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개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개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중국 개황

2. 행정 구획

3. 지 리

4. 인 구

5. 언어와 문자

6. 기 타

본문내용

계단은 대륙봉의 천해(淺海) 구역으로 수심이 평균 200m 미만이다.
(1)4대 고원
중국의 유명한 4대 고원은 청장고원(靑藏高原)·내몽고고원(內蒙古高原)·황토고원(黃土高原)·운귀고원(雲貴高原)이다.
(2)주요 산맥(山脈)
히말라야산맥·곤륜산맥(昆侖山脈)·천산산맥(天山山脈)·진령산맥(秦嶺山脈)·대흥안령산맥(大興安嶺山脈)·태행산맥(太行山脈)·기연산맥(祁連山脈)회단산맥(橫斷山脈) 등이 중국의 유명한 산맥들이다.
(3)주요 분지(盆地)
타림분지·준갈분지·챠이담분지·사천분지·투루판분지 등이 중국의 유명한 분지들이다.
(4)주요 평원(平原)
동북평원(東北平原)·화북평원(華北平原)·양자강중하류평원(揚子江中下流平原)·주강삼각주평원(珠江三角洲平原)·하투평원(河套平原) 등이 중국의 유명한 평원들이다.
(5)주요 하천(河川)
양자강(揚子江)·황하(黃河)·회수(淮水)·흑룡강(黑龍江)·주강(珠江) 등이 중국의 유명한 하천이다.
(6)호수(湖水)
중국은 호수가 많아 면적이 1k㎡ 이상인 천연 호수만 해도 2,800여 개나 되고, 면적이 100k㎡ 이상인 대호수도 130여 개나 된다. 이밖에도 크고 작은 인공 호수가 있다. 이러한 호수들은 소금 함유량이 동일하지 않아 함수호(鹹水湖)와 담수호(淡水湖)로 나눌 수 있다. 대호수는 양자강 중·하류지역과 청장(靑藏)고원에 집중되어 있다. 강서성(江西省) 북부, 양자강 남쪽에 위치하는 파양호(陽湖)는 가장 큰 담수호이고, 청장고원에 있는 청해호(靑海湖)는 가장 큰 함수호이다.
4. 인구
홍콩, 마카오 및 대만지역을 포함한 중국의 총 인구는 12억 8,303만명(2002년 6월 현재). 세계 인구의 약 5분의 1
(1)인구 증가율
0.87%(2001.11은 1.07%)
(2)인구 밀도
125명/k㎡
(3)인구 분포
0-14세 / 24.3% (남:여=1.1:1), 15-64세 / 68.4% (남:여=1.06:1), 65세 이상 /7.3% (남:여=0.89:1)
(4)출생율
15.1 명 /1000명(99년 현재) 사망률 : 6.98명 / 1000명 (99년 현재)
(5)1949년 이후 인구 증가
*제 1기(1950∼1957): 전체 인구가 약 5억 4천만에서 6억 4천만으로 증가하여 해마다 평균 1,300만이 증가하였고 22%의 연평균 증가율을 보였다.
*제 2기(1958∼1961): 전체 인구의 증가가 완만한 추세를 보였던 시기이다. 전체 인구가 약 6억 4천만에서 6억 5천만으로 증가하여 해마다 평균 300만이 증가하였고 5%의 연평균 증가율을 보였다.
*제 3기(1962∼1973): 인구가 다시 급속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6억 5천만에서 8억 9천만으로 증가하였다. 해마다 1,940만이 증가함으로써26%의 연평균 증가율을 기록했다.
*제 4기(1974∼1990): 가족계획 정책의 부분적인 성공에 힘입어 인구 증가율이 주춤한 시기이다. 전체 인구가 8억 9천만에서 11억 3천만으로 증가함으로써 해마다 1,300만이 증가하였고 13.7%의 연평균 증가율을 보였다.
(6)인구밀도 분포도
(7)산아제한 정책
폭발적인 인구 증가를 막기 위해 엄격한 산아제한정책을 실시하여 한 자녀 갖기 운동을 벌이고 있다. 첫 아이가 장애자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둘째 아이 출산을 허용하지 않고, 셋째 아이 이상은 그 아이가 16세가 될 때까지 수입의 10%를 깎는 엄격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농촌지역에서 정부의 정책을 어기고 호적에 없는 아이 즉 흑해자(黑孩子: 허하이츠)를 많이 배출하고 있다. 생산 책임제(일정량을 상납하고 나머지는 자유롭게 처분하는 제도)를 실시한 이후 일손이 많을수록 수입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소수민족들에게는 산아제한정책을 적용하지 않음.
5. 언어와 문자
(1)언어
8개 언어(북방어(北方語), 절강어(浙江語), 호남어(湖南語), 강서어(江西語), 객가어(客家語), 복주어(福州語), 하문어(厦門語), 광동어(廣東語))로 大別되며, 北方語(北京語 혹은 만다린어)가 표준어이다.
(2)문자
기존의 漢字에서 劃數를 줄여 만든 漢字인 '簡體字'라는 略字를 사용한다.
6. 기타
(1)시차
한국 시간보다 1시간 느리며, 중국 내에서는 시차가 없다.
(2)민족
56개 민족이 있다. 중국 전체 인구 가운데 한족(漢族)이 91.9%를 점하고 나머지 55개 소수민족 8.1%(9,120만명)를 점한다. 조선족은 192만명으로 소수민족의 2.6%름 점한다.
소수민족은 중국 정부의 소수민족 정책에 따라 고유의 언어와 문자를 사용하고 고유의 문화와 풍습을 보존하면서 생활한다.
(3)통화 단위
런민삐(人民幣-RMB)를 화폐로 사용한다.
*통화단위: 위안(元)
*보조 통화단위: 지아오(角), 훤(分)
*1元 = 10角 = 100分
*1元 이하 단위는 동전과 지폐가 함께 유통된다. 특히 남방 지역으로 갈수록 동전이 많이 유통되고 있다.
(4)교육
중국의 學制는 한국과 같이 6.3.3.4제이며, 신학기는 9월에 시작된다. 의무교육이 아니므로 소학교(초등학교) 입학률은 20% 정도이다. 조사에 의하면 장년의 80%가 문맹인이라고 한다. 중국 정부에서는 현재 문맹인을 없애기 위해 특단의 조치들을 취하고 있다.
(5)종교
문화혁명 때는 종교 박해가 심했지만 현재는 불교, 기독교, 천주교, 도교, 이슬람교 및 전통 종교에 대한 신앙생활이 비교적 자유롭다. 중국인은 기본적으로 무종교인이 많다. 시골에서는 불교를 많이 신앙하고, 도시에서는 기독교, 카톨릭교를 많이 신앙한다. 서쪽, 서북쪽에 거주하는 회족(回族)과 위그르족은 이슬람교를 많이 믿고 있다.
중국에서는 현재 1억여 명이 각종 종교를 신앙하고 있고, 85,000 곳의 종교 활동 장소, 약 30만 명의 종교교역자, 3,000여 개의 종교단체, 74개의 종교교역자 양성소가 있다.
(7)정치
*정체: 노농연맹(農聯盟)에 기초한 인민민주독재의 사회주의 국가(93년 신헌법 제1조 규정)
*정부형태: 공산당 일당 독재
*의회: 단원제(전국인민대표대회)
*주요정책
- 경제건설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식 사회주의 건설 추진
- 대륙·대만간 국가 통일 실현(1국 2체제 방식)
- 패권주의 반대, 세계평화 옹호

키워드

중국,   개황,   구획,   지리,   인구,   언어,   문자,   화폐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5.08.15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97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