결국 <매트릭스> 시리즈를 분석하면서 이런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만약 진실이 잔혹한 것이라면 진실을 아는 것과 모르는 것 중 어느 쪽이 행복할지 꽤나 고민스러울 것이다. 매트릭스란 비록 영화 속 설정이긴 하지만 실제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세계도 매트릭스와 크게 다를 바가 없다. 매트릭스는 기호와 복제로 이루어진 세계다. 이는 실재하지 않지만 실재보다 더욱 실재처럼 느껴진다. 세계 곳곳에는 우리를 위협하는 진실이 수두룩하게 쌓여 있으며, 우리는 때때로 이것을 알면서도 모른 체 하는 경우가 많다. 즉 우리는 행복을 보장해 주는 매트릭스를 찾아다니고 있는 것이다. 이 영화는 이런 선택에 대한 훌륭한 고민의 장을 마련해주고 있다.
※ 참고 자료
매트릭스로 철학하기 / 슬라보예 지젝 외 / 한문화
영화 속의 문화 / 김성곤 / 서울대학교 출판부
매트릭스 시리즈가 우리에게 남긴 것 / 정성일 / 월간말
The Matrix Has You / 김정대 / 온키노
매트릭스의 철학,무엇을 말했는가 / 진중권
추천자료
[국제경영] ABB사의 글로벌 매트릭스 전략 (경영전략 조직구조
디지털 시대의 인간존재(매트릭스와 이미지 중심)
성경에 따른 영화 ‘매트릭스’ 해석
SF영화의 실현가능성 (영화, 매트릭스 - The Matrix, 1999)
플라톤의 동굴이론을 통해 본 영화 매트릭스에 대한 철학적 이해
대구 중소기업 미리넷솔라 국제 경영 전략 수립 (BC, 매트릭스, BCG, GE ,PEST, SWOT)
조직구조의 현대모형 (프로젝트와 매트릭스)
ABB(Asea Brown Boveri아세아 브라운 보베리)의 매트릭스조직
[국가과외] 제 8 장 학교 매트릭스
[국가과외] 제8장 학교 매트릭스
[영화의 메시아적 메세지] 매트릭스2 - 리로디드
서비스의 본질,서비스 조직의 설계,시스템 설계 매트릭스,서비스 디자인,서비스 접점에 행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