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허의 교육사상과 제7차 교육과정 비교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상허의 생애와 상허사상의 형성배경
1.상허의 생애
2.상허사상의 형성배경
(1)父親 劉一優의 背景
(2)時代的인 背景
3.基督精神의 背景

Ⅲ.상허의 교육이념
1.나라사랑의 敎育理念
2.誠ㆍ信ㆍ義의 人間의 敎育理念
3.立志의 敎育理念
4.言行一致의 敎育理念
5.科學立國의 敎育理念
6.淸廉의 生活觀과 公共性의 敎育理念
7.未來指向的인 敎育理念

Ⅳ.제7차 교육과정의 내용
1.5, 31 교육개혁방안(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
(1)열린 교육사회, 평생 학습사회 기반 구축
(2)대학의 다양화와 특성화
(3)초ㆍ중등교육의 자율적 운영을 위한 학교 공동체 구축
(4)인성 및 창의성을 함양하는 교육과정
(5)국민의 고통을 덜어 주는 대학입학제도
(6)학습자의 다양한 개성을 존중하는 초 중등교육 운영
(7)교육공급자에 대한 평가 및 지원체제 구축
(8)품위있고 유능한 교원양성
(9)교육재정 GNP 5%확보
2.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
(1)기본방향
(2)개정 중점
3.대학 교육
4.열린교육

Ⅴ.상허의 교육사상과 제7차 교육과정과의 비교분석
1.성ㆍ신ㆍ의의 교육이념과 제7차 교육과정
2.과학입국의 교육이념과 제7차 교육과정
3.입지의 교육이념과 제7차 교육과정
4.미래 지향적 교육이념과 제 7차 교육과정

