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문고의 역사,구조,조율과 음역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거문고의 역사,구조,조율과 음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거문고의 역사

거문고의 구조

거문고의 조율과 음역
(사진 있음)

본문내용

놓인 현은 농현은 하지 않고 그냥 소리만 낼 뿐이며, 열여섯 개나 되는 괘는 높이가 약 7밀리미터에서 약 70밀리미터 정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상자식 공명통 위의 붙박이 괘를 짚어 연주하는 동서양의 악기 중에서 가장 투박한 형태를 띠고 있다고 일컬어질 만큼 독특하다. 안족 위에 거는 나머지 세 현은 개방현이며 대체로 동일음으로 조율되고, 각 현마다 필요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손에 쥐고 연주하는 술대는 해죽(海竹)으로 깎아 만든다.
조율과 음역
거문고는 정악과 산조(민속악) 조율이 약간 다르고, 창작음악의 경우 대체로 정악과 산조의 조율을 따르되 작품에 따라서는 기존의 조율방법을 벗어나는 예도 있다. 정악 조율은 괘하청 괘상청 무현을 대현 5괘의 음(林 , Bb), 문현을 유현 4괘의 음(黃, Eb)에 맞추어 유현과 대현이 5도 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산조를 연주할 때는 문현의 음을 유현 4괘 황종(黃鐘) 맞추지 애고 유현 5괘 음에 맞추어 조현하는데, 유현의 괘법이 정악과 다른 것은 산조에서 주로 계면조(界面調)를 연주하기 때문이다.
<자료출처>
장사훈, 『한국악기대관』,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송혜진, 『한국악기』, 열화당, 2001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8.11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4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