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후진타오 주석
중국의 경제 정책
중국의 국방 정책
중국의 대미 관계
중국의 대일 관계
중국의 한반도 정책
결 론
후진타오 주석
중국의 경제 정책
중국의 국방 정책
중국의 대미 관계
중국의 대일 관계
중국의 한반도 정책
결 론
본문내용
방향에서 전개될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북한은 경제적으로 곤경에 처하게 될 뿐만 아니리 국제 정치적 상황에서도 불리한 입장에서 오히려 중국과 한국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과 일본에 의존하려는 경향도 있을 수 있고 이것마저 실패하면 극단적 선택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중국은 북핵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 북미간 갈등을 조정하는 한편 북한 개방을 독려해 동북아 평화를 진전시키는 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중국이 중화패권주의에 집착해 주변국들과 대립하는 것은 자제해야 할 것이다. 동북공정을 앞세워 고구려사를 무리하게 중국사에 편입시킨다면 우리와의 마찰이 불가피하고, 결국 다른 나라들에 위협적 존재로 비쳐질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이 진정한 동아시아 평화에 도움이 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우리나라 정부는 중국 지도부 교체를 계기로 역사 왜곡을 둘러싼 갈등을 풀고 한중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는 방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 후진타오는 스스로 실용주의 노선을 표방한 인물이다. 외교 인맥을 걸맞게 재정비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중국경제 의존 심화로 중국이 재채기하면 우리나라가 몸살 걸린다지만 줄 것은 주고 받을 것은 받는 당당한 동반자 관계를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문 - 중국외교
김태효 - 중국변수와 한미동맹의 미래
서진영 -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은 변하고 있는가?
유용원의 군사세계 - http://bemil.chosun.com/
동아일보 - http://www.donga.com/
조선일보 - http://www.chosun.com/
국민일보 - http://www.kmib.co.kr/
참고문헌
김영문 - 중국외교
김태효 - 중국변수와 한미동맹의 미래
서진영 -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은 변하고 있는가?
유용원의 군사세계 - http://bemil.chosun.com/
동아일보 - http://www.donga.com/
조선일보 - http://www.chosun.com/
국민일보 - http://www.kmib.co.kr/
추천자료
중국의 대한정책과 우리의 대응 전략
단 하나의 중국 정책
북한의 대 중국 체제유지정책 평가와 전망
중국의 개혁개방이후 조선족의 자기인식과 재외동포법에 관한 정책적 논의
각 국의 외교정책(남한, 북한, 미국, 중국, 일본)
중국, 베트남, 북한의 개혁 개방 정책 비교
[국제경제통상환경][동북아통상협력][통상관계][통상정책]국제경제통상환경의 변화, 동북아통...
중국의 대미정책
중국의 대외개방정책
중국의 외교정책 (군사 정책 분야)
[산업보안학 産業保安學] 외국의 산업보안정책(industrial security policy) - 미국의 산업보...
중국의 개혁개방정책과 평가
시진핑정부 중국의 외교정책(기본대외전략.시대별변화.미국.일본.북한.한국.개발도상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