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1. 문제제기
2. 저항담론의 쟁점들과 ‘급진화’와 ‘대중화’의 두가지 지향
3. 서구에서의 저항담론의 전개 및 그 쟁점 변화
1)급진주의 내부에서의 맑스주의 저항담론의 지배화
2)볼쉐비키형 혁명모델의 현실적 성공과 통일전선론 부상의 저항담론적 의미
3)2차 대전 이후의 저항담론의 변화--‘성공’의 도전과 ‘응전의 실패’
4)사회주의와 붕괴와 지구화의 도전
4. 한국에서의 저항담론의 전개와 분화
1)80년대 이전까지의 저항담론
2)80년대 이후의 저항담론--급진화의 구현과 사회주의의 부활
3)87년 이후 민주주의이행과정에서의 저항담론의 분화와 시민운동의 도전
4)사회주의 붕괴 이후의 저항담론의 분화--비(非)맑스주의적 급진주의의 등장
5)지구화의 도전과 응전--급진화와 대중화의 새로운 맥락
5. 요약 및 맺음말
2. 저항담론의 쟁점들과 ‘급진화’와 ‘대중화’의 두가지 지향
3. 서구에서의 저항담론의 전개 및 그 쟁점 변화
1)급진주의 내부에서의 맑스주의 저항담론의 지배화
2)볼쉐비키형 혁명모델의 현실적 성공과 통일전선론 부상의 저항담론적 의미
3)2차 대전 이후의 저항담론의 변화--‘성공’의 도전과 ‘응전의 실패’
4)사회주의와 붕괴와 지구화의 도전
4. 한국에서의 저항담론의 전개와 분화
1)80년대 이전까지의 저항담론
2)80년대 이후의 저항담론--급진화의 구현과 사회주의의 부활
3)87년 이후 민주주의이행과정에서의 저항담론의 분화와 시민운동의 도전
4)사회주의 붕괴 이후의 저항담론의 분화--비(非)맑스주의적 급진주의의 등장
5)지구화의 도전과 응전--급진화와 대중화의 새로운 맥락
5. 요약 및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