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만규의 교육사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생애

2. 사상관

3. 『조선교육사』를 통한 역사의식

4. 『가정독본』을 통해 본 가정교육관

5. 교육에 미치는 시사점

본문내용

한다.
자녀교육의 비결
1. 부모가 합심하라.
2. 부모가 먼저 실행하라.
3. 환경을 교육적으로 하라.
4. 여간 일에는 간섭 말라.
5. 자존심을 길러주라.
6. 사정과 행동을 살피라.
7. 칭찬과 벌을 법 있게 하라.
5. 교육에 미치는 시사점
이만규는 그의 업적에 비해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이는 그가 해방이후 월북했다는 점과 여운형과 같이 인민당에서 활동했기 때문이다.
그는 일제식민시기 동안 식민주의 교육에 대한 저항과 민족주의자로서의 활동, 일제 탄압으로 인한 옥중생활 및 해직교사로 지내는 등 현실에 굴하지 않는 강인함을 보여 주었다.
우리나라가 자주적 민족국가임을 늘 강조하였던 그는 진정한 애국자였던 것이다.
저서 『조선교육사』는 이러한 그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하게 한다. 교육의 시작은 역사를 바로 아는데 있다. 우리 역사를 소중히 여기고 아끼는 것은 참으로 중요하다.
일본의 역사왜곡 교과서는 그런 점에서 볼 때 역사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선조들의 잘못을 반성하지 않는 우를 범하고 있다. 이는 자국의 국민들을 어리석게 만들어 미래에 대해 그르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우리는 이만규의 삶과 그가 남긴 저서로 인해 진정한 애국의 길과 역사의 바른 인식을 되새겨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고성진 <이만규 교육사관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이만규의 조선교육사> 한국 교육 연구 통권 1권, 한국교육연구소 편집실 1989
박용규 <일제강점·‘해방공간’기 이만규의 기독교 인식> 한국사상사학회 2001
심성보 <이만규의 삶과 교육사상> 교육비평사 2004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2.26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21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