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삼국사기 악지
본문내용
內舞 監三人 琴尺一人 舞尺二人 歌尺二人
사내무는 감3명, 금척1명, 무척2명, 가척2명에 의해서 연주됐으며
韓岐舞 監三人 琴尺一人 舞尺二人
한기무는 감3명, 금척1명, 무척1명에 의해서 연주되었다.
上辛熱舞 監三人 琴尺一人 舞尺二人 歌尺二人
상신열무에서는 감3명, 금척1명, 무척2명, 가척2명이 연주했고
小京舞 監三人 琴尺一人 舞尺一人 歌尺三人
소경무에서는 감3명, 금척1명, 무척1명, 가척3명이 연주했으며
美知舞 監四人 琴尺一人 舞尺二人
미지무에서는 감4명, 금척1명, 무척2명이 연주하였다.
哀莊王八年奏樂 始奏思內琴
애장왕 8년에 음악을 연주했을 적에 비로소 처음으로 사내금이 연주되었는데
舞尺四人靑衣 琴尺一人赤衣
무척4명은 푸른 옷을 입었고 금척1명은 붉은 옷을 입었으며
歌尺五人彩衣 繡扇金縷帶
가척5명은 채색된 옷을 입고서 수놓은 부채를 들고 모두 금실로 꾸민 띠를 띠었다.
次奏琴舞 舞尺赤衣 琴尺靑衣
다음으로 대금무를 연주할 때 무척은 붉은 옷을 입었고 금척은 푸른 옷을 입었다.”
則不可言其詳也
위와 같이 말하였을 따름이라고 했으니 그 상세한 것을 말할 수 없다.
羅時樂工皆之尺
신라시대 악곡은 모두 다 척이라고 불렀다.
崔致遠詩有鄕樂雜詠五首 今錄于此
金丸 廻身掉臂弄金丸 月轉星浮滿眼看 縱有宜僚郡勝此 定知鯨海息波瀾
月顚 肩高項縮髮崔嵬 攘臂儒鬪酒盃 聽得歌聲人盡笑 夜頭旗幟曉頭催
大面 黃金面色是其人 手拘珠鞭役鬼神 疾步徐呈雅舞 宛如丹鳳舞堯春
束毒 蓬頭藍面異人間 押隊來庭學舞鸞 打鼓冬冬風瑟瑟 南奔北躍也無端
猊 遠涉流沙萬里來 手衣破盡着塵埃 搖頭掉尾馴仁德 [雄]氣寧同百獸才
崔致遠詩有鄕樂雜詠五首 今錄于此
최치원의 한시인 향악잡영 다섯 수가 있으므로 지금 여기에 기록한다.
金丸 廻身掉臂弄金丸
금환. 몸을 돌리고 팔을 휘두르면서 금색의 공을 돌리니
月轉星浮滿眼看
달이 구르는 듯 별들이 반짝이듯 황홀하구나.
縱有宜僚郡勝此
의주지방 관료들이라도 이보다 나을 수 있을지.
定知鯨海息波瀾
넓은 바다의 거친 파도가 종식될 것이리라.
月顚 肩高項縮髮崔嵬
월전. 어깨 올리고 목 줄고 다리 우뚝 세우며
攘臂儒鬪酒盃
뭇 곱추들 팔 비비고 술잔 들고서 다투누나.
聽得歌聲人盡笑
노랫소리 들으면서 사람마다 웃어대니
夜頭旗幟曉頭催
저녁에 깃발 들고 새벽까지 붐비누나.
大面 黃金面色是其人
대면. 황금같은 얼굴을 지닌 바로 그 사람
手拘珠鞭役鬼神
채찍을 손에 들고 귀신을 부리는구나.
疾步徐呈雅舞
걸음새 장단 맞추어 춤을 추는데
宛如丹鳳舞堯春
단봉이 너훌너훌 나는 듯하네.
束毒 蓬頭藍面異人間
속독. 더벅머리 남색 얼굴에 이상한 사람들이
押隊來庭學舞鸞
떼를 지어 마당에 와 난 새춤을 추누나.
打鼓冬冬風瑟瑟
북소리 두둥둥둥 바람소리 살랑살랑
南奔北躍也無端
남북으로 뛰고 달고 어지럽게 노누나.
猊 遠涉流沙萬里來
산예. 먼 유사 만리길을 걸어서 오니
手衣破盡着塵埃
헐어 빠진 털가죽에 먼지 가득해.
搖頭掉尾馴仁德
인덕으로 길들인 갖가지 놀이
[雄]氣寧同百獸才
웅장한 그 기상을 뭇 짐승의 재주와 어이 비기리.
