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르꼬르뷔제의 생애
르 꼬르뷔제의 건축적 배경
르 꼬르뷔제의 주요이론 고찰 및 건축적 특징
르 꼬르뷔제의 건축의 오형식
르 꼬르뷔제의 대표작
르 꼬르뷔제의 건축적 배경
르 꼬르뷔제의 주요이론 고찰 및 건축적 특징
르 꼬르뷔제의 건축의 오형식
르 꼬르뷔제의 대표작
본문내용
고, 대상은 단순한 관계를 표시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기하학적 형태는 일부 구성주의자들에게 있어서는 기본적인 구성형태이며, 입체파 화가의 그림은 구성 파의 상징이며, 때로는 구성주의 그림이기도 한다. 르 꼬르뷔제로, 자동차나 비행기와 같은 근대적 기계를 예로 한 점은 구성주의의 이론과 유사한 점이라 할 수 있다. 르 꼬르뷔제는 형태를 이용하여 우리들의 감각에 강하게 호소하여 조형적 감정을 불러일으켰다.
※르 꼬르뷔제의 주요이론 고찰 및 건축적 특징.
§모듈.(Modulor)
인체와 황금비에 의한 수렬(數列) 즉, 모듈은 그리스인들이 캐논에서 얻은 비계관계를 현대건축에 적용한 것으로 제 2차 대전중 실용적이고도 흥미 있는 비례제계를 만들었다.
모듈은 “인체의 치수와 수학과의 결합에서 만들어진 것을 계산하는 도구이며 인체뿐만 아니라 광장에서 책꽂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디자인에도 통용할 수 있는 척도”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는 공간의 크기를 계산하는 기본으로써 자연스런 모습으로 손을 올린 인간을 제시하였다. 사람이 올린 손끝에서 머리끝까지 머리끝에서 배꼽까지 배꼽에서 발꿈치까지의 세 부분으로 구분하고 배꼽의 위치가 전체의 길이를 2등분한다고 정의하고 각 부분상호의 관계를 정의하였다. 모듈의 원천이 된 것은 미켈란젤로가 설계한 로마의 Capital건축과 세잔느의 그림이었고, 황금비와 인체와의 결합이라는 아이디어는 꼬르뷔제의 독창도 아니고 발견도 아니다. 그러나 인간의 생활양식 전반에까지 그것을 결부시켜서 생각하려고 한데에 대한 인간 중심적 사고가 높이 평가받았다. 마르세이유에 건설된 주거 단위아파트 모듈러 사용의 최초 실험작품이며, 내부의 세세한 부분에 이르기까지 모두 황금비를 적용하여 인체와 비례적 조화를 이루고 있다.
※Le Corbusier의 도미노 시스템. (Domino System)
Le Corbusier에게는 기하학이란 기술과 건축을 은유적으로 연결하고 인간의 가장 고귀한 질서를 얻기 위한 필연적인 가교였다. 기하학적 정신은 직선과 직각을 찬미하며, 수직과 수평이 직교하는 순간은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순간이다. 따라서 근대도시의 가로는 직선이어야 한다.
이때 고안된 도미노 시스템이라는 건축의 원형, 자동차 산업에서 착상을 얻은 시트로앙 주택계획, 부아상 계획 등은 바로 이러한 기하학적 질서를 탐구한 결과이며, 1917년 오장팡과 함께 전개한 순수파 라는 이름의 회화도 오브제들의 순수한 기하학적인 정신을 도입하기 위한 것이었다.
도미노 시스템은 6개의 기둥과 2개의 계단으로 연결된 3개의 수평 슬래브만으로 기술자들에 의해 개발된 콘크리트구조를 건축적 표현수단으로 가능케 한 것에 의의가 있다.
건축의 시스템으로서 구조방법은 일골 조로서 주택의 평면과 기능을 완전히 독립시키는 것이었는데, 바닥과 계단의 골조는 그것이 표준부제로 만들어지고 서로 조합되어짐으로서 주택 군에 여러 가지 변화를 가능케 하였다.
