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우리나라의교육 과 서양의 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우리나라의교육 과 서양의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우리나라의 교육>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4) 통일신라
5) 고려
6) 조선

<서양의 교육>
1. 고대교육
2) 그리스교육
3) 로마교육
2. 중세교육 (5C~16C)]
1) 전기교육
2) 후기교육
3. 문예부흥
4. 종교개혁
5. 실학주의
6. 18C 교육
7. 19세기 교육
8. 신교육

본문내용

.
** 학자
몽테뉴
코메니우스
베이컨
교육목적
신사양성, 심신수련
지, 덕. 종교
교육방법
조기교육, 개성중시, 실용교육
훈련
경험, 귀납법(여러가지로결론 : 미괄식)
** 교육령
고타
메사추세스
연대
1642년
발표자
고타의영주 엘른스톤
이민단 대위원회
성격
시행령 / 봉건적
합헌적 / 민주적
핵심내용
의무교육(구체화됨)
학교설치 → 후에 '공교육'의 기틀
비교
루터파
칼빈파
6. 18C 교육
** 배경
1. 정치 : 전제군주정치
2. 경제 : 과학, 기술발달 → 경제발달
3. 사상 : '사람'중시 → 자유, 개인의 권리
** 교육사상
1. 계몽주의
영국 : 빈민구제 ---- 일요학교, 조교학교
프랑스 : 국각교육 --- '국가교육을 제도화해야 한다'
미국 : 실용주의 ----- 상공업교육
2. 자연주의
: 루소 ---- 자연주의, 소극적교육
교육의3요소 : 자연, 사물, 인간
3. 합리주의
: 칸트---- '인간은 교육을 필요로하는 피조물이다'
자연적교육(창의성, 생존)+도덕적교육(진실성, 준법성)
4. 범애주의
: 바제도우 ---- 인류의 행복
사람을 사랑하는 교육을 하라, 많이가르치치마라 → 전인교육 강조(지, 덕, 체)
7. 19세기 교육
** 배경 : 심리적계발
나폴레옹 → 국가
1. 계발주의
페스탈로치
헤르바르트
프뢰벨
별명
훌륭한선생님의 대명사
교육학의 아버지
유치원의 창시자
교육의목적
인간의 능력을 조화롭게 발전(3H:Head지식, Heart:마음, Hand:기술)
도덕적 품성
유아교육
'유아교육지도소 : 6살이하 40명
교육의 방법
자연의원리가르치기
노작(힘써서배우기)
기초의 중요성 강조
흥미
아이의 자기표현방법
(놀이, 작업)
2. 국가주의 : 국가의 번영과 이념을 최고로 생각.
피히테 ---- 공동체의의식, 도덕심상실(독일) → 교육을통한 회복('독일국민의 고함')
호레이스만-- 공교육강조(특히 사범교육)
8. 신교육
: 지역사회, 생활중심, 학교교육발달
심리학 - 교육방법 평가개선, 아동중심
** 학자 : 듀이 -- 실용주의, 실용주의 : 경험에 바탕을 두어야함
진보주의 : 개성, 인성
<미국의 4대 교육철학>
1. 진보주의 : 실생활에 적용할수있는 전인적교육, 경험 → 전인교육(지, 덕, 체)
2. 본질주의 : 지식 → 교과 → 지식 → 주지교육
3. 향존주의 : 항상 변함없이존재(고전)→주지주의 → 주지교육
4. 재건주의 : 개인사회의 자기실헌(종합)→ 전인교육(+사회성)
<신 자유주의 교육>
J 록크(정치)
1688년 '영국의 명예혁명' - 절대군주 → 입헌군주
1689년 '통치에 관한 두가지 논문' → 1. 개인의 자유보장 2. 사유재산
아담스미스(경제)
- 1776년 '국부론' - 경쟁을 강조 → 이윤창출
자유시장경제 → 자유 민주주이
1920년 중속기업시장의 몰락(자유경제몰락) → 실업자 → 국가의 통제를 확대해야 한다!!
----신 자유주의 도입(5.30 교육개혁)
신 자유주의 -- liberala 국가의 통제확대 , 신자유주의 이념도입(530 교육개혁)
neo 국가통제축소(규체, 긴장완화)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6.25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62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