高句麗樂 通典云 樂工人紫羅帽 [飾]以鳥羽 黃大袖 紫羅帶 大口袴 赤皮 五色緇繩 舞者四人 椎於後 以降抹額 飾以金 二人黃袖裙 赤黃袴 二人赤黃裙袴 極長其袖 烏皮 雙雙倂立而舞 樂用彈箏一 []箏一 臥一 竪一 [五絃]琵琶一 五絃一 義嘴笛一 笙一 橫笛一 簫一 小一 大一 桃皮一 腰鼓一 齊鼓一 [擔]鼓一 唄[貝]一 大唐武大[太]后時尙二十五曲 今唯能習一曲 衣服亦[]衰敗 失其本風 冊府元龜云 樂有五絃 琴 箏 橫吹 簫 鼓之屬 吹蘆以和曲
高句麗樂 通典云
고구려의 음악은 통전에 이르기를
樂工人紫羅帽 [飾]以鳥羽
“악공들은 세의 깃으로 장식된 자색의 비단모자를 쓰고
黃大袖 紫羅帶
큰 소매의 황색 두루마기에 자색 비단 띠를 띠고
大口袴 赤皮 五色緇繩
넓은 바지에 붉은 가죽신을 신었는데 오색으로 지은 끈으로 매었다.
舞者四人 椎於後
무용수 네명은 머리카락을 뒤로 틀고
以降抹額 飾以金
이마에 연지를 바르고 금으로 된 귀고리로 장식했다.
二人黃袖裙 赤黃袴
그런데 2명은 누런 저고리에 붉고 누런 바지를 입었고
二人赤黃裙袴 極長其袖
2명은 붉고 누런 바지와 저고리를 입었으되 그들의 소매는 매우 길었고
烏皮 雙雙倂立而舞
모두 검은 가죽신을 신고서 쌍쌍으로 서서 춤을 추었다.
樂用彈箏一 []箏一 臥一 竪一 [五絃]琵琶一 五絃一 義嘴笛一 笙一 橫笛一 簫一 小一 大一 桃皮一 腰鼓一 齊鼓一 [擔]鼓一 唄[貝]一
음악에 쓰인 악기는 탄쟁1, 추쟁1, 와공후1, 수공후1, 비파1, 오현1, 의취적1, 생1, 횡적1, 소1, 소필률1, 대필률1, 도피필률1, 요고1, 제고1, 담고1, 패1였다.
大唐武大[太]后時尙二十五曲 今唯能習一曲
당나라 무후때까지만 해도 25곡이 있었는데 지금은 오직 한 곡만이 연습될 뿐이고
衣服亦[]衰敗 失其本風
의복 역시 차츰 쇠잔하여서 본래의 모습을 잃었다”라고 하였다.
冊府元龜云 樂有五絃 琴 箏 橫吹 簫 鼓之屬
책부원귀에서는 “음악에는 오현, 금, 쟁, 필률, 횡취, 소, 고등이 사용되었으며
吹蘆以和曲
취로하여 악곡과 화합했다”라고 기록하였다.
百濟樂 通典云 百濟樂 中宗之代工人死散 開元中岐王[範]爲大[太]常卿復奏置之 是以音伎多闕 舞者二人 紫大袖裙 章甫冠 皮履 樂之存者 箏 笛 桃皮 樂器之屬 多同放[於]內地 北史云 有鼓 角 箏 笛之樂
百濟樂 通典云
백제의 음악은 통전에 이르기를
百濟樂 中宗之代工人死散
“백제악은 [당나라의] 중종때 공인이 죽어서 패했다가
開元中岐王[範]爲大[太]常卿復奏置之 是以音伎多闕
개원때에 기왕집안의 범이 태상경이 되자 다시 아뢰어 다시 설치하게 되었기 때문에 음악과 춤이 많이 빠졌다.
舞者二人 紫大袖裙
무용수 2명은 자색의 큰 소매가 달린 저고리와 치마를 입었고
章甫冠 皮履
장포관을 쓰고 가죽신을 신었다.
樂之存者 箏 笛 桃皮
현재 보전되어 남은 악기로서 쟁, 적, 도피필률, 공후가 있는데
樂器之屬 多同放[於]內地
이 악기들은 대체로 중국의 것과 같다”라고 하였다.
北史云 有鼓 角 箏 笛之樂
한편 북사에서는 [백제의 음악에 쓰인 악기로] 고, 각, 공후, 쟁, 우, 지, 적이 있다“라고 기록하였다.
사내무는 감3명, 금척1명, 무척2명, 가척2명에 의해서 연주됐으며
韓岐舞 監三人 琴尺一人 舞尺二人
한기무는 감3명, 금척1명, 무척1명에 의해서 연주되었다.
