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통일신라의 음악문화
최치원의 향악잡영오수
최치원의 향악잡영오수
본문내용
도 볼 수 있으며, 또 백제 사람들이 즐겼다는 '농주지희'와도 같은 것이다. 또 우륵이 지은 가야금 12곡 중에는 <보기(寶伎)>라는 것도 있어서 금환이라는 공돌리기 놀이는 이미 삼국시대부터 유행하던 놀이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겠다.
두 번째인 월전이라는 시에서는 탈을 쓴 것 같기도 하고, 곱사춤이나 난장이춤을 추는 것 같기도 한 어떤 놀이꾼의 모습을 그렸다. 마치 여러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어떤 사람이 배우흉내를 내고 있는 듯한데, 이 놀이를 보면서 밤새도록 웃고 노는 장면이다.
세 번째 시에서는 가면을 쓰고 귀신을 쫓는, 일종의 나례무(儺禮舞)와 같은 춤이 묘사되고 있다.
네 번째 속독은 봉두난발을 한 채 푸른색 가면을 쓰고 정신없이 춤을 추는 적나라한 탈춤의 한 장면이다. 그것도 한 사람이 아니라 무리를 지어 춤을 춘다고 했으니, 북 장단에 맞춘 춤사위의 호방함을 충분히 상상해 볼 수 있겠다.
다섯 번째 시는 요즘도 볼 수 있는 사자춤의 장면이다.
이러한 놀이들은 아직까지 남사당패나 탈춤의 공연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이고 보면, 민속전승력의 강인함을 새삼 확인하게 된다.
자료출처
송혜진 집필, 『국악의 향연』 1, 중앙일보사, 1988
두 번째인 월전이라는 시에서는 탈을 쓴 것 같기도 하고, 곱사춤이나 난장이춤을 추는 것 같기도 한 어떤 놀이꾼의 모습을 그렸다. 마치 여러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어떤 사람이 배우흉내를 내고 있는 듯한데, 이 놀이를 보면서 밤새도록 웃고 노는 장면이다.
세 번째 시에서는 가면을 쓰고 귀신을 쫓는, 일종의 나례무(儺禮舞)와 같은 춤이 묘사되고 있다.
네 번째 속독은 봉두난발을 한 채 푸른색 가면을 쓰고 정신없이 춤을 추는 적나라한 탈춤의 한 장면이다. 그것도 한 사람이 아니라 무리를 지어 춤을 춘다고 했으니, 북 장단에 맞춘 춤사위의 호방함을 충분히 상상해 볼 수 있겠다.
다섯 번째 시는 요즘도 볼 수 있는 사자춤의 장면이다.
이러한 놀이들은 아직까지 남사당패나 탈춤의 공연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이고 보면, 민속전승력의 강인함을 새삼 확인하게 된다.
자료출처
송혜진 집필, 『국악의 향연』 1, 중앙일보사, 1988
추천자료
왜 신라 마립간들은 금관을 쓰게 되었는가?-신라 금관의 상징적, 역사적 의미.
향악의 전성시대
[신라][신라시대][미술][불탑][제철산업][백제][해상활동]신라(신라시대)의 미술, 신라(신라...
[신라시대][신라시대 건축][골품제][신라시대 복식][신라시대 불교][신라시대 군사제도][포석...
[고구려시대 회화미술][백제시대 회화미술][신라시대 회화미술][조선시대 회화미술][회화미술...
[신라시대 향가][향가][서동요][신라 향가]서동요(신라향가)의 배경설화와 서동요(신라향가)...
[찬기파랑가][신라 향가][신라시대 향가][향가]신라향가 찬기파랑가의 원문과 신라향가 찬기...
신라교육(신라시대교육)의 개요, 신라교육(신라시대교육)의 기관 국학(태학감), 신라교육(신...
[삼국시대교육][고구려교육][백제교육][신라교육]삼국시대교육의 특징, 삼국시대교육의 사상...
[한국교육사][고구려][백제][신라][조선][실학][근대]한국교육사 고구려시대교육, 한국교육사...
신라의성립과변천
[신라불교, 신라불교 특징, 신라불교 성격, 신라불교 시기구분, 신라불교 수용, 신라불교 발...
여왕을 통해 본 신라시대 정치와 여성 (신라의 건국설화, 우리역사의 여왕들, 선덕여왕의 통...
한국고대문화사연구회 - 신라 촌락문서를 통해서 본 신라촌락사회의 모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