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루소 교육사상의 특징에 대하여 논하여라
1. 루소의 교육사상
(1) 루소의 교육사상의 특징
(2) 루소의 교육사상의 특징
(3) 루소의 교육사상의 특징
(4) 루소의 교육사상의 특징
2. 루소의 교육사상의 특징에 관한 비판
(1) 루소의 교육론이 극단에 치우쳤다는 비판
(2) 루소의 교육론에는 이론적 내지는 논리적 모순
(3) 루소 교육사상의 가장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여성교육론에서 나타난 성차별
3. 루소의 교육사상의 특징 평가
(1) 루소의 교육사상의 특징의 정리
(2) 루소의 교육사상의 특징의 해석
(3) 루소의 교육사상의 특징의 평가
Ⅱ. 듀이의 교육사상의 특징에 관하여 논하여라
1. 듀이의 교육사상과 유아교육
2. 듀이의 교육사상의 진보주의 교육운동
3. 듀이의 교육관은 아동중심 교육사상
(1) 듀이의 유아교육
(2) 생활의 필요로서의 교육
(3) 사회기능으로서의 교육
(4) 실험학교
참고문헌
1. 루소의 교육사상
(1) 루소의 교육사상의 특징
(2) 루소의 교육사상의 특징
(3) 루소의 교육사상의 특징
(4) 루소의 교육사상의 특징
2. 루소의 교육사상의 특징에 관한 비판
(1) 루소의 교육론이 극단에 치우쳤다는 비판
(2) 루소의 교육론에는 이론적 내지는 논리적 모순
(3) 루소 교육사상의 가장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여성교육론에서 나타난 성차별
3. 루소의 교육사상의 특징 평가
(1) 루소의 교육사상의 특징의 정리
(2) 루소의 교육사상의 특징의 해석
(3) 루소의 교육사상의 특징의 평가
Ⅱ. 듀이의 교육사상의 특징에 관하여 논하여라
1. 듀이의 교육사상과 유아교육
2. 듀이의 교육사상의 진보주의 교육운동
3. 듀이의 교육관은 아동중심 교육사상
(1) 듀이의 유아교육
(2) 생활의 필요로서의 교육
(3) 사회기능으로서의 교육
(4) 실험학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master). 학생 발달에 관한 과학적 연구(Scientific study of pupil development). 아동의 육체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Greater intention to all that affects the child's physical developement). 아동 생활의 요구에 응하기 위한 학교와 가정과의 협력 (Cooperation between school and home to meet the needs of childlife). 진보주의 학교는 교육운동의 지도자이다.(The progressive school, a leader in educational movements)
3. 듀이의 교육관은 아동중심 교육사상
진보주의 학교는 아동으로 하여금 다른 학생들과 더불어 협동하며 서로 신뢰하고 각자의 인격을 존중하면서 도덕적, 민주적 사회생활을 경험할 수 있는 사회생활 자체의 광장이 되어야 한다.
(1) 듀이의 유아교육
듀이는 교육이라는 것을 생활의 필요로 해석하고, 사회의 기능으로 해석하고, 지도로 해석하고, 성장으로 해석하고, 경험의 개조로 해석하고 있다.
(2) 생활의 필요로서의 교육
듀이는 농업에 기초를 둔 미국의 구체제 시대가 완전히 종지부를 찍고 산업주의의 근대적 미국이 급격하게 발전하기 시작하는 것을 보고, 교육은 국민생활에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아동은 사회와 교육을 통하여 변천하는 시대에 적응해 나갈 것을 강조했다.
(3) 사회기능으로서의 교육
사회가 존속하는 일은 자기 갱신에 의하지만 그러한 갱신은 아동의 교육적 성장에 의하여 이루어진다고 듀이는 주장하고 있다. 사회환경이란 나와 너의 총체로서 성립된다. 나와 너의 공동 활동을 수행하는 목적은 민주사회 건설에 필요한 조건과 방법을 습득하는 데 있으며 사회의 여러가지 황동에 참여하게 됨에 따라 무의식적으로 소속감을 갖게 되며 교육적으로 발달한다.
