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신분석 이론
1) Freud의 심리성적 이론
(1) 성격의 구조(빙산에 비유)
(2) 발달의 단계
2) 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
3) 정신 분석 이론에 대한 평가
1) Freud의 심리성적 이론
(1) 성격의 구조(빙산에 비유)
(2) 발달의 단계
2) 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
3) 정신 분석 이론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된 관계대상의 범위 : 교우집단, 지도자의 모범
6단계 : 친밀감 대 고립감(Intimacy vs. Isolation)
시 기 : 성인 초기
--> 청년기에서 성인기로 접어들 즈음엔 대인관계나 이성교제가 원만한 친밀감과, 그렇지못한 경우의 소외감이 바로 이단계의 특성이다. 즉, 자아 대 사회성간의 적응과, 부적응이라고 보겠다. 이 단계의 대인 관계는 남녀간의 묘한 심리적 교류가 작용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주된 관계대상의 범위 : 우정적 동료
7단계 : 생산성 대 침체성(Generativity vs. Stangnation)
시 기 : 중년기
--> 자녀를 낳게 되고 그들의 지도와 양육을 통해 자신의 생성감을 가지 고 자기몰두에 빠져서 생의 의욕을 찾는 반면.. 그렇지 못한 경우는 생의 의욕을 잃고 자아개념이 사라져 침체 속에서 강박관념과 반발심 이 일게 된다.
주된 관계대상의 범위 : 직장, 가정
8단계 : 통합감 대 절망감(Integrity vs. Despair)
시 기 : 노년기
--> 발달과업은 자아통합감과 절망감의 위기를 극복해야하는 것이며,
장년기에 들어서서 자아의 주체성과 환경과의 융합은 충족감을 가져 오지만, 실패했을 경우는 절망과 허탈감에서 자기 상실을 갖게 된다.
주된 관계대상의 범위 : 인류, 동포
★‥ 이론을 종합해보면, 어떤 단계의 성격 특징이나 행동 그리고 이들의 관계는 연령단계 에 따라 각기 특별한 의미를 갖고 발달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특히, 1세~3세의 유아들에게는 자율성이 발달될 수 있도록 풍부한 자유놀이와 탐색 활동 및 실험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 그리고 유치원 연령의 유아들에게는 자발성을 키울 수 있는 활동을 많이 할 수 있도록 허용해 주고, 스스로 계획하고 실천하고 성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 다. 또한, 학동기의 어린이들에겐 그들의 능력에 맞 는 과업을 중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3) 정신 분석 이론에 대한 평가
프로이드, 에릭슨의 이론을 모두 지지하지는 않지만.. 프로이드, 에릭슨의 이론이 교육에 준 의미는 대단히 큰 것이라 볼 수 있다. 프로이드는 인간의 행동과 발달이 무의식적 욕구에 의해 지배된다고 주장함으로써 정신의학과 심리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에릭슨은 프로이드에 비해 인간의 이성과 적응을 강조하였으며, 인간발달에서 전생애발달적 접근을 한 점과 문화적 상대성을 인정한 점은 에릭슨의 매우 중요한 공헌이라 할 수 있다.
프로이드의 이론의 단점
아동을 직접 관찰한 결과가 아니고, 심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그들 의 기억이나 회상에 근거한 자료를 가지고 아동발달을 설명하여 일반화하기 어렵다.
문화적 편견과 성적 편견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과학적 검증이 어렵다.
아동발달에서 성적인 면을 지나치게 강조했다.
에릭슨의 이론의 단점
개념정의 가 명확하지 못하다.
발달의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각 단계로의 전환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 기제가 명확하지 않다.