上辛熱舞 監三人 琴尺一人 舞尺二人 歌尺二人
상신열무에서는 감3명, 금척1명, 무척2명, 가척2명이 연주했고
小京舞 監三人 琴尺一人 舞尺一人 歌尺三人
소경무에서는 감3명, 금척1명, 무척1명, 가척3명이 연주했으며
美知舞 監四人 琴尺一人 舞尺二人
미지무에서는 감4명, 금척1명, 무척2명이 연주하였다.
哀莊王八年奏樂 始奏思內琴
애장왕 8년에 음악을 연주했을 적에 비로소 처음으로 사내금이 연주되었는데
舞尺四人靑衣 琴尺一人赤衣
무척4명은 푸른 옷을 입었고 금척1명은 붉은 옷을 입었으며
歌尺五人彩衣 繡扇金縷帶
가척5명은 채색된 옷을 입고서 수놓은 부채를 들고 모두 금실로 꾸민 띠를 띠었다.
次奏琴舞 舞尺赤衣 琴尺靑衣
다음으로 대금무를 연주할 때 무척은 붉은 옷을 입었고 금척은 푸른 옷을 입었다.”
則不可言其詳也
위와 같이 말하였을 따름이라고 했으니 그 상세한 것을 말할 수 없다.
羅時樂工皆之尺
신라시대 악곡은 모두 다 척이라고 불렀다.
崔致遠詩有鄕樂雜詠五首 今錄于此
金丸 廻身掉臂弄金丸 月轉星浮滿眼看 縱有宜僚郡勝此 定知鯨海息波瀾
月顚 肩高項縮髮崔嵬 攘臂儒鬪酒盃 聽得歌聲人盡笑 夜頭旗幟曉頭催
大面 黃金面色是其人 手拘珠鞭役鬼神 疾步徐呈雅舞 宛如丹鳳舞堯春
束毒 蓬頭藍面異人間 押隊來庭學舞鸞 打鼓冬冬風瑟瑟 南奔北躍也無端
猊 遠涉流沙萬里來 手衣破盡着塵埃 搖頭掉尾馴仁德 [雄]氣寧同百獸才
崔致遠詩有鄕樂雜詠五首 今錄于此
최치원의 한시인 향악잡영 다섯 수가 있으므로 지금 여기에 기록한다.
金丸 廻身掉臂弄金丸
금환. 몸을 돌리고 팔을 휘두르면서 금색의 공을 돌리니
月轉星浮滿眼看
달이 구르는 듯 별들이 반짝이듯 황홀하구나.
縱有宜僚郡勝此
의주지방 관료들이라도 이보다 나을 수 있을지.
定知鯨海息波瀾
넓은 바다의 거친 파도가 종식될 것이리라.
月顚 肩高項縮髮崔嵬
월전. 어깨 올리고 목 줄고 다리 우뚝 세우며
攘臂儒鬪酒盃
뭇 곱추들 팔 비비고 술잔 들고서 다투누나.
聽得歌聲人盡笑
노랫소리 들으면서 사람마다 웃어대니
夜頭旗幟曉頭催
저녁에 깃발 들고 새벽까지 붐비누나.
大面 黃金面色是其人
대면. 황금같은 얼굴을 지닌 바로 그 사람
手拘珠鞭役鬼神
채찍을 손에 들고 귀신을 부리는구나.
疾步徐呈雅舞
걸음새 장단 맞추어 춤을 추는데
宛如丹鳳舞堯春
단봉이 너훌너훌 나는 듯하네.
束毒 蓬頭藍面異人間
속독. 더벅머리 남색 얼굴에 이상한 사람들이
押隊來庭學舞鸞
떼를 지어 마당에 와 난 새춤을 추누나.
打鼓冬冬風瑟瑟
북소리 두둥둥둥 바람소리 살랑살랑
南奔北躍也無端
남북으로 뛰고 달고 어지럽게 노누나.
猊 遠涉流沙萬里來
산예. 먼 유사 만리길을 걸어서 오니
手衣破盡着塵埃
헐어 빠진 털가죽에 먼지 가득해.
搖頭掉尾馴仁德
인덕으로 길들인 갖가지 놀이
[雄]氣寧同百獸才
웅장한 그 기상을 뭇 짐승의 재주와 어이 비기리.