(4) 실험학교
4세~14세까지의 어린이들을 10개 집단으로 나누어 구성한 실험학교에서, 가장 어린 집단인 4~6세까지의 어린이들은 준 기초교육 학급으로 형성되었다. 듀이는 이 학급을 유치원이라고 불렀으며 이 학급의 특성은 기존 유치원의 경향과는 많이 달랐다. 그러나 듀이는 프뢰벨의 기본정신을 존중했으며, 그의 방법의 일면을 비판하였지만 기본적인 의도와 철학을 수용하고 프뢰벨의 상징주의에 대한 반사회적인 분위기를 부각시켰던 성숙주의의 분위기 속에서 듀이는 다윈의 진화론 이전의 사고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나, 프뢰벨이 부각시켰던 아동기에 대한 존중, 놀이의 본질적 중요성을 인정하였고 구체적인 방법과 환경 구성에 있어서는 보다 자유로운 아동 중심의 활동, 생활 중심의 활동의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듀이의 실험학교는 1903년까지 계속되었다. 이 실험학교는 1898년 가을에 아동도 82명으로 증가하였다. 학급 집단은 소수로서 8~10명씩을 각 교사가 담당하였다. 사실상 학급 집단이 작다는 것 이외에는 교육과정에 있어서나 교육방법에 있어서나 초등학교와 별로 다를 바가 없었는데 듀이는 결코 색다른 계획하에 이 학교를 운영하려는 것이 아니라, 다만 학습지도법에 있어서 좀 더 자연스러운 것을 발견해 가는 여러 조건을 갖추려고 하였을 뿐이었다.
따라서 교사들에게 새로운 방법을 이곳에서 실천하도록 명한 것은 아니고 다만 학교와 지역사회 사이의 장벽을 타파해 가는 방법을 발견할 것과 암기의 어구 해석에 허덕이고있는 어린이들에게 그 부담을 증가시키는 일 없이 그러면서도 학습내용으로는 보다 풍부하고 보다 변화가 많은 것을 채택하는 방법을 발견하는 일을 요구하였을 뿐이었다. 그리고 교사로서 유의할 사항으로 읽기, 쓰기, 셈하기를 더욱 흥미 있고 생생한 활동을 통해서 습득시킬 것을 요구하였다. 읽기, 쓰기, 셈하기는 아동이 다른 것을 학습하는데 기초가 된다는 필요성을 아동 스스로가 통감했을 때 노력하게 되고 능률도 오른다고 생각하였다. 듀이스쿨의 실험은 교육계에 커다란 공헌을 했으며, 듀이 자신도 자기의 철학이론이 교육 실험에 의해서 타당한 것임을 확신케 한 경험이었다. 이 실험의 결과 교육과 교육 실천의 두 부문은 긴밀하게 되었고 더욱 융합하여 하나가 되었다. 즉 교육도 인간 및 인간사회를 연구하는 철학 영역이 된 것이다. 그리고 개인에 대해서 말하면 자기 자신과 자기 환경을 실험적으로 연구하는 영역이 된 것이다.