도미노형 골조는 그 기둥의 배치를 후퇴시키거나 조작하여 내부에 무한한 조합을 가능케 하고 건축조형에 새로운 감각의 표현을 가능케 하였다.
예를 들면, 벽면을 창으로 처리하여 많은 채광과 조망을 제공하였고 대표적 예로 VILLA SAVOYE에서 알 수 있다.
※르 꼬르뷔제의 건축의 오형식.
§Pilotis.
땅을 자유롭게 방치해 둠으로 해서 자연이 방해받지 않은 연속성을 가진다고 생각했고 필로티는 인위적인 것이 배제된 환경을 산출했다. 또, 인간의 거주레벨을 필요한 높이까지 올려 건축과 지상의 교통으로 처리하는데 이용하였다.
§골격과 벽의 기능적 독립.
외부의 벽과 내부의 칸막이의 기능적인 자율성.
§자유스러운 개방된 평면.
르 꼬르뷔제는 콘크리트의 골격을 기술적인 창안에서 미학적인 수단으로 전환시켰다. 구조체에서 독립된 실내부 공간은 극히 변화 성이 풍부한 방법으로 설계되어 기능과 표현의 두 가지 목적으로 곡면의 계단실과 곡면 또는 평탄 면의 칸막이 벽으로 사용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건축의 큰 부분을 뚫어 내부 공간을 대담하게 상호 연관시켰다.
§자유로운 건축의 정면.
특히, 구조 골격에 제약을 받지 않는 평면으로 기둥을 내부로 후퇴시켜 긴 창을 설치.
§옥상 정원.
평지붕은 이미 1920-30년대부터 사용되었으나 인간생활의 공간으로 취급하거나 건축의 요소로서의 시도는 르 꼬르뷔제에 의해서 처음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르 꼬르뷔제의 대표작.
라로슈 주택(1923) 바이센호프 주택(1927)
사보아 주택(1939)유니테 다비타시옹(1952)
롱샹교회(1955)
※르 꼬르뷔제의 주요이론 고찰 및 건축적 특징.
§모듈.(Modulor)
인체와 황금비에 의한 수렬(數列) 즉, 모듈은 그리스인들이 캐논에서 얻은 비계관계를 현대건축에 적용한 것으로 제 2차 대전중 실용적이고도 흥미 있는 비례제계를 만들었다.
모듈은 “인체의 치수와 수학과의 결합에서 만들어진 것을 계산하는 도구이며 인체뿐만 아니라 광장에서 책꽂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디자인에도 통용할 수 있는 척도”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는 공간의 크기를 계산하는 기본으로써 자연스런 모습으로 손을 올린 인간을 제시하였다. 사람이 올린 손끝에서 머리끝까지 머리끝에서 배꼽까지 배꼽에서 발꿈치까지의 세 부분으로 구분하고 배꼽의 위치가 전체의 길이를 2등분한다고 정의하고 각 부분상호의 관계를 정의하였다. 모듈의 원천이 된 것은 미켈란젤로가 설계한 로마의 Capital건축과 세잔느의 그림이었고, 황금비와 인체와의 결합이라는 아이디어는 꼬르뷔제의 독창도 아니고 발견도 아니다. 그러나 인간의 생활양식 전반에까지 그것을 결부시켜서 생각하려고 한데에 대한 인간 중심적 사고가 높이 평가받았다. 마르세이유에 건설된 주거 단위아파트 모듈러 사용의 최초 실험작품이며, 내부의 세세한 부분에 이르기까지 모두 황금비를 적용하여 인체와 비례적 조화를 이루고 있다.
