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 정치제도 보고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터키 정치제도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Ⅰ. 역사적 배경
Ⅱ. 전반적 정치환경
Ⅲ. 정체(政體)

본론
Ⅰ. 헌법
Ⅱ. 행정부
ⅰ)대통령
ⅱ)내각
ⅲ)지방행정
Ⅲ. 사법부
Ⅳ. 입법부
Ⅴ. 정당
Ⅵ. 선거
Ⅶ. 터키의 정세 및 주요 정치문제
1. 정치정세
2. 주요 정치문제
Ⅷ. 외교정책과 국제관계
1. 외교정책
2. 국제 관계
2-1. 미국과의 관계
2-2. NATO와의 관계
2-3. EC와의 관계
2-4. 러시아 등 CIS 국가와의 관계
2-5. 동구권과의 관계
2-6. 중동국가와의 관계
2-7. 희랍(希臘) 및 키프로스와의 관계

결론
Ⅰ. 신정부의 성격 분석
Ⅱ. 앞으로의 전망

후기

본문내용

굳이 남의 나라에 대해 조사할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터키라는 국가에 대해 조사하기로 했는데, 터키는 약간은 생소한 국가여서 자료가 그다지 충분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미 알고 있는 선진국들을 조사하는 것보다 잘 모르는 국가를 조사하면서 배워보자는 생각으로 나름대로 조원들과 자료도 찾고, 모여서 이야기도 나누면서 처음에 했던 생각이 잘못 되었다는 것을 느꼈다. 다른 국가를 조사하면서 우리 나라와는 전혀 상이한 정치제도나 환경을 가지고 있는 국가들은 많으며, 그들 국가에서는 우리 나라의 제도를 오히려 생소하게 볼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 어느 국가나 전통적인 역사적 배경을 지니고 있고, 또한 그에 결과하는 제도나 환경이 만들어지며 어떤 제도가 좋고, 어떤 제도가 나쁘다는 말은 할 수 없는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정치가 아직 선진국이 아니라는 데에는 이의가 없다. 국가 조사를 하면서 선진국의 제도를 무조건 따라할 것만이 아니라 우리의 역사적, 정치적 배경에 맞는 제도를 만들어 가는 게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
[부록]
<역대 대통령>
1923년 10월 ~ 1938년 11월 Mustafa Kemal Ataturk (RPP)
1938년 11월 ∼ 1950년 5월 Ismet Inonu (RPP)
1950년 5월 ∼ 1960년 5월 Celal Bayar (DP : 민간인)
1961년 10월 ∼ 1966년 3월 Cemal Gursel (퇴역장군)
1966년 3월 ∼ 1973년 3월 Cevdet Sunay (퇴역장군)
1973년 4월 ∼ 1980년 4월 Fahri S. Korturk (퇴역제독)
1980년 4월 ∼ 1980년 9월 Ihsan Sabri Caglayangil (상원의원)
1980년 9월 ∼ 1982년 11월 Kenan Evren (국가안보회의 의장)
1982년 11월 ∼ 1989년 11월 Kenan Evren (퇴역장군)
1989년 11월 ∼ 1993년 4월 Turgut Ozal (민간인)
1993년 5월 ∼ 현재 Suleyman Demirel (민간인)
<주요 정당>
- 정도당(TURE PATH PARTY)
1983년 6월 23일 창당된 정도당(正道黨)은 중도우익계 정당으로서 과거 정
의당의 후신(後身)으로 볼 수 있다. 정도당은 조국당(MOTHERLAND PARTY)과
유사한 정책노선을 유지하고 있다.
- 조국당(MOTHERLAND PARTY)
1983년 5월 20일 창당된 조국당(祖國黨)은 우익계 정당으로서 통제경제(統
制經濟) 체제를 배격하고 자유시장경제 체제를 선호하고 있다. 조국당은 금
융정책을 통한 경제운용정책을 지지하며, 전통보수주의 및 이슬람 세계와의
관계 강화를 주장하고 있다.
조국당 창당 이후 투르굿 외잘(TURGUT OZAL)이 당수이자 내각의 수반으로