이 시기의 듀이는 몇 권의 책을 저술했지만 그 대부분은 철학적 내지 심리학적 주제에 관한 것이었다. 그는 시카고 대학에서 비로소 교육에 관한 저작을 간행하였다. 그 중에서 『학교와사회』가 유명하다. 이 책은 실험학교에서 3년간의 실험에 대한 보고, 강연이 기초가 되어 이루어진 책이다. 1904년 듀이는 실험학교의 관리를 둘러싸고 총장과 의견을 달리함으로써 시카고 대학을 사임하고, 컬럼비아 대학교로 옮겼다. 이것은 그의 친구 카넬의 노력에 의한것으로 그가 1930년 퇴직할 때까지 이 곳에서 크게 활약하였다. 듀이는 세계적으로 인정받았으며 그의 저서는 여러나라 말로 코메니우스 이래로 가장 많이 번역되었다. 그는 아시아 각국의 교육지도에도 힘썼다. 즉,1919년 동경제국 대학에서 철학을 강의했으며 이듬 해에 중국을 여행하고 북경대학과 남경대학서 강연을 하였다. 이렇듯 해외에서 까지 활동하게 된 무렵에는 그의 철학적 업적도 최고도에 달하였다. 즉, 그동안에 간행된 저서로는 『사고의 방법』, 『교육에 있어서의 흥미와 노력』 그리고 유명한 『민주주의와 교육』 등이 있다. 이리하여 듀이는 『민주주의와 교육』을 간행한 후로 사상계에 굳건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미국을 대표한는 세계적인 사상가요, 철학자요, 교육학자로서 명성을 갖게 되었다.
참고문헌
1. 루소의교육사상 (배영사신서147) 최정웅 지음 배영사
2. 에밀 장 자크 루소 지음 박호성 옮김 책세상
3. J.S.Brubacher(이원호 譯), 교육사, 문음사, 1985
4. 김재만, 교육철학·사, 형설출판사, 1987
5.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학번역총서 2) 존듀이 지음 교육과학사
6. 아동과 교육과정 경험과 교육 존 듀이, 박철홍 옮김 문음사
3. 듀이의 교육관은 아동중심 교육사상
진보주의 학교는 아동으로 하여금 다른 학생들과 더불어 협동하며 서로 신뢰하고 각자의 인격을 존중하면서 도덕적, 민주적 사회생활을 경험할 수 있는 사회생활 자체의 광장이 되어야 한다.
(1) 듀이의 유아교육
듀이는 교육이라는 것을 생활의 필요로 해석하고, 사회의 기능으로 해석하고, 지도로 해석하고, 성장으로 해석하고, 경험의 개조로 해석하고 있다.
(2) 생활의 필요로서의 교육
듀이는 농업에 기초를 둔 미국의 구체제 시대가 완전히 종지부를 찍고 산업주의의 근대적 미국이 급격하게 발전하기 시작하는 것을 보고, 교육은 국민생활에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아동은 사회와 교육을 통하여 변천하는 시대에 적응해 나갈 것을 강조했다.
(3) 사회기능으로서의 교육
사회가 존속하는 일은 자기 갱신에 의하지만 그러한 갱신은 아동의 교육적 성장에 의하여 이루어진다고 듀이는 주장하고 있다. 사회환경이란 나와 너의 총체로서 성립된다. 나와 너의 공동 활동을 수행하는 목적은 민주사회 건설에 필요한 조건과 방법을 습득하는 데 있으며 사회의 여러가지 황동에 참여하게 됨에 따라 무의식적으로 소속감을 갖게 되며 교육적으로 발달한다.
(4) 실험학교
4세~14세까지의 어린이들을 10개 집단으로 나누어 구성한 실험학교에서, 가장 어린 집단인 4~6세까지의 어린이들은 준 기초교육 학급으로 형성되었다. 듀이는 이 학급을 유치원이라고 불렀으며 이 학급의 특성은 기존 유치원의 경향과는 많이 달랐다. 그러나 듀이는 프뢰벨의 기본정신을 존중했으며, 그의 방법의 일면을 비판하였지만 기본적인 의도와 철학을 수용하고 프뢰벨의 상징주의에 대한 반사회적인 분위기를 부각시켰던 성숙주의의 분위기 속에서 듀이는 다윈의 진화론 이전의 사고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나, 프뢰벨이 부각시켰던 아동기에 대한 존중, 놀이의 본질적 중요성을 인정하였고 구체적인 방법과 환경 구성에 있어서는 보다 자유로운 아동 중심의 활동, 생활 중심의 활동의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듀이의 실험학교는 1903년까지 계속되었다. 이 실험학교는 1898년 가을에 아동도 82명으로 증가하였다. 학급 집단은 소수로서 8~10명씩을 각 교사가 담당하였다. 사실상 학급 집단이 작다는 것 이외에는 교육과정에 있어서나 교육방법에 있어서나 초등학교와 별로 다를 바가 없었는데 듀이는 결코 색다른 계획하에 이 학교를 운영하려는 것이 아니라, 다만 학습지도법에 있어서 좀 더 자연스러운 것을 발견해 가는 여러 조건을 갖추려고 하였을 뿐이었다.