高句麗樂 通典云 樂工人紫羅帽 [飾]以鳥羽 黃大袖 紫羅帶 大口袴 赤皮 五色緇繩 舞者四人 椎於後 以降抹額 飾以金 二人黃袖裙 赤黃袴 二人赤黃裙袴 極長其袖 烏皮 雙雙倂立而舞 樂用彈箏一 []箏一 臥一 竪一 [五絃]琵琶一 五絃一 義嘴笛一 笙一 橫笛一 簫一 小一 大一 桃皮一 腰鼓一 齊鼓一 [擔]鼓一 唄[貝]一 大唐武大[太]后時尙二十五曲 今唯能習一曲 衣服亦[]衰敗 失其本風 冊府元龜云 樂有五絃 琴 箏 橫吹 簫 鼓之屬 吹蘆以和曲
高句麗樂 通典云
고구려의 음악은 통전에 이르기를
樂工人紫羅帽 [飾]以鳥羽
“악공들은 세의 깃으로 장식된 자색의 비단모자를 쓰고
黃大袖 紫羅帶
큰 소매의 황색 두루마기에 자색 비단 띠를 띠고
大口袴 赤皮 五色緇繩
넓은 바지에 붉은 가죽신을 신었는데 오색으로 지은 끈으로 매었다.
舞者四人 椎於後
무용수 네명은 머리카락을 뒤로 틀고
以降抹額 飾以金
이마에 연지를 바르고 금으로 된 귀고리로 장식했다.
二人黃袖裙 赤黃袴
그런데 2명은 누런 저고리에 붉고 누런 바지를 입었고
二人赤黃裙袴 極長其袖
2명은 붉고 누런 바지와 저고리를 입었으되 그들의 소매는 매우 길었고
烏皮 雙雙倂立而舞
모두 검은 가죽신을 신고서 쌍쌍으로 서서 춤을 추었다.
樂用彈箏一 []箏一 臥一 竪一 [五絃]琵琶一 五絃一 義嘴笛一 笙一 橫笛一 簫一 小一 大一 桃皮一 腰鼓一 齊鼓一 [擔]鼓一 唄[貝]一
음악에 쓰인 악기는 탄쟁1, 추쟁1, 와공후1, 수공후1, 비파1, 오현1, 의취적1, 생1, 횡적1, 소1, 소필률1, 대필률1, 도피필률1, 요고1, 제고1, 담고1, 패1였다.
大唐武大[太]后時尙二十五曲 今唯能習一曲
당나라 무후때까지만 해도 25곡이 있었는데 지금은 오직 한 곡만이 연습될 뿐이고
衣服亦[]衰敗 失其本風
의복 역시 차츰 쇠잔하여서 본래의 모습을 잃었다”라고 하였다.
冊府元龜云 樂有五絃 琴 箏 橫吹 簫 鼓之屬
책부원귀에서는 “음악에는 오현, 금, 쟁, 필률, 횡취, 소, 고등이 사용되었으며
吹蘆以和曲
취로하여 악곡과 화합했다”라고 기록하였다.
百濟樂 通典云 百濟樂 中宗之代工人死散 開元中岐王[範]爲大[太]常卿復奏置之 是以音伎多闕 舞者二人 紫大袖裙 章甫冠 皮履 樂之存者 箏 笛 桃皮 樂器之屬 多同放[於]內地 北史云 有鼓 角 箏 笛之樂
百濟樂 通典云
백제의 음악은 통전에 이르기를
百濟樂 中宗之代工人死散
“백제악은 [당나라의] 중종때 공인이 죽어서 패했다가
開元中岐王[範]爲大[太]常卿復奏置之 是以音伎多闕
개원때에 기왕집안의 범이 태상경이 되자 다시 아뢰어 다시 설치하게 되었기 때문에 음악과 춤이 많이 빠졌다.
舞者二人 紫大袖裙
무용수 2명은 자색의 큰 소매가 달린 저고리와 치마를 입었고
章甫冠 皮履
장포관을 쓰고 가죽신을 신었다.
樂之存者 箏 笛 桃皮
현재 보전되어 남은 악기로서 쟁, 적, 도피필률, 공후가 있는데
樂器之屬 多同放[於]內地
이 악기들은 대체로 중국의 것과 같다”라고 하였다.
北史云 有鼓 角 箏 笛之樂
한편 북사에서는 [백제의 음악에 쓰인 악기로] 고, 각, 공후, 쟁, 우, 지, 적이 있다“라고 기록하였다.
추천자료
한국서지학
한국 민족 사상의 시작
한국 대중가요 가사의 시대별 흐름
한국의 악기와 종류
한국 고대국가의 완성
한국의 전통교육과 체육
[독도영유권문제][독도]한국과 일본의 독도영유권문제와 독도의 중요성(독도 영유권 문제, 독...
한국고시가론, 쌍화점(雙花店) 연구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
독도가 우리 땅이 이유, 삼국사기, 태종실록, 고려사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신중동국여지승...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동명성왕, 유리왕』신화 속 에서 살아가던 그들의 인간적인 이면과 삶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종류, 양상, 한중번역(중국어번역)과 우리말, 한중번역(중국어번역)...
한국아동복지의 변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