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김삿갓 (1807~1863)
2. 가정 배경
3. 뛰어난 재능
4. 방랑의 계기
5. 계속된 발랑 생활
6. 방랑 생활에 대한 평가
※ 참고 자료
◈김 삿갓의 사상◈
2. 가정 배경
3. 뛰어난 재능
4. 방랑의 계기
5. 계속된 발랑 생활
6. 방랑 생활에 대한 평가
※ 참고 자료
◈김 삿갓의 사상◈
본문내용
綠此集)에는 "하루는 정현덕이 내게 편지를 보내오기를 천하 기남자(奇男子)가 여기 있는데 한번 가 보지 않겠는가 하기에 같이 가 보니 과연 김삿갓 이더라. 사람됨이 술을 좋아하고 광분하여 익살을 즐기며 시를 잘 짓고 취하면 가끔 통곡하면서도 평생 벼슬을 하지 않으니 과연 기인이더라."라고 기록되어 있다.
신석우는 해장집(海藏集)에서 "과거장에 들어가되 어떤 때는 수십 편을 짓고 나오고 어떤 때는 한편도 안 짓고 나오니 그 광태가 이와 같더라....과거장 밖의 술집에서도 그의 이름을 사랑하나 그 광태를 무서워하여 술을 모조리 먹어도 돈을 요구하지 않았다"라고 그의 기행을 기록하고 있다.
그는 또 상대방을 공격할 때는 큰소리로 웃어주기도 하고 풍자와 재담으로 비꼬기도 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취하였다.
이것은 일반 대중이 그와 그의 예술을 사랑하는 요인이 되었으며 일부 양반들도 그를 이해하고 사랑하게 되었다.
한편 즐겨 쓴 삿갓 역시 변형된 투쟁 무기였으니 보기 싫은 당시 사회와 세상에 대한 불평불만의 사상적 표현이었다.
김 삿갓은 조부를 탄핵하고 스스로 세상을 등진 죄인이라기보다는 봉건적인 지배 계급에 대한 반항아라는 사회 정치적 각도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신석우는 해장집(海藏集)에서 "과거장에 들어가되 어떤 때는 수십 편을 짓고 나오고 어떤 때는 한편도 안 짓고 나오니 그 광태가 이와 같더라....과거장 밖의 술집에서도 그의 이름을 사랑하나 그 광태를 무서워하여 술을 모조리 먹어도 돈을 요구하지 않았다"라고 그의 기행을 기록하고 있다.
그는 또 상대방을 공격할 때는 큰소리로 웃어주기도 하고 풍자와 재담으로 비꼬기도 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취하였다.
이것은 일반 대중이 그와 그의 예술을 사랑하는 요인이 되었으며 일부 양반들도 그를 이해하고 사랑하게 되었다.
한편 즐겨 쓴 삿갓 역시 변형된 투쟁 무기였으니 보기 싫은 당시 사회와 세상에 대한 불평불만의 사상적 표현이었다.
김 삿갓은 조부를 탄핵하고 스스로 세상을 등진 죄인이라기보다는 봉건적인 지배 계급에 대한 반항아라는 사회 정치적 각도에서 이해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