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1. 정보처리적 접근의 역사
1-1. 정보처리접근의 구조주의와 행동주의
1-2 정보처리적 관점에서의 철학의 영향
1-3. 정보처리적 관점의 인간공학의 영향
1-4 신경모형
1-5. 커뮤니케이션 공학과 정보이론의 영향
1-6. 싸이버네틱스이론의 영향
1-7. Broadbent의 시도
1-8. 언어학의 영향
1-9. 컴퓨터 과학의 영향
2. 정보처리적 접근의 특성과 가정
나의 견해...
1. 정보처리적 접근의 역사
1-1. 정보처리접근의 구조주의와 행동주의
1-2 정보처리적 관점에서의 철학의 영향
1-3. 정보처리적 관점의 인간공학의 영향
1-4 신경모형
1-5. 커뮤니케이션 공학과 정보이론의 영향
1-6. 싸이버네틱스이론의 영향
1-7. Broadbent의 시도
1-8. 언어학의 영향
1-9. 컴퓨터 과학의 영향
2. 정보처리적 접근의 특성과 가정
나의 견해...
본문내용
서 론
앎이란 무엇인가, 앎의 주체인 인간의 존재란 무엇인가에 대한 철학적 물음은 철학의 전 역사의 과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앎과 존재에 대한 인지 심리학적 물음은 철학적 물음과는 초점이 다르다. 인지심리학적 물음은 마음의 본질이나 진위성에 초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마음이 작용해서 우리가 앎을 획득하느냐에 초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앎의 문제가 철학적인 사변적 측면을 넘어서서 조직적인 물음이 던져지고 경험적 연구가 진행되어, 하나의 종합과학으로 대두된 것은 1960년대 후반이다. 그 이전의 마음의 연구는 마음 전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고, 체계적으로, 과학적으로 보는 틀이 부족하였지만 1960년대 후반부터 여러 가지 이론제시와 흐름에 따라 정보 처리적 접근방법이 대두됨으로써 마음의 연구는 체계화되어 인지과학이라는 새로운 학문까지 가능하게 하였다.
지금부터 마음의 연구를 과학적으로 체계화시킨 정보 처리적 접근의 형성역사와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자.
1. 정보처리적 접근의 역사
1-1. 정보처리접근의 구조주의와 행동주의
마음이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고 어떻게 작용하는가하는 물음은 인류역사의 초기부터 단순한 호기심에 의하여 막연한 추측을 하거나, 물활론적 설명을 제시하거나 모호한 신성적 개념에 의하여 설명하려는 형태로 나타났다.
이는 그리스 시대에 들어와서야 인간의 심적구조에 대한 체계적 이해가 시도되기 시작했고 그들의 뒤를 이어 유럽의 철학자들이 인간의 마음에 대한 보다 조직적인 분석을 제기 하였다. 그러나 이것도 경험적이고 객관적인 시도는 아니었다. 즉 그들은 마음의 구성요소와 그들 사이의 상호관계를 사변적으로 제시하는데 그쳤고, 마음의 과정에 대한 경험적, 객관적 분석 및 설명을 시도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18세기까지 계속되었다.
이렇게 마음에 대한 보는 틀이 사변적 고찰에 머물은 이유는 자기중심적인 생각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고대부터 인간은 인간 자신의 마음이란 인간이 잘 알 수 없는 신비한 것으로, 신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즉 인간 자신의 마음을 대상화하여 탈 자기중심적으로 보려는 생각을 미쳐 하지 못했던 것이다. 그래서 심적 현상에는 과학의 기본특성인 실험방법이나 수학적 개념의 적용이 불가하다는 생각이 18세기의 지배적인 생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생각은 깨지기 시작하였다.
Herbart는 17세기 Leibnitz의 생각을 이어받아, 관념의 연합과정에 대하여 수학적 공식을 적용할 수 있음을 보였으며, Weber, Fechner, Helmholtz 등은 정신물리학을 시작하여, 물리학이나 생리학 실험에서처럼 감각 및 지각을 중심으로 한 심리현상을 대상화하여 실험실에서 실험방법에 의해 연구할 수 있고 또 수량화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Wundt는 1879년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을 창설하고 철학의 내성법과 물리학과 생리학 등의 실험법을 적용하여 인간의 의식의 작용과 구조 특성에 대한 물음들을 경험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고, 심리학을 독립된 실험과학으로 출발시켰다.
