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장애인의 증상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psychopathology
Psychiatric Symptomatology

본문내용

낌으로 두 가지 상반되는 욕구가 共存할 때 또는 안전을 위해 싸워야 할 때
panic 恐慌(공황) : 급성의 심한 불안
homosexual panic 동성애 공황 : 장기간 긴장 후에 갑자기 나타나는 공포, 의심, 인격붕괴, 환각, 피해 망상 등이 나타나는 것
DSM-Ⅳ에 기술된 공황장애의 공황발작은 격렬한 불안의 신체증상과 더불어 급성으로 공포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원인이 심인성 이외에도 생물학적인 것도 있어 보이며 광장공포증이 병발하기도 한다.
(3) affect의 장애
정동이란 감정의 외부 표현으로 환자 자신의 설명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① inadequate affect 불충분 정동
감정적으로 둔하며 멀어짐과 무관심으로 인해 방관자처럼 느끼는 것을 무감동apathy 이라 하며, 괘·불쾌에 대한 감수성이 감소된 상태이다. Flat affect는 정동적 느낌의 표현이 거의 없는 상태이며 deterioration황폐라고도 한다. 이때 피암시성이 증가한다.
blunted affect 둔마된 정동 : flat affect보다는 덜한 상태로 밖으로 표현된 정동의 정도가 감퇴된 상태.
restricted affect 제한된 정동 : 둔마상태보다 덜한 상태
② inappropriate affect 부적합 정동
사고, 언어 등과 조화되니 않는 정동으로 상황에 어울리지 않게 울거나 웃거나 하는 것이다.
labile affect 유동적 정동 : 외부자극에 상관없이 정동의 표현이 빠르고 급격히 변하는 상태.
temper tantrum : 자연적 또는 사소한 자극으로도 유발되는 분노 내지 짜증으로서 어린이에게 흔히 본다.
(4) 기타
兩價性(양가성) ambivalence : 상반된 감정이 모순없이 존재할 때. 대체로 한쪽이 無意識 내에 抑壓되어 있다.
abreaction 제반응 : 고통스러운 기억을 회상한 후 감정적으로 정리하게 되는 것
shame 수치 : 자신의 기대만큼 살지 못했을 때의 기분
guilty feeling 罪責감
7. 指南力(지남력)의 장애 disorders of orientation ; disorientation
환경을 이해하고 그에 대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지남력이라 한다. 여기에는 시간,
장소 또는 상황, 타인과의 관계 등 세 가지 분야가 있다. 뇌증후군, 심한 정신병, 격한 감정
상태에 있을 때 흔히 본다.
8. disorders of memory 기억의 장애
(1) hypermnesia 기억항진
특정정동과 관계된 특정기간이나 특정사건 또는 경험에 한정되어 기억이 병적으로 과도히
상세한 경우. 조증, 편집증, 긴장증 등에서 본다.
(2) amnesia 건망증, 기억상실
organic amnesia 기질성 건망증 : 알코올중독시, 두부외상시같이 등록이 안될 때와 korsakoff 증후군에서와 같이 저장이 오래가지 못할 때 나타난다. 이때 기억장애가 전반적이고 발병이 점진적이며, 회복한다 해도 불완전하다.
psychogenic amnesia 심인성 건망증 : 회상이 안 되는 것으로 방어와 회피 등의 역동적 목적이 있는 능동적 과정의 결과이다. 이때 신경세포기능에는 장애가 없으며 의식은 명료하다. 선택적이고 일정기간에 국한되며 어떤 사건후 돌발적으로 발생하고 갑자기 회복하며, 회복한다면 완전히 회복되는 것이 특징이다. 일시적으로 사람이름이나 단어가 생각나지 않는 것을 lethologica라고 한다. Blackout은 술 취했을때의 행동을 깨어난 후 기억 못하는 것이다.
anterograde amnesia 상행성 건망증 : 의식회복 후 일정기간의 경험까지도 회상 못하는 것
retrograde amnesia 역행성 건망증 : 의식장애가 있었던 기간뿐 아니라 그 이전의 일정기간의 경험까지 회상 못하는 경우이다. 회복 때는 사건과 가까운 시기부터 회복한다.
(3) paramnesia 기억착오
방어목적으로 무의식적으로 거짓 기억을 하는 것이다.
作話症(작화증) confabulation : 기억이 안 나는 부분에 대해 이야기를 꾸며 메우게 되는 것
때에 따라 내용이 달라지기도 하지만, 환자자신은 이를 믿고있다. 노인과 korsakoff 증후군에서 특징적으로 보인다.
retrospective falsification 회상착오 : 강한 무의식적 동기 때문에 과거 기억 중 자신의 이익에 맞는 것만 선택적으로 기억하거나 잊거나 왜곡하여 기억하는 것
(4) 기시감deja vu과 미시감 jamais vu
旣視感(기시감) : 낯선 것을 전에 본 것같이 느끼는 현상.
未視感(미시감) : 전에 알고 있던 것에 생소하게 보이는 현상이다.
고통스러운 과거 경험과 연관되기 때문에 방어목적으로 기억장애가 온 결과이다.
(5) 기타
eidetic image : 환각적인 생생함으로 나타나는 시각적 기억
screen memory : 고통스러운 기억을 감추기 위해 의식적으로 참을 만한 기억으로 대신하는 것
9. disorders of intelligence 지능의 장애
(1) mental retardation 정신 지체
지능지수 90 이하를 열등으로 분류한다.
(2) dementia 치매
치매는 후천적인 뇌기능장애 때문에 영구적이고 비가역적으로 저하된 상태를 의미한다.
pseudodementia 가성 치매 : 기질성이 아닌 정신장애 때문에 나타나는, 일견 치매같이 보이는 현상이며 ganser증후군, 우울증 등에서 볼 수 있다.
10. insight 병식과 judgment판단의 장애
intellectual insight 지적 병식 : 일련의 상황을 객관적 현실로 이해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 이해는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긍정적 방법으로 사용할 능력은 없는 상태이다.
ture insight 진정한 병식 : 상황의 객관적 현실을 이해하고 동기와 감정적 추진력과 결합하여 상황을 극복할 수 있게 할 때이다.
impaired judgement 판단력 장애
critical judgement : 상황 내 여러 선택 중에서 올바르게 평가하고 알아내고 선택하는 것
automatic judgement : 하나의 판단 해동을 반사적으로 수행하는 것
참고문헌
제4 개정판 최신정신의학/ 민성길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8.10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2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