Ⅵ.결론

본문내용

환과 실천이 이루어질 때 가능하다고 본다.
이상과 같은 내용을 귀감으로 삼고 현재의 우리나라 교육현장의 실태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오늘날 학교교육의 문제점으로 다인수 학급, 교과서 위주의 획일적 수업, 과정보다는 결과를 중시하는 교육풍토, 열악한 교육환경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현실로는 국가나 사회가 필요로 하는 창의성과 개성을 갖춘 인간을 육성하기 어렵다는 반성에서, 학습자가 교육의 주체가 되고 학생 개인의 인격과 자율성을 존중하는 교육으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다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인간이 주체가 되는 교육이 아닌 입시 위주의 교육은 결국 인간 자체가 목적이 아닌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 되어 버리는 무서운 인간가치 전도의 현상을 발생시킨다. 사회구조와 입시제도의 혁명적 개혁 없이는 이 인간 가치전도의 문제를 결코 해결해 나갈 수 없을것이다. 이 가치전도의 문제를 타개해 나가기 위해서는 바로 우리 건국대학교 부터 성ㆍ신ㆍ의 교시를 바탕으로 열린 교육의 구체적 실현을 위해 부단한 노력을 감수해 나가야 할 것이다.
우리 학교의 성ㆍ신ㆍ의 라는 인간중심의 교육이념을 학교 내에서만 역설할 것이 아니라,거국적 열린교육 실현을 위한 튼튼한 이론적, 실천적 방침으로 이해시키는 데 주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아울러, 상허의 교육이념이 이론만이 아닌 실천적 사항으로 건국대학교를 세우고 많은 교육적 사업에 헌신을 해 왔던 것처럼, 건국대학교 후예들도 이 땅에 열린 교육 실현을 위해 제7차 교육과정에서 밝힌 이론적 배경 수준에서 멈춰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실천적 구현 방안을 위해 우리대학이 앞장서서, 우리나라 대학이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제도적 문제점들을 개선해 나가는데 선도적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교육을 통해서 참되고 바람직한 인간상을 형성하려 했던 상허 유석창 박사, 그의 교육이념과 성ㆍ신ㆍ의 사상을 근간으로, 열린 교육체제로의 구체적 실현 가능성은 밝아 보인다. 우리 건국대학교의 변화와 개혁을 성급히 주장하기에 급급해 실질적, 실천적 방안을 세우고 실행해 나가는데 추호의 과오라도 있어서는 안될 것이다. 나아가 건국가족이 주체가 되어 한국대학이 지향해 나가야 할 교육개혁의 새로운 지표를 추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대학교육이 안고 있는 제반문제를 청산해 나가기 위해서 먼저 우리 대학교 부터 설립자인 상허 유석창 박사의 교육이념을 성실히 이행하여 열린교육으로 대학의 미래를 결정지어 나가야 할것이다.
각 주
1) 지도교수 : ...
2) 安商元, 「常虛 劉錫昶의 生涯와 精神」, 常虛思想의 照明(1), 常虛紀念事業會, 1985.
3) 상허기념사업회, 상허 유석창 전기, 건국대학교 출판부, 1981, p. 15.
4) 李東基, 「상허사상의 형성배경에 대한 고찰(Ⅱ)」, 상허사상 학생연구논문모음(1), 상허문화재단, 1990, p. 147.
5) 上揭書, pp. 20-30.
6) 박기용, 조용한 혁명을 위하여, 나라 기획, 1987, pp. 56-57.
7) 安商元, 前揭書, p. 10.
8) 安商元, 前褐書, p. 34 「건국대의 개교기념일을 5월 15일로 정한 것도 조선정치대학관의 개교일과 첫 강의일을 기초로 한 것이다.」
9) 최경은, 建國人의 가슴속에 뿌리내리고 있는 常虛의 敎育精神, 상허사상 학생연구논문모음(6), 상허문화재단, 1995, p. 2.
10) 조일문 외 2인, 상허 유석창 전기, 건국대학교 출판부, 1986, pp. 16-39.
11) 박기용, 조용한 혁명을 위하여, 나라기획, 1987, p. 17.
12) 이동기, 상허사상의 형성배경에 관한 고찰(Ⅱ), 상허사상 학생연구논문모음(1), 1990, p. 13.
13) 박기용, 조용한 혁명을 위하여, 나라기획, 1987, p. 99.
14) 박기용, 조용한 혁명을 위하여, 나라기획, 1987, p. 38.
15) 학술지 제3집, 총장 이임사, 건국대학교 출판부, 1961, pp. 5-6.
16) 김성수 : 중앙 보통학교를 창립한 선각자이적 민족문화의 계도자로 상허 유석창의 스승으로 모셔진다. 중앙고등 보통학교는 3ㆍ1운동의 책원지요, 민족교육의 전당이라 일컬어졌다.
17) 황해도 평산 출신의 목사, 정치가, 상허를 도와 사회영실비의료원원장, 조선정치대학 초대학장을 역임했고, 1950년에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납북되었다.
18) 조일문 外,前褐書, pp. 118-119.
19) 박기용 前揭書, pp. 58-59.
20) 常虛紀念事業會, 常虛 劉錫昶 傳記, 建國大學校 出版部, 1981, pp. 185-186
21) 建國大學校 出版部, 조용한 혁명을 위하여, p. 171.
22) 金 健, 건학정신,建大신문. 1985. 5. 20.
23) 손인수 외, 이성과 결단, 문우사, 1985, p. 207 참조
24) 常虛紀念事業會, 常虛 劉錫昶 博記,建國大學技 出版部, 1981, p. 87 참조.
25) 배상길, 常處敎育思想의 現代的 照明, 常虛思想學生硏究論文모음(1), 常虛文化財團, 1990, p. 246
26) 林彩植, 常虛 劉錫昶의 敎育思想硏究, 建國大學敎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990, p. 61.
27) 劉錫昶, 誠ㆍ信ㆍ義, 건대학보 제8호, 1960, p. 7.
28) 常虛紀念事業會, 常虛 劉錫昶 傳記,建國大學校 出版部, 1981, p. 219.
29) 권세진, 常虛의 生涯와 思想 연구, 常虛思想硏究論文모음(1), 常虛文化財團, 1990, p. 7.
30) 孫仁銖,前褐書, p. 116.
31) 孫仁銖, 前揭書, p. 117.
32) 孫仁銖, 前揭書, p. 118.
33) 권세진, 常虛의 生涯와 思想 연구, 常處思想學生硏究論文(1), 상허문화재단, 1990, p. 9.
34) 孫仁銖, 韓國人의 道와 美風良俗, 文音社, 1984, pp. 403-404.
35)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교육개혁 방안에 대한 교원의식조사, p. 5.
36)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교육개혁방안에 관한 교원의식조사, 1996, pp. 11-14
37) 교육부,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 1997. 2, p. 5.
38) 신교육 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 개혁 방안 해설, 교육월보, 1995, pp. 72-74.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5.08.09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1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