※Le Corbusier의 도미노 시스템. (Domino System)
Le Corbusier에게는 기하학이란 기술과 건축을 은유적으로 연결하고 인간의 가장 고귀한 질서를 얻기 위한 필연적인 가교였다. 기하학적 정신은 직선과 직각을 찬미하며, 수직과 수평이 직교하는 순간은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순간이다. 따라서 근대도시의 가로는 직선이어야 한다.
이때 고안된 도미노 시스템이라는 건축의 원형, 자동차 산업에서 착상을 얻은 시트로앙 주택계획, 부아상 계획 등은 바로 이러한 기하학적 질서를 탐구한 결과이며, 1917년 오장팡과 함께 전개한 순수파 라는 이름의 회화도 오브제들의 순수한 기하학적인 정신을 도입하기 위한 것이었다.
도미노 시스템은 6개의 기둥과 2개의 계단으로 연결된 3개의 수평 슬래브만으로 기술자들에 의해 개발된 콘크리트구조를 건축적 표현수단으로 가능케 한 것에 의의가 있다.
건축의 시스템으로서 구조방법은 일골 조로서 주택의 평면과 기능을 완전히 독립시키는 것이었는데, 바닥과 계단의 골조는 그것이 표준부제로 만들어지고 서로 조합되어짐으로서 주택 군에 여러 가지 변화를 가능케 하였다.
도미노형 골조는 그 기둥의 배치를 후퇴시키거나 조작하여 내부에 무한한 조합을 가능케 하고 건축조형에 새로운 감각의 표현을 가능케 하였다.
예를 들면, 벽면을 창으로 처리하여 많은 채광과 조망을 제공하였고 대표적 예로 VILLA SAVOYE에서 알 수 있다.
※르 꼬르뷔제의 건축의 오형식.
§Pilotis.
땅을 자유롭게 방치해 둠으로 해서 자연이 방해받지 않은 연속성을 가진다고 생각했고 필로티는 인위적인 것이 배제된 환경을 산출했다. 또, 인간의 거주레벨을 필요한 높이까지 올려 건축과 지상의 교통으로 처리하는데 이용하였다.
§골격과 벽의 기능적 독립.
외부의 벽과 내부의 칸막이의 기능적인 자율성.
§자유스러운 개방된 평면.
르 꼬르뷔제는 콘크리트의 골격을 기술적인 창안에서 미학적인 수단으로 전환시켰다. 구조체에서 독립된 실내부 공간은 극히 변화 성이 풍부한 방법으로 설계되어 기능과 표현의 두 가지 목적으로 곡면의 계단실과 곡면 또는 평탄 면의 칸막이 벽으로 사용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건축의 큰 부분을 뚫어 내부 공간을 대담하게 상호 연관시켰다.
§자유로운 건축의 정면.
특히, 구조 골격에 제약을 받지 않는 평면으로 기둥을 내부로 후퇴시켜 긴 창을 설치.
§옥상 정원.
평지붕은 이미 1920-30년대부터 사용되었으나 인간생활의 공간으로 취급하거나 건축의 요소로서의 시도는 르 꼬르뷔제에 의해서 처음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르 꼬르뷔제의 대표작.
라로슈 주택(1923) 바이센호프 주택(1927)
사보아 주택(1939)유니테 다비타시옹(1952)
롱샹교회(1955)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건축의 50년 역사
재료역학 노출콘크리트
근대 예술 및 건축 사조의 특징
스미요시 나가야(아즈마)주택
안도 다다오에 관해
I.M.Pei의 건축과 근현대건축사
근대 예술 및 사조의 특징
입체파의 개념과 예술가
브루탈리즘<슈투트가르트 국립미술관 신관 - 제임스 스털링(James Stirling)>
재료역학노출콘크리트
[도시계획][결정고시][정보][건축행위][용도지역][환경성검토]도시계획의 개념, 도시계획의 ...
리트벨트 - 슈뢰더 하우스
사회사학(아날사학)
안도 다다오(Ando Tadao/安藤 忠雄) 소개 및 작품소개 Tadao Ando Research Presentation.ppt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