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실학주의 교육의 특성과 교육사상가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1)실학주의의 배경

2)실학주의의 의미

3)인문적 실학주의

4)사회적 실학주의

5)감각적 실학주의

6)실학주의 교육의 특징

7)사상가
-인문적 실학주의 사상가
-사회적 실학주의 사상가
-감각적 실학주의 사상가

본문내용

들 간의 계약이 필요하다고 보아서 사회 계약론을 주장한 사람이다.
(1)교육목적 : 신사양성(신체적, 도덕적, 지적인 면을 갖춘 자) 특히 체육을 강조
① 체육 : 철저한 단련주의에 기초. ex) 얇은 옷으로 저항력, 음식물은 빵과 우유만, 약은 복용 안됨, 의복은 활동 편 리, 충분한/규칙적 수면, 딱딱한 침대, 머리/발은 차게.
② 덕육 : 단련주의에 입각한 강경교육 ex) 부모님께 순종, 부모권위 확립, 욕망억제능력, 예절, 체벌 안됨.
③ 지육 : 학교교육보다 가정교사교육, 철저한 훈련, 동기유발(칭찬)
(2)교육방법 : 감각적 인상이 학문의 기초를 형성하므로 감각적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
(3)형식도야설 :
*7자유학과를 통한 인간의 정신능력(상상력, 추리력)을 도야할 것을 주장
*교육의 결과보다 과정을 중시하며, 인간의 전이능력을 인정(전이 효과중시)
*능력적 요소를 개별적으로 개발한 뒤 그것을 합함으로써 인간형성이 가능하다.
코메니우스:1592년 3월28일 현 체코공화국의 모라비아 지방에서 태어난 코메니우스는 종교적 차원을 넘어서 교육의 목적을 확산시킨 성직자로서 근대 교육론을 체계화한 사람이다. 코메니우스는 과학 정신과 철학적 방법론에 근거하여 교육의 학문적 기초를 새롭게 정립하였고, 과학적 사고를 교육에 적용하였다. 그는 대중 교육, 의무 교육 사상을 강조했다.
코메니우스는 감각적 실학주의자의 대표자로 "세계도회"라는 최초의 어린이를 위한 그림책을 개발, 감각경험을 통해 사물을 보거나 느끼고 그 다음 언어로 배우도록 구성했으며, 교육방법론이 제시된 "모든 사람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는 기술"이라는 부제의 "대교수학"을 저술해, 6-3-3-4의 단선형학제를 구상, 기회균등의 원칙을 주장했다.
그는 특히, 사물, 직관, 경험, 아동중심의 교육 즉, 감각인상교육을 주장한 점에서 교육에 있어서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일으킨 인물로, 그 사상이 18c 루소의 자연주의교육(교육의 원리를 자연속에서 발견) 의 시조가 되었으며, 19c의 페스탈로치, 프뢰벨, 엘렌케이, 진보주의사상의 모체가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유아교육에서 성인교육까지 이르는 일관된 교육구상, 단선적 학제안, 남녀공학의 원리 그리고 아카데미의 구상 등은 그 후의 교육에 큰 영향을 끼쳤다. 또한 교육방법에서의 직관주의와 언어의 결합, 교육내용에서의 실학주의, 전체 민중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제도, 그리고 교사의 전문성 등에 관한 선진적인 구상은 현재의 교육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는 저서 《대교수학(大敎授學) Didactica magna》(1657)에서, 교육을 인간 생산의 위치에 놓고 고유한 생산방법을 전개하였다. 당시 유럽에서 그의 이름은 저서 《열려진 언어의 문 Janua linguarum reserata》(1631)과, 범지의 구상에 근거한 유아용 교과서인 《가감계도표시 Orbis sensualium Pictus》(1658)로 유명하였다.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 17C를 대표하는 실학교육사상가, 교육개혁가, 근대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있어서의 선구자→ 철저히 기독교적 세계관에 기초
①교육목적: 하나님과 더불어 영원한 행복을 누리는 것 → 신과 합일된 영원한 행 복 추구 : 경건주의 - 이를 위해 바른 지식, 도덕, 경건한 신앙 요구②교육내용: 상당히 광범위하고 포괄적-범지학(pansophia) 즉 백과사전적인 교육 과정 ③ 교육사상 - 범지학 : "모든 사람들에게 모든 것을 가르친다" → 인간의 지적인 이성을 도야 함으로써 도덕적/ 종교적 삶의 기초를 형성한다는 합리적 사고 - 교육원리 : "인류 전체에게, 전체를, 철저히 가르친다"
- 평등교육사상 : 교육은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이뤄져야→ 신분적/계급적 차별을 초월한 하나님 앞에서의 만인평등! * 기독교적 평등사상에 입각, 페스탈로치 등 교육학자들에 영향
- 평등교육 사상 &자연주의적 교수이론
④ 대표저서 : 라틴어교과서, 어학최신교수법, 세계도회, 대교수학 등* 세계도회 : 세계 최초로 그림삽입한 시청각 교재 ex) 눈/코/귀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빠르고/재밌고/효과적
-합자연의원리(객관적자연주의): 자연에 따르는 교육을 의미한다. 즉, 자연은 적당한 시기가 있으므로 교육도 적당한 시기를 선택해야 한다.따라서 교육도 단계를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대교수학』)
*대교수학 :체계적 교육학저서. 학습지도/교육/학교교육원리→인간의 수학기간을 만 24세까지 6년씩 4단계 구성. 이처럼 학교계통을 구상하여 빈부격차 없는 교육 주장 * 직관주의 원리 : 직접적인 사물을 통한 교육을 말한다. 즉, 모든 경험적 지식을 중시하는 사상이다.
*유아기(1~6세) : 어머니무릎학교(모친학교) - 가정에서 기초교육
*아동기(7~12세) : 모국어학교 -초등학교(학교는 무상, 의무적이며, 모국어로만 교수)
*소년기(13~18세) : 라틴어학교 - 중등정도(7자유과/자연과학/지리/역사/윤리/종교)*청년기(19~24세) : 대학 - 고등교육기관(신학/법학/의학/철학 &여행하며 교양 쌓음 →학술연마 및 국가와 교회의 지도자 양성목적)
⑤ 교육방법 : 합자연의 원리 적용 - 교육을 유소년 때 시작하여 연령단계와 능력에 맞게 하라. - 단계별 학습과 학년별 학습하라 - 아동은 규칙적으로 등교 - 개별교수보다 학급교수가 좋다- 아동에게 필요한 것만 가르쳐라- 법칙이전에 실례를 들어 가르쳐라 - 교육내용을 충분히 이해시킨 뒤 기억시켜라 - 친절/설득/유쾌/흥미가 있어야 한다. - 학습을 실패하더라도 체벌하지 않는다.
-시각교육과 외국어의 학습을 결합하고자 시도하였다.(『世界圖繪』: 유럽 최초의 시청각교제) -과학적 방법에서 효과 있는 학습 원리를 찾으려고 했다. -자연의 개념을 교육방법에 도입하였고, 학습은 자연의 질서에 따라야 한다.* 위의 기본원리 외에 철저한 훈련 강조 ex) "훈련 없는 학교는 물 없는 수차와 같다"
목 차
1)실학주의의 배경
2)실학주의의 의미
3)인문적 실학주의
4)사회적 실학주의
5)감각적 실학주의
6)실학주의 교육의 특징
7)사상가
-인문적 실학주의 사상가
-사회적 실학주의 사상가
-감각적 실학주의 사상가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4.15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6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