앎이란 무엇인가, 앎의 주체인 인간의 존재란 무엇인가에 대한 철학적 물음은 철학의 전 역사의 과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앎과 존재에 대한 인지 심리학적 물음은 철학적 물음과는 초점이 다르다. 인지심리학적 물음은 마음의 본질이나 진위성에 초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마음이 작용해서 우리가 앎을 획득하느냐에 초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앎의 문제가 철학적인 사변적 측면을 넘어서서 조직적인 물음이 던져지고 경험적 연구가 진행되어, 하나의 종합과학으로 대두된 것은 1960년대 후반이다. 그 이전의 마음의 연구는 마음 전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고, 체계적으로, 과학적으로 보는 틀이 부족하였지만 1960년대 후반부터 여러 가지 이론제시와 흐름에 따라 정보 처리적 접근방법이 대두됨으로써 마음의 연구는 체계화되어 인지과학이라는 새로운 학문까지 가능하게 하였다.
지금부터 마음의 연구를 과학적으로 체계화시킨 정보 처리적 접근의 형성역사와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자.
1. 정보처리적 접근의 역사
1-1. 정보처리접근의 구조주의와 행동주의
마음이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고 어떻게 작용하는가하는 물음은 인류역사의 초기부터 단순한 호기심에 의하여 막연한 추측을 하거나, 물활론적 설명을 제시하거나 모호한 신성적 개념에 의하여 설명하려는 형태로 나타났다.
이는 그리스 시대에 들어와서야 인간의 심적구조에 대한 체계적 이해가 시도되기 시작했고 그들의 뒤를 이어 유럽의 철학자들이 인간의 마음에 대한 보다 조직적인 분석을 제기 하였다. 그러나 이것도 경험적이고 객관적인 시도는 아니었다. 즉 그들은 마음의 구성요소와 그들 사이의 상호관계를 사변적으로 제시하는데 그쳤고, 마음의 과정에 대한 경험적, 객관적 분석 및 설명을 시도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18세기까지 계속되었다.
이렇게 마음에 대한 보는 틀이 사변적 고찰에 머물은 이유는 자기중심적인 생각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고대부터 인간은 인간 자신의 마음이란 인간이 잘 알 수 없는 신비한 것으로, 신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즉 인간 자신의 마음을 대상화하여 탈 자기중심적으로 보려는 생각을 미쳐 하지 못했던 것이다. 그래서 심적 현상에는 과학의 기본특성인 실험방법이나 수학적 개념의 적용이 불가하다는 생각이 18세기의 지배적인 생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생각은 깨지기 시작하였다.
Herbart는 17세기 Leibnitz의 생각을 이어받아, 관념의 연합과정에 대하여 수학적 공식을 적용할 수 있음을 보였으며, Weber, Fechner, Helmholtz 등은 정신물리학을 시작하여, 물리학이나 생리학 실험에서처럼 감각 및 지각을 중심으로 한 심리현상을 대상화하여 실험실에서 실험방법에 의해 연구할 수 있고 또 수량화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Wundt는 1879년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을 창설하고 철학의 내성법과 물리학과 생리학 등의 실험법을 적용하여 인간의 의식의 작용과 구조 특성에 대한 물음들을 경험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고, 심리학을 독립된 실험과학으로 출발시켰다.
추천자료
발달이론에서 행동주의 학습이론, 생득적 언어발달이론, 사회학습이론, 동물생태학이론, 인지...
[광고주 관점][비판][브랜드파워][삼성전자][제일기획]광고주 관점으로 본 정보처리이론, 광...
[문자메시지]문자메시지(문자메세지)와 광고문자, 문자메시지(문자메세지)와 심상처리정보, ...
휴리스틱과 바이어스 (잉그리치의 실험, 이중 프로세스 이론, 운동선수의 휴리스틱, 정보처리...
기초 학습 기능 검사 _ 기초 학습 기능 검사의 구성, 소검사의 측정 내용(정보처리, 셈하기, ...
교육심리학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한글공부법, 에릭슨과 콜버그의 사회·정서적 발달 가드너의...
조직구조, 조직구조 설계의 응용, 조직구조의 형태,공식적보고체계,조직구조에 대한 정보처리...
인지이론(認知理論) : 인지학습이론에서의 인지이론 인지적접근론 {인지이론의 배경, 통찰성,...
[영유아infants발달] 아동의 인지발달에 대한 교육적 적용(뇌 발달이론, Piaget 이론, 정보처...
[영유아infants발달] 아동의 인지발달 - 뇌 발달이론, Piaget의 인지발달이론(보존개념, 유목...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성장과 발달의 이론 - 학습이론(행동주의이론, 사회학습이론), 인지...
인지주의 학습이론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이유와 함께 선택한 인지주의 학습이론에 대해...
[아동수학지도] 수학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각 이론이 수학교육에 기여한 점 - 행동주의이론, ...
[보건교육] 행동주의이론, 인지주의이론, Pavlov 의 고전적 조건형성, Thorndike의 도구적 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