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잠재적 교육과정이란?
2. 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의 비교 및 관계
1)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의 비교
2)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의 관계
영 교육과정
3.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학자들의 논의
1)잭슨(Jackon)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보수적 관점)
2)김종서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보수적 관점)
3)일리치(Illich)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급진적 관점)
4. 잠재적 교육과정으로서의 학교문화
5. 잠재적 교육과정의 학교문화에의 기여
6. 내가 경험한『잠재적 교육과정』
【결론】
【참고문헌】
【본론】
1. 잠재적 교육과정이란?
2. 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의 비교 및 관계
1)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의 비교
2)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의 관계
영 교육과정
3.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학자들의 논의
1)잭슨(Jackon)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보수적 관점)
2)김종서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보수적 관점)
3)일리치(Illich)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급진적 관점)
4. 잠재적 교육과정으로서의 학교문화
5. 잠재적 교육과정의 학교문화에의 기여
6. 내가 경험한『잠재적 교육과정』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내 인생은 완전히 뒤바뀐 것이었다. 그 교수님의 열정적인 가르침과 격려가 없었더라면 난 영원히 공부에 흥미를 갖지 못한 채로 살아갔을 것이다. 그 분은 내게 자신감을 심어줬을 뿐 아니라 자연을 탐구하는 큰 즐거움까지 심어주셨다. 진정으로 공부를 해본 사람이라면 이 즐거움을 알 것이다.
이제 나도 교수님과 같은 교사가 되려고 한다. 좋은 선생님의 말 한마디는 한 아이의 인생을 완전히 뒤바꿔 놓을 수 있다. 이렇게 보면 교사라는 직업이 얼마나 성스러운 직업인가? 난 아직도 이보다 더 뜻깊은 삶을 살 수 있는 직업을 생각해내지 못했다. 나도 교사가 되어 나의 아이들에게 좋은 영향을 끼치고 싶다. 이젠 나의 아이들에게도 내가 가졌던 감동, 설레임, 흥미, 자신감을 가지게 해주는 것이 나의 소중한 임무가 되었다.
비록 열심히 학업에 임하지 않았던 적도 있었으나 그 당시 나는 엔지니어가 되려고 했다. 그러나 어느 한 선생님으로 하여금 나의 인생이 완전히 뒤바뀐 결과를 가져왔다. 교수님은 나에게 역학을 이해시키고 내가 공부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의도하셨을 것이다. 물론 나는 그분이 의도하신 대로 많은 학업적 성취감과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으나 그 분이 의도 하시지도 않았던 나의 꿈까지도 뒤바뀌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여기서, 교사가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형태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의해 학생에게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잠재적 교육과정은 학교에 의하여 의도되지 않았지만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에 은연 중에 배우게 되는 것으로 주로 비교과적인 활동(학교의 문화풍토)과 관련이 있다. 그리고 잠재적 교육과정은 정의적 영역과 관련이 있고 바람직한 것뿐만 아니라 바람직하지 않은 내용까지도 포함하고 있으며 장기적·반복적으로 학생들에게 가르쳐진다. 그리고 표면적 교육과정이 주로 교사의 지적·기능적인 영향을 받는데 비해 잠재적 교육과정은 주로 교사의 인격적인 감화를 받는다.
이러한 잠재적 교육과정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교과(표면적 교육과정)에 의한 영향보다 학생에게 더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러므로 학교교육의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계획된 공식적(표면적)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잠재적 교육과정으로서의 학교 문화풍토가 바르게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문화는 학교교육에 절대적 영향을 주는 잠재적 교육과정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어느 한 선생님의 큰 영향으로 인해 교사가 되려는 꿈을 가지게 되었다. 이는 그 분이 의도하시지 않은 잠재적 교육과정에 의한 것이다. 그 분의 열정적이고 자상한 모습이 한 학생의 인생을 크게 뒤바꿔 놓은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렇게 볼 때, 교사 뿐 아니라 교사가 되려고 하는 예비교사들은 잠재적 교육과정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바르게 인식하고 그들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교사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부단히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金宗西, 潛在的 敎育課程의 理論과 實際, 서울: 敎育科學社, 1987.
金宗西, 潛在的 敎育課程, 서울: 敎育科學社, 1984.
김재춘 외 3인, 예비 현직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2001.
金東煥 외 1인, 敎育課程과 評價, 尙潮社, 1998.
김대현 외 1인,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1999.
김종서 외 3인,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1997.
이귀윤, 교육과정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1996.
이홍우, 교육과정탐구, 서울: 박영사, 1977.
이귀윤, 교육과정연구(과제와 전망), 서울: 교육과학사, 1996.
구평회, meta구평회교육학(하), 서울: 도서출판 신수서원, 2002.
