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공동체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상 공동체에 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공동체의 개념
2. 가상공동체의 개념
3. 공동체 의식(Sense of Community)
4. 신뢰(Trust), 몰입(Commitment)과 충성도(Loyalty)

III.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가설의 도출
3. 연구의 대상
4.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
5. 연구가설의 검증결과 및 평가

IV. 결 론

본문내용

작용을 통해서 더 많은 감정적인 요인이 사이트 몰입에 매우 깊은 연계를 형성하고,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몰입에 대한 독립성 검토에서 독립성의 가정은 Durbin-Watson검정으로 일반적으로 검토되어진다. <표 10>에서 제시된 d값이 1.815로서 d = 1.815 > 1.75이므로 0에 가까움으로서 채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상관관계가 없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안상형, 이명호, 1996, 352∼355; 노형진, 2002, 347).
모형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값
B
표준오차
베타( )
정보공유에 대한 만족감
.281
.044
.281
6.423
심리적 유대감
.333
.044
.333
7.613
회원 소속감
- .149
.044
- .149
- 3.408
종속변수 : 신뢰 R= .460, R2 = .212, 수정R2 = .206
F=36.941, Durbin-Watson(d)= 1.815
<표 10> 몰입에 대한 회귀 분석
3) 충성도에 대한 회귀분석
<표 11>은 신뢰와 몰입을 독립변수로 하고, 충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보여준다. 신뢰나 사이트 몰입이 모두 충성도와 유의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표 11>. 이는 가상 공동체에 대한 신뢰형성, 사이트에 대한 몰입이 결국 고객과 사이트간의 협력적인 행위를 발생시키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즉 사이트는 회원에게 신뢰를 형성시키고 관계에 몰입을 하게 함으로써 회원들에게 협력적인 행위를 유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신뢰나 몰입을 통한 협력적인 행위는 해당 가상 공동체의 운영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충성도에 대한 독립성 검토에서 독립성의 가정은 Durbin-Watson검정으로 일반적으로 검토되어지는데, Durbin-Watson검정의 기준 값이 2보다 작아야 잔차는 정규분포를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Durbin-Watson 검정 값이 2인 경우에 잔차에 대한 자기상관관계가 없음을 나타내고, 0에 가까울수록 양(+)의 자기상관관계를 나타내고 4에 가까울수록 음(-)의 자기상관관계를 나타낸다고 정의한다. Durbin-Watson의 임계치는 0.82 D 1.75이다. 검정통계량 d가 d < d < 1.75이면 불확정적이다. 따라서 <표 11>에서 제시된 각각의 d값이 1.897로서 d = 1.897 > 1.75이므로 모두 0에 가까움으로서 채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상관관계가 없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안상형, 이명호, 1996, 352∼355; 노형진, 2002, 347).
모형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값
B
표준오차
베타( )
신뢰
.217
.043
.189
4.983
몰입
.720
.044
.618
16.280
종속변수: 신뢰 R= .723, R2 = .523, 수정R2 = .521
F=226.304, Durbin-Watson(d)= 1.897
<표 11> 충성도에 대한 회귀 분석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 앞선 회귀분석결과와 마찬가지로 가상 공동체 의식의 정보공유에 대한 만족감, 심리적 유대감, 회원의 소속감이 사이트 몰입과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변수들의 가설이 부분 채택되었으며, 이는 앞서 실시한 회귀분석의 결과와 모두 일치하였다. 또한 사이트 몰입과 신뢰가 결국은 사이트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도 가설이 부분 채택되었다. 따라서 가상 공동체에서 가상 공동체 의식이 사이트의 몰입과 신뢰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는 결과이며, 이러한 감정적인 요인들을 자극하여 회원들이 사이트에 감정적 유대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적인 요인이라는 것을 가설 검증의 결과에서 증명되었다.
IV. 결 론
본 논문의 목적은 회원들의 소속 가상공동체에 대한 의식수준이 그 공동체에 대한 몰입과 신뢰 더 나아가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었다.
첫째, 회귀 분석을 통해 가설 1군, 2군, 3군을 차례로 검증한 결과 가상 공동체 의식에서의 정보공유에 대한 만족감, 심리적 유대감, 소속감 등 3가지의 독립 변수들은 각각 사이트 몰입과 신뢰에 대한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사이트 몰입과 신뢰가 충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방향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가상 공동체를 충성도의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는 데에 있어서 회원들간의 '가상 공동체 의식'이 존재하고,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도록 돕는 일이 공동체에 대한 충성도 확보에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회귀 분석을 통한 가설 4군의 검증결과, 가상 공동체에 대한 신뢰와 몰입은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가상 공동체에 대한 사이트 신뢰가 높아지면 자연스럽게 가상 공동체와 소속회원간의 관계 몰입이 높아지고 이는 공동체에 대한 회원의 충성도를 높여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가상 공동체 의식을 구성하는 3가지 독립변수(정보공유에 대한 만족, 심리적 유대감, 회원소속감)들이 사이트 신뢰와 몰입의 형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며 이렇게 형성된 신뢰와 몰입은 회원의 사이트 충성도의 증진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기업이 고객들을 위한 서비스 사이트를 운영할 때, 정보공유에 대한 만족감, 심리적 유대감, 그리고 회원 소속감이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각종 기능과 메뉴를 추가해야 할 것이다. 고객이 기업의 게시판에서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광고, 판매과정, A/S에 대한 다른 고객들의 진실된 경험을 얻을 수 있다면 그 사이트에 대한 회원의 정보공유에 대한 만족감, 심리적 유대감 그리고 소속감을 높일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사이트에 대한 신뢰도를 증대시킬 것이다. 고객이 사이트에 접속함으로써 재미를 얻을 수 있으며 유용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게된다면 사이트에 대한 고객의 몰입은 증대될 것이며 이는 결국 사이트에 대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아울러 충성도가 높은 고객이 제공하는 솔직한 의견은 향후 기업이 판매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귀중한 고객관계 정보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Y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5.09.01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14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