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거문고의 역사
거문고의 구조
거문고의 조율과 음역
(사진 있음)
거문고의 구조
거문고의 조율과 음역
(사진 있음)
본문내용
놓인 현은 농현은 하지 않고 그냥 소리만 낼 뿐이며, 열여섯 개나 되는 괘는 높이가 약 7밀리미터에서 약 70밀리미터 정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상자식 공명통 위의 붙박이 괘를 짚어 연주하는 동서양의 악기 중에서 가장 투박한 형태를 띠고 있다고 일컬어질 만큼 독특하다. 안족 위에 거는 나머지 세 현은 개방현이며 대체로 동일음으로 조율되고, 각 현마다 필요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손에 쥐고 연주하는 술대는 해죽(海竹)으로 깎아 만든다.
조율과 음역
거문고는 정악과 산조(민속악) 조율이 약간 다르고, 창작음악의 경우 대체로 정악과 산조의 조율을 따르되 작품에 따라서는 기존의 조율방법을 벗어나는 예도 있다. 정악 조율은 괘하청 괘상청 무현을 대현 5괘의 음(林 , Bb), 문현을 유현 4괘의 음(黃, Eb)에 맞추어 유현과 대현이 5도 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산조를 연주할 때는 문현의 음을 유현 4괘 황종(黃鐘) 맞추지 애고 유현 5괘 음에 맞추어 조현하는데, 유현의 괘법이 정악과 다른 것은 산조에서 주로 계면조(界面調)를 연주하기 때문이다.
<자료출처>
장사훈, 『한국악기대관』,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송혜진, 『한국악기』, 열화당, 2001
조율과 음역
거문고는 정악과 산조(민속악) 조율이 약간 다르고, 창작음악의 경우 대체로 정악과 산조의 조율을 따르되 작품에 따라서는 기존의 조율방법을 벗어나는 예도 있다. 정악 조율은 괘하청 괘상청 무현을 대현 5괘의 음(林 , Bb), 문현을 유현 4괘의 음(黃, Eb)에 맞추어 유현과 대현이 5도 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산조를 연주할 때는 문현의 음을 유현 4괘 황종(黃鐘) 맞추지 애고 유현 5괘 음에 맞추어 조현하는데, 유현의 괘법이 정악과 다른 것은 산조에서 주로 계면조(界面調)를 연주하기 때문이다.
<자료출처>
장사훈, 『한국악기대관』,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송혜진, 『한국악기』, 열화당, 2001
추천자료
[국악기,전통악기]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원리,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주제에 따른 분류, ...
[국악][한국전통음악]국악(한국전통음악)의 음악적 특징과 이론적 배경, 국악(한국전통음악)...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의미와 용어, 국악(한국전통음악)과 국악기(한국전통악기), 국악(한국...
국악(한국전통음악) 정의와 음계생성원리, 국악기 이해와 국악곡 해설 사례, 국악(한국전통음...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태평소와 아쟁,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가야금, 한...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 장구(장고), 전통악기(국악기, 한국전통악기) 편종과 자바라...
팔음순에 의한 국악기(전통악기)의 분류, 국악기(전통악기) 사부와 혁부, 국악기(전통악기) ...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단소의 기본음과 운지법,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단소의 호흡법, 한국전...
한국전통악기(국악기) 단소와 장고(장구), 한국전통악기(국악기)의 훈과 부, 한국전통악기(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