이제 나도 교수님과 같은 교사가 되려고 한다. 좋은 선생님의 말 한마디는 한 아이의 인생을 완전히 뒤바꿔 놓을 수 있다. 이렇게 보면 교사라는 직업이 얼마나 성스러운 직업인가? 난 아직도 이보다 더 뜻깊은 삶을 살 수 있는 직업을 생각해내지 못했다. 나도 교사가 되어 나의 아이들에게 좋은 영향을 끼치고 싶다. 이젠 나의 아이들에게도 내가 가졌던 감동, 설레임, 흥미, 자신감을 가지게 해주는 것이 나의 소중한 임무가 되었다.
비록 열심히 학업에 임하지 않았던 적도 있었으나 그 당시 나는 엔지니어가 되려고 했다. 그러나 어느 한 선생님으로 하여금 나의 인생이 완전히 뒤바뀐 결과를 가져왔다. 교수님은 나에게 역학을 이해시키고 내가 공부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의도하셨을 것이다. 물론 나는 그분이 의도하신 대로 많은 학업적 성취감과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으나 그 분이 의도 하시지도 않았던 나의 꿈까지도 뒤바뀌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여기서, 교사가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형태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의해 학생에게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잠재적 교육과정은 학교에 의하여 의도되지 않았지만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에 은연 중에 배우게 되는 것으로 주로 비교과적인 활동(학교의 문화풍토)과 관련이 있다. 그리고 잠재적 교육과정은 정의적 영역과 관련이 있고 바람직한 것뿐만 아니라 바람직하지 않은 내용까지도 포함하고 있으며 장기적·반복적으로 학생들에게 가르쳐진다. 그리고 표면적 교육과정이 주로 교사의 지적·기능적인 영향을 받는데 비해 잠재적 교육과정은 주로 교사의 인격적인 감화를 받는다.
이러한 잠재적 교육과정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교과(표면적 교육과정)에 의한 영향보다 학생에게 더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러므로 학교교육의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계획된 공식적(표면적)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잠재적 교육과정으로서의 학교 문화풍토가 바르게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문화는 학교교육에 절대적 영향을 주는 잠재적 교육과정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어느 한 선생님의 큰 영향으로 인해 교사가 되려는 꿈을 가지게 되었다. 이는 그 분이 의도하시지 않은 잠재적 교육과정에 의한 것이다. 그 분의 열정적이고 자상한 모습이 한 학생의 인생을 크게 뒤바꿔 놓은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렇게 볼 때, 교사 뿐 아니라 교사가 되려고 하는 예비교사들은 잠재적 교육과정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바르게 인식하고 그들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교사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부단히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金宗西, 潛在的 敎育課程의 理論과 實際, 서울: 敎育科學社, 1987.
金宗西, 潛在的 敎育課程, 서울: 敎育科學社, 1984.
김재춘 외 3인, 예비 현직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2001.
金東煥 외 1인, 敎育課程과 評價, 尙潮社, 1998.
김대현 외 1인,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1999.
김종서 외 3인,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1997.
이귀윤, 교육과정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1996.
이홍우, 교육과정탐구, 서울: 박영사, 1977.
이귀윤, 교육과정연구(과제와 전망), 서울: 교육과학사, 1996.
구평회, meta구평회교육학(하), 서울: 도서출판 신수서원, 2002.
추천자료
국가수준교육과정의 개념, 국가수준교육과정의 필요성, 국가수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 국가...
미술과교육과정의 개정 배경과 개정 중점, 미술과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미술과교육과정의 편...
수준별교육과정의 목적과 필요성, 수준별교육과정의 도입 취지, 수준별교육과정의 기본 방침,...
학교교육과정의 의미, 학교교육과정의 성격, 학교교육과정의 기본방향, 학교교육과정의 편성...
교육과정 지역화(지역화 교육과정)의 개념, 교육과정 지역화(지역화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
국어과교육과정(국어교육과정)의 목표와 개정, 국어과교육과정(국어교육과정)의 기본방향, 국...
제7차교육과정의 특징, 제7차교육과정의 개정 중점, 제7차교육과정의 실태, 제7차교육과정의 ...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수업학습)의 개념, 목적, 유형,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수업학습)의 수...
과학교육과정(과학과교육과정)의 특징과 목표, 과학교육과정(과학과교육과정)의 학습 유형과 ...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정의, 선택중심교육과정의 동향, 선택중심교육과정의 과목구성, 선택중심...
특별활동교육과정의 목표와 연간지도계획, 특별활동교육과정의 지도핵심과 편성운영, 특별활...
선택중심교육과정의 가치와 과목구분, 선택중심교육과정의 기본원칙,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운...
수준별교육과정(수업, 수준별학습)의 개념, 의의, 종류, 수준별교육과정(수업, 수준별학습) ...
사회교육과정(사회과교육과정)의 특징과 목표, 사회교육과정(사회과교육과정)의 성격과 변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