6단계 : 친밀감 대 고립감(Intimacy vs. Isolation)
시 기 : 성인 초기
--> 청년기에서 성인기로 접어들 즈음엔 대인관계나 이성교제가 원만한 친밀감과, 그렇지못한 경우의 소외감이 바로 이단계의 특성이다. 즉, 자아 대 사회성간의 적응과, 부적응이라고 보겠다. 이 단계의 대인 관계는 남녀간의 묘한 심리적 교류가 작용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주된 관계대상의 범위 : 우정적 동료
7단계 : 생산성 대 침체성(Generativity vs. Stangnation)
시 기 : 중년기
--> 자녀를 낳게 되고 그들의 지도와 양육을 통해 자신의 생성감을 가지 고 자기몰두에 빠져서 생의 의욕을 찾는 반면.. 그렇지 못한 경우는 생의 의욕을 잃고 자아개념이 사라져 침체 속에서 강박관념과 반발심 이 일게 된다.
주된 관계대상의 범위 : 직장, 가정
8단계 : 통합감 대 절망감(Integrity vs. Despair)
시 기 : 노년기
--> 발달과업은 자아통합감과 절망감의 위기를 극복해야하는 것이며,
장년기에 들어서서 자아의 주체성과 환경과의 융합은 충족감을 가져 오지만, 실패했을 경우는 절망과 허탈감에서 자기 상실을 갖게 된다.
주된 관계대상의 범위 : 인류, 동포
★‥ 이론을 종합해보면, 어떤 단계의 성격 특징이나 행동 그리고 이들의 관계는 연령단계 에 따라 각기 특별한 의미를 갖고 발달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특히, 1세~3세의 유아들에게는 자율성이 발달될 수 있도록 풍부한 자유놀이와 탐색 활동 및 실험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 그리고 유치원 연령의 유아들에게는 자발성을 키울 수 있는 활동을 많이 할 수 있도록 허용해 주고, 스스로 계획하고 실천하고 성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 다. 또한, 학동기의 어린이들에겐 그들의 능력에 맞 는 과업을 중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3) 정신 분석 이론에 대한 평가
프로이드, 에릭슨의 이론을 모두 지지하지는 않지만.. 프로이드, 에릭슨의 이론이 교육에 준 의미는 대단히 큰 것이라 볼 수 있다. 프로이드는 인간의 행동과 발달이 무의식적 욕구에 의해 지배된다고 주장함으로써 정신의학과 심리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에릭슨은 프로이드에 비해 인간의 이성과 적응을 강조하였으며, 인간발달에서 전생애발달적 접근을 한 점과 문화적 상대성을 인정한 점은 에릭슨의 매우 중요한 공헌이라 할 수 있다.
프로이드의 이론의 단점
아동을 직접 관찰한 결과가 아니고, 심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그들 의 기억이나 회상에 근거한 자료를 가지고 아동발달을 설명하여 일반화하기 어렵다.
문화적 편견과 성적 편견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과학적 검증이 어렵다.
아동발달에서 성적인 면을 지나치게 강조했다.
에릭슨의 이론의 단점
개념정의 가 명확하지 못하다.
발달의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각 단계로의 전환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 기제가 명확하지 않다.
추천자료
아동발달의 출산과 신생아기,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의 발달단계
아동발달]아동발달단계에 따른 부모역할-아동발달단계의 행동적특성과 심리적특성-
(아동복지)복지환경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하고 복지환경의 중요성에 대해여
아동발달 06장 아동기 발달
프로이드, 삐아제, 에릭슨의 아동발달 단계를 표로 작성하여 비교.
아동발달이론중한이론을택하여논하시오.,피아제의인지발달이론
[아동발달 B형]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 대하여 논하시오.
[아동발달] 피아제, 에릭슨의 아동발달을 표로 작성하여 비교
[아동발달] 아동발달연구의 역사 - 고대 그리스, 중세기, 17세기와 17세기 말, 18세기, 19세...
[아동발달] 인지발달이론 -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정보처리이론, 비고츠키(Vygotsk...
[아동건강교육] 신생아기 및 영아기 발달의 이해 _영아기 신체발달(운동기능의 발달, 감각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