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신비평의 선구
2. 미국의 신비평 이론
1) 신비평의 개념과 특성
2) 출현과 성장
3)신비평의 쇠퇴와 한계
3. 한국의 신비평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신비평의 선구
2. 미국의 신비평 이론
1) 신비평의 개념과 특성
2) 출현과 성장
3)신비평의 쇠퇴와 한계
3. 한국의 신비평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형식주의가 유사한 태도를 보여 주는 것은 작품의 자율성을 강조한다는 점, 시적 언어와 실제적 언어의 구별, 시 작품의 역동적 구조에 관심을 둔다는 점 때문이다. 그러나 신비평과 러시아 형식주의는 태어난 시기나 사회 조건 및 미학에 있어서 차이를 보여준다.
신비평과 구조주의 역시 세계관이나 미학에 있어서 차이를 드러내지만 크게 보면 유사한 태도를 보여준다. 그것은 텍스트의 구조가 의미를 생산한다는 점, 언어의 지시적 기능을 중시하지 않는 점으로 요약된다. 또한 신비평, 러시아 형식주의, 구조주의는 모두 반역사적인 태도를 보여주며, 시가 암시하는 시간, 공간적인 이데올로기적 특성을 부정한다.
신비평은 문학의 정치적인 특성, 역사적인 특성을 무시하거나 부정한다. 물론 신비평가들의 견해에 의하면 이런 비판은 다시 비판된다. 왜냐하면 그들이 강조하는 작품의 통일성은 부분들이 대등한 관계로 맺어지는 미적 특성이라는 점에서 민주적이며 이른바 다원적 자유주의를 함축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신비평은 거대 이데올로기에 대항하면서 합의에 대한 갈망, 동일성의 형이상학에 대한 갈망이라는 좁은 실천의 영역에 만족한 셈이다.
그러나 마르크시즘 비평가와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의 경우 이런 통일성 미학은 정치적 무능력의 변명에 지나지 않는다. 대학이 신비평적 태도, 특히 문학 연구에 있어서 객관성을 강조하는 이런 태도를 수용하고 옹호한 것은 대학이 자본주의적, 군사적, 산업적, 기술적 콤플렉스에 굴종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그러나 신비평은 그 동안 문학이 철학이나 정치의 종속적 존재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문학의 독자성 또는 자율성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했다. 뿐만 아니라 문학의 평가가 반드시 어떤 의미나 시사의 탐구만이 아니라 바로 언어의 미적 구조라는 점을 상기시켰다. 또한 시의 교육적 효과, 즉 문학을 보다 자세히 읽는 방식에 대한 새로운 경험을 가능케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홍문표 저, 앞의 책, 2003, 261쪽-263쪽.
ⅳ. 참고문헌
♣ 홍문표 저, 『현대문학비평이론』, 창조문학사, 2003.
♣ 김광길ㆍ심원섭 저, 『문학비평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1997.
♣ 찰스 브레슬러 저, 윤여복ㆍ송홍한 역, 『문학비평-이론과 실제를 위한 입문서-』, 형설출판사, 1998.
♣ 이명재 저,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2001.
♣ 최동호 편, 『새로운 비평 논리를 찾아서』, 나남출판, 1994.
신비평과 구조주의 역시 세계관이나 미학에 있어서 차이를 드러내지만 크게 보면 유사한 태도를 보여준다. 그것은 텍스트의 구조가 의미를 생산한다는 점, 언어의 지시적 기능을 중시하지 않는 점으로 요약된다. 또한 신비평, 러시아 형식주의, 구조주의는 모두 반역사적인 태도를 보여주며, 시가 암시하는 시간, 공간적인 이데올로기적 특성을 부정한다.
신비평은 문학의 정치적인 특성, 역사적인 특성을 무시하거나 부정한다. 물론 신비평가들의 견해에 의하면 이런 비판은 다시 비판된다. 왜냐하면 그들이 강조하는 작품의 통일성은 부분들이 대등한 관계로 맺어지는 미적 특성이라는 점에서 민주적이며 이른바 다원적 자유주의를 함축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신비평은 거대 이데올로기에 대항하면서 합의에 대한 갈망, 동일성의 형이상학에 대한 갈망이라는 좁은 실천의 영역에 만족한 셈이다.
그러나 마르크시즘 비평가와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의 경우 이런 통일성 미학은 정치적 무능력의 변명에 지나지 않는다. 대학이 신비평적 태도, 특히 문학 연구에 있어서 객관성을 강조하는 이런 태도를 수용하고 옹호한 것은 대학이 자본주의적, 군사적, 산업적, 기술적 콤플렉스에 굴종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그러나 신비평은 그 동안 문학이 철학이나 정치의 종속적 존재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문학의 독자성 또는 자율성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했다. 뿐만 아니라 문학의 평가가 반드시 어떤 의미나 시사의 탐구만이 아니라 바로 언어의 미적 구조라는 점을 상기시켰다. 또한 시의 교육적 효과, 즉 문학을 보다 자세히 읽는 방식에 대한 새로운 경험을 가능케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홍문표 저, 앞의 책, 2003, 261쪽-263쪽.
ⅳ. 참고문헌
♣ 홍문표 저, 『현대문학비평이론』, 창조문학사, 2003.
♣ 김광길ㆍ심원섭 저, 『문학비평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1997.
♣ 찰스 브레슬러 저, 윤여복ㆍ송홍한 역, 『문학비평-이론과 실제를 위한 입문서-』, 형설출판사, 1998.
♣ 이명재 저,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2001.
♣ 최동호 편, 『새로운 비평 논리를 찾아서』, 나남출판, 1994.
추천자료
- 네오바로크문학과 카오스이론 (인문학)
- 실존주의비평과 독자반응비평 (현상학, 수용이론)
- [문학비평론] 현상학 해석학 수용이론에 대한 조사
- 한국근대문학사의 김동인과 염상섭의 논쟁과 작품비평에 관한 공정성 문제
- 비평가와 이론가
- 전후 북한문학 비평
- [문예이론, 황금가지] 원형비평의 특성에 대하여
- 문학비평론 (기타비평)
- [현대시, 현대시 양상, 현대시 전개, 현대시와 정전, 현대시와 환유, 현대시와 문학, 현대시...
-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정의,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범주, ...
- 한국 문학과 형식주의 비평 방법 [정지용 향수]
- (문학의이해)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설작...
- [문학의 이해 공통]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