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수원천과 수원천 복개 공사에 대해
3. 수원천의 자연화 복원 성공과 그 요인
3.1 세계 문화유산 : 화성의 존재
3.2 시민단체의 적극적인 참여
3.3 행정적인 요인
4. 현재의 수원천
5. 수원천의 문제 - ‘자연화’ 하천인 것이 문제?
6. 결론
2.수원천과 수원천 복개 공사에 대해
3. 수원천의 자연화 복원 성공과 그 요인
3.1 세계 문화유산 : 화성의 존재
3.2 시민단체의 적극적인 참여
3.3 행정적인 요인
4. 현재의 수원천
5. 수원천의 문제 - ‘자연화’ 하천인 것이 문제?
6. 결론
본문내용
하천이다. 90년대 초반에는 한때 주민들의 악취 피해 방지나, 경관상의 이유로 인해 청계천처럼 전 구간 복개를 계획했을 정도인데, 이제는 하천이 공원화되고, 동식물이 무성한 곳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그것이 전부일까. 수원천은 인간에 의한 자연화 역시 인간의 손을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자연화의 가능성과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풀을 입히고, 나무를 심고, 물이 맑아진 것은 단지 인간이 보기 좋게 가꾸고 다듬는 조경에 그치지 않는다. 즉 그것은 단지 자연과 가까워 질려는 자연화일 뿐, '참다운 자연'이라는 존재를 잃은 것이다. 참다운 자연을 가꾸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인간의 흔적인 오염만을 지우면서 그대로 놔두어 보자. 복개까지도 될 뻔한 하천이 인간의 도움으로 이렇게까지 살아났는데, 이제 인간이 손을 좀 떼고, 멀어져야 할 때가 아닌지. 그렇게 되면 수원천은 모범적인 하천 정비 사례를 뛰어 넘어 궁극적인 목표인 진정한 도심 속의 생태공원에 도달하였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내용의 주요 출처
수원 시청 http://www.suwon.ne.kr
경기 환경 신문 http://www.ikenv.com
수원 환경 운동센터 http://www.ecosuwon.org
내용의 주요 출처
수원 시청 http://www.suwon.ne.kr
경기 환경 신문 http://www.ikenv.com
수원 환경 운동센터 http://www.ecosuwon.org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