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1. 유아교육을 보편화하여야 한다.
2. 대학입시제도를 개혁해야 한다.
3. 재수 현상의 해소
4. 학위와 자격증
참고문헌
Ⅱ. 본론
Ⅲ. 결론
1. 유아교육을 보편화하여야 한다.
2. 대학입시제도를 개혁해야 한다.
3. 재수 현상의 해소
4. 학위와 자격증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의 교육제도의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제도를 판단해 본 결과, 우리의 제도는 근본적으로 개혁되어야 한다고 확신한다. 개혁을 위해 몇 가지를 제의할 수 있다.
1. 유아교육을 보편화하여야 한다.
2. 대학입시제도를 개혁해야 한다.
프랑스식 바칼로레아 모델의 점진적 도입이 바람직하다. 이 시험은 고교졸업생들의 고등교육 진학자격의 유무를 평가하고 합격자에게는 누구에게나 그 기회를 준다는 점과 그 출제방식이 논문식이라는 점에서 매우 합리적이고 교육적인 데 대해 우리제도는 그와 같은 합리성이 없고 교육적이 못되기 때문이다. 미국식 평가제도를 도입해야한다. 공부뿐만 아니라 과외활동과 동아리활동 같은 특기 적성활동도 같이 평가함으로서 다양한 분야에 흥미를 갖고 능통하게 만들며 사회성과 지도력을 길러준다.
3. 재수 현상의 해소
우리나라에서는 해마다 수십만의 재수, 삼수생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수십년 이래 계속되고 있는데, 그대로 방치해 온 것은 전혀 이해가 가지 않는다. 프랑스와 미국 등으로 대표되는 서양국가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없다. 10-20%의 높은 유급률, 직업교육의 발달, 대학의 문호개방 등 합리적 제도의 덕택이다.
4. 학위와 자격증
우리나라에서는 학교의 졸업장과 사회의 자격증이 별개의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를 일치시켜야 한다. 프랑스와 미국은 여러 교육과정 끝에 학위(자격증)의 취득이 문제이고 졸업장은 학위취득에 실패한 자에게 교부되는 것이다. 이 같은 제도는 대부분의 학위가 국가적인 차원에서 주어지므로, 학교교육의 균질화와 보편적인 권위유지, 그리고 산학협동을 위해 매우 긍정적이다.
어느 시대 어느 나라나 교육에 문제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의 교육문제를 해결할 때에도 교육은 사회의 한 부분이고 사회 안에 있다. 따라서 교육제도만 바꾼다고 해서 교육이 개선되는 것이 아니다. 교육문화도 바꾸고 교육환경도 개선되어야 한다. 교육개혁은 정부는 정부대로 언론은 언론대로 시민단체는 시민단체대로 학부모는 학부모대로 각자의 역할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 한국 교육 개혁을 위한 책임의 선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우리 모두가 각자의 영역에서 교육 개혁을 위해 최선을 다할 때 한국 교육은 보다 새로워지고 미래와 비젼을 찾을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교육 그러나 희망은 있다. 김현원 지음 선행기획
생각하는 학교 꿈꾸는 아이들 한준상 저 학지사
하버드 vs 서울대 장미정 지음 도서출판 답게
1. 유아교육을 보편화하여야 한다.
2. 대학입시제도를 개혁해야 한다.
프랑스식 바칼로레아 모델의 점진적 도입이 바람직하다. 이 시험은 고교졸업생들의 고등교육 진학자격의 유무를 평가하고 합격자에게는 누구에게나 그 기회를 준다는 점과 그 출제방식이 논문식이라는 점에서 매우 합리적이고 교육적인 데 대해 우리제도는 그와 같은 합리성이 없고 교육적이 못되기 때문이다. 미국식 평가제도를 도입해야한다. 공부뿐만 아니라 과외활동과 동아리활동 같은 특기 적성활동도 같이 평가함으로서 다양한 분야에 흥미를 갖고 능통하게 만들며 사회성과 지도력을 길러준다.
3. 재수 현상의 해소
우리나라에서는 해마다 수십만의 재수, 삼수생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수십년 이래 계속되고 있는데, 그대로 방치해 온 것은 전혀 이해가 가지 않는다. 프랑스와 미국 등으로 대표되는 서양국가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없다. 10-20%의 높은 유급률, 직업교육의 발달, 대학의 문호개방 등 합리적 제도의 덕택이다.
4. 학위와 자격증
우리나라에서는 학교의 졸업장과 사회의 자격증이 별개의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를 일치시켜야 한다. 프랑스와 미국은 여러 교육과정 끝에 학위(자격증)의 취득이 문제이고 졸업장은 학위취득에 실패한 자에게 교부되는 것이다. 이 같은 제도는 대부분의 학위가 국가적인 차원에서 주어지므로, 학교교육의 균질화와 보편적인 권위유지, 그리고 산학협동을 위해 매우 긍정적이다.
어느 시대 어느 나라나 교육에 문제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의 교육문제를 해결할 때에도 교육은 사회의 한 부분이고 사회 안에 있다. 따라서 교육제도만 바꾼다고 해서 교육이 개선되는 것이 아니다. 교육문화도 바꾸고 교육환경도 개선되어야 한다. 교육개혁은 정부는 정부대로 언론은 언론대로 시민단체는 시민단체대로 학부모는 학부모대로 각자의 역할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 한국 교육 개혁을 위한 책임의 선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우리 모두가 각자의 영역에서 교육 개혁을 위해 최선을 다할 때 한국 교육은 보다 새로워지고 미래와 비젼을 찾을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교육 그러나 희망은 있다. 김현원 지음 선행기획
생각하는 학교 꿈꾸는 아이들 한준상 저 학지사
하버드 vs 서울대 장미정 지음 도서출판 답게
추천자료
[진로교육][진로지도]진로교육(진로지도)의 개념과 기본원리, 진로교육(진로지도)의 목표, 진...
[교육][객관주의][구성주의][교육사상][교육철학]교육의 정의, 교육의 이론 고찰과 객관주의...
영재교육(학습, 수업)프로그램, 전환교육(학습, 수업)프로그램, 가족심리교육(학습,수업)프로...
구성주의교육(구성주의학습이론)의 정의와 원리, 구성주의교육(구성주의학습이론)의 교과적용...
[교육과정][학년별교육과정][재량활동교육과정][교과통합교육과정][열린교육과정][학교중심교...
[교육과정][자율성][사교육][교육과정평가]교육과정의 정의, 교육과정의 변천, 교육과정의 기...
[통일교육][통일교육 지도][통일교육 교수학습방법][남북통일][남북관계][통일]통일교육의 개...
[유아컴퓨터교육][유아반편견교육][유아감상교육][유아사고교육][안전교육][경제교육][통일교...
[인성교육][인성교육의 방법][인성교육의 사례]인성교육의 의미, 인성교육의 성격, 인성교육...
[인간과교육]1.주입식 교육관과 대비되는 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의 교육...
군부통치시절의 교육의 특징과 교육정책 및 시사점과 평가 : 우리 교육의 어제와오늘 - 군부...
[인간과교육] 1.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