7년간 활동하였으며, 1989년 11월 9일 터키 공화국의 제10대 대통령으로 취
임하였다. 외잘은 수상으로 을드름 악불루트(YILDIRIM AKBULUT)를 지명하였
다.
- 사회민주인민당(SOCIAL DEMOCRAT POPULIST PARTY)
1985년 11월 2일 창당된 사회민주인민당은 중도좌익계 정당으로서, 소득의
균등 분배, 토지개혁 및 동맹파업의 인정 등 노동자와 저소득 계층의 권익
을 최대한 보장하는 사회민주주의 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 복지당(WELFARE PARTY)
1983년 7월 19일 창당된 복지당은 보수우익 종교 정당이다.
- 인민노동당(PEOPLE'S LABOR PARTY)
1990년 6월 7일 창당딘 인민 노동당은 터키 남동부 지역의 쿠르드족을 그
정치적 기반으로 삼고 있다.
- 공화인민당(REPULICAN PEOPLES PARTY)
1923년 9월 9일 국부(國父)인 KEMAL ATATURK에 의해 창당된 공화인민당은
1985년 9월 사회민주당과 합당하였다가 1992년 9월 재창당을 맞았다.
- 민주좌익당(DEMOCRATIC LEFT PARTY)
1985년 11월 14일 창당한 민주좌익당은 좌익정당으로서, 창당 초기에는 뷜
렌트 에제비트(BULENT ECEVIT)의 부인인 라흐산 에제비트(RAHSAN ECEVIT)가
당수로 활동하였으나, 뷜렌트가 복권(復權)한 후 라흐산 에제비트는 사임하였다.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케말 파샤)
아타튀르크는 터키의 아버지란 뜻으로 의회가 그의 국가에 대한 공로를 인정하여 붙여 준 이름으로 터키 어디를 가든 그의 존재를 발견하게 된다. 이 인물이 아니었다면 오스만 제국의 잿더미에서 오늘날의 터키가 있지 못했을 것이다.
그는 1881년, 오스만 제국 통치하의 살로니카에서 태어났다. 1905년 육군 대학을 졸업하고 참모 대위가 된 그는 오스만 제국 세력하의 다마스커스, 살로니카, 트리폴리 등을 전전하며 군 경력을 쌓았다. 발칸 전쟁 후 소피아 주재 무관이 되어 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후에도 잠시 그 직책에 머물렀다. 1916년 갈리폴리에서 병사들을 독전하여 열세한 화력으로 영국과 안자크(영연방 국가인 호주, 뉴질랜드) 연합군을 격퇴시켜 이스탄불을 방어함으로써 국민적 영웅이 되었다. 1923년 연합국과 로잔 조약을 맺은 후, 터키 공화국의 성립을 선언하고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집권하자 국가로부터 종교를 완전히 분리하여 국가의 세속화 추진 정책을 펼쳐 코란의 율법을 스위스법 체계에 근거한 현대적 민법 조항으로 교체하였다. 이 법안은 터키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를 극적으로 향상시켰다. 예전에는 여성은 직업을 가질 수 없었고, 남편의 기침하나로도 이혼당할 수 있었다. 이제 여성은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갖게 되었고 많은 유럽 국가들보다 빠른 1934년에 투표권과 의회 피선거권을 획득하였다. 아타튀르크는 터키식 모자와 터번을 폐지하고 서양식 모자를 쓰게 했다.
1928년에는 문자 개혁을 단행하였고 미터법을 도입하고 이슬람력 대신에 태양력을 채택하였으며 이슬람교의 안식일인 금요일 대신 일요일을 공식 휴일로 정하였다. 1934년에는 성씨법을 제정하여 모든 터키인에게 성을 갖도록 의무화하였다. 그는 또 산업 진흥에도 힘을 쏟아 오늘날 터키 공화국의 기초를 닦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5.09.10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21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