따라서 교사들에게 새로운 방법을 이곳에서 실천하도록 명한 것은 아니고 다만 학교와 지역사회 사이의 장벽을 타파해 가는 방법을 발견할 것과 암기의 어구 해석에 허덕이고있는 어린이들에게 그 부담을 증가시키는 일 없이 그러면서도 학습내용으로는 보다 풍부하고 보다 변화가 많은 것을 채택하는 방법을 발견하는 일을 요구하였을 뿐이었다. 그리고 교사로서 유의할 사항으로 읽기, 쓰기, 셈하기를 더욱 흥미 있고 생생한 활동을 통해서 습득시킬 것을 요구하였다. 읽기, 쓰기, 셈하기는 아동이 다른 것을 학습하는데 기초가 된다는 필요성을 아동 스스로가 통감했을 때 노력하게 되고 능률도 오른다고 생각하였다. 듀이스쿨의 실험은 교육계에 커다란 공헌을 했으며, 듀이 자신도 자기의 철학이론이 교육 실험에 의해서 타당한 것임을 확신케 한 경험이었다. 이 실험의 결과 교육과 교육 실천의 두 부문은 긴밀하게 되었고 더욱 융합하여 하나가 되었다. 즉 교육도 인간 및 인간사회를 연구하는 철학 영역이 된 것이다. 그리고 개인에 대해서 말하면 자기 자신과 자기 환경을 실험적으로 연구하는 영역이 된 것이다.
이 시기의 듀이는 몇 권의 책을 저술했지만 그 대부분은 철학적 내지 심리학적 주제에 관한 것이었다. 그는 시카고 대학에서 비로소 교육에 관한 저작을 간행하였다. 그 중에서 『학교와사회』가 유명하다. 이 책은 실험학교에서 3년간의 실험에 대한 보고, 강연이 기초가 되어 이루어진 책이다. 1904년 듀이는 실험학교의 관리를 둘러싸고 총장과 의견을 달리함으로써 시카고 대학을 사임하고, 컬럼비아 대학교로 옮겼다. 이것은 그의 친구 카넬의 노력에 의한것으로 그가 1930년 퇴직할 때까지 이 곳에서 크게 활약하였다. 듀이는 세계적으로 인정받았으며 그의 저서는 여러나라 말로 코메니우스 이래로 가장 많이 번역되었다. 그는 아시아 각국의 교육지도에도 힘썼다. 즉,1919년 동경제국 대학에서 철학을 강의했으며 이듬 해에 중국을 여행하고 북경대학과 남경대학서 강연을 하였다. 이렇듯 해외에서 까지 활동하게 된 무렵에는 그의 철학적 업적도 최고도에 달하였다. 즉, 그동안에 간행된 저서로는 『사고의 방법』, 『교육에 있어서의 흥미와 노력』 그리고 유명한 『민주주의와 교육』 등이 있다. 이리하여 듀이는 『민주주의와 교육』을 간행한 후로 사상계에 굳건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미국을 대표한는 세계적인 사상가요, 철학자요, 교육학자로서 명성을 갖게 되었다.
참고문헌
1. 루소의교육사상 (배영사신서147) 최정웅 지음 배영사
2. 에밀 장 자크 루소 지음 박호성 옮김 책세상
3. J.S.Brubacher(이원호 譯), 교육사, 문음사, 1985
4. 김재만, 교육철학·사, 형설출판사, 1987
5.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학번역총서 2) 존듀이 지음 교육과학사
6. 아동과 교육과정 경험과 교육 존 듀이, 박철홍 옮김 문음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