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 문
1. 김삿갓(1807~1863)
2. 한시 작품 감상
Ⅲ. 나가며 - 문학사적 위상
Ⅱ. 본 문
1. 김삿갓(1807~1863)
2. 한시 작품 감상
Ⅲ. 나가며 - 문학사적 위상
본문내용
들에게는 외면당하고 평가 절하되었다 할지라도 김립의 가치를 인정한 신석우조차 “수섬급 이결단장(雖贍給而缺端莊) 기경 이소전아(奇警而少典雅)”라며 단정, 정중함이 없으며 기발하고 경계에 차 있으나 전아함이 부족하다 논평하였다.
풍자와 해학의 정신으로 적극적인 한시의 변혁을 이루었고, 이것을 계기로 한문 문화기에서 한글 문화기로 옮아가는 중대한 전기가 마련된 셈이라 할 수 있기에 그의 문학적 위상에 대한 폄하가 있어서는 안 되겠다. 정대구, 「김삿갓 연구」, 문학아카데미, 1990
이종찬, 「조선후기 한시 작가론2」, 以會文化社, 1998
◎ 참고문헌
- 황패강, 「 한국문학작가론3」, 집문당, 2000
- 이종찬, 「조선후기 한시 작가론2」, 以會文化社, 1998
- 정대구, 「김삿갓 연구」, 문학아카데미, 1990
- 이창기, 「김삿갓이라 불리는 사내 : 시인 김병연」, 하늘아래, 2003
- 이응수 정리, 「正本 김삿갓 풍자시 전집」, 실천문학사, 2000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2005
- 이정선, 「조선후기 조선풍 한시 연구」, 한양대학교출판부, 2002
- 정공채, 「오늘은 어찌하랴 : 김삿갓詩와 人生」, 學園社, 1985
풍자와 해학의 정신으로 적극적인 한시의 변혁을 이루었고, 이것을 계기로 한문 문화기에서 한글 문화기로 옮아가는 중대한 전기가 마련된 셈이라 할 수 있기에 그의 문학적 위상에 대한 폄하가 있어서는 안 되겠다. 정대구, 「김삿갓 연구」, 문학아카데미, 1990
이종찬, 「조선후기 한시 작가론2」, 以會文化社, 1998
◎ 참고문헌
- 황패강, 「 한국문학작가론3」, 집문당, 2000
- 이종찬, 「조선후기 한시 작가론2」, 以會文化社, 1998
- 정대구, 「김삿갓 연구」, 문학아카데미, 1990
- 이창기, 「김삿갓이라 불리는 사내 : 시인 김병연」, 하늘아래, 2003
- 이응수 정리, 「正本 김삿갓 풍자시 전집」, 실천문학사, 2000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2005
- 이정선, 「조선후기 조선풍 한시 연구」, 한양대학교출판부, 2002
- 정공채, 「오늘은 어찌하랴 : 김삿갓詩와 人生」, 學園社, 198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