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의 영향과 20대 투표율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시작하면서...

2. 투표부대와 제 3자 효과

3. 결론과 논의

본문내용

바라보는 심리적 거리감은 멀어진 것이다.
3. 결론과 논의
인터넷을 통한 투표 격려 활동은 많은 네티즌들과 언론의 관심을 받으며 이번 총선에서 젊은 층의 투표율을 증가시키는 변인으로 작용할 것이라 예상했다. 총선 전 연합 뉴스에서 보도한 조사결과에서는 20대 투표율이 탄핵과 네티즌의 활동으로 인해 50%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렇지만 실제로 20대 투표 참여율은 다른 세대 증가율에 비해 매우 저조했으며 40%도 넘지 못했다.
네티즌의 활동과 관련하여 재미있는 발견은 자신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생각하지만 자신이외의 다른 사람들은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지각하는 제 3자 효과가 일어나는 것이다. 그렇다고 인터넷에서의 활동이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번 총선에서의 네티즌 투표 격려 운동이 정확하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주간 동아에 실린 미디어몹 최대현 편집장에 따르면 “인터넷이나 박근혜 대표 자체 때문에 선거 결과가 바뀌었다고 보지는 않아요. 네티즌은 이벤트가 아니라 현실에서 벌어지는 일에 참여함으로써 인터넷에서 세력을 확산하는 것”으로 투표 격려 활동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결국 인터넷에서의 투표 격려 활동은 네티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인 재미 추구에 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개인이 지니는 지각에 초점을 두어 행동적인 면에서의 설명이 부족하다. 앞으로 행동적인 부분과 연계한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간 연구를 통해 인터넷이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 정치 사회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끝>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8.14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6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