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보호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주간보호사업

Ⅱ. 주간보호사업의 목적

Ⅲ. 한국의 실태

Ⅳ. 주간보호사업의 과제

본문내용

있는 프로그램과 가족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강화하고, 담당인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5) 농어촌 지역의 접근성을 위한 지역별 균형있는 서비스 제공
현재 주간보호시설의 대부분이 광역시 이상의 도시지역에 편재되어 있다. 자녀와의 별거비율이 도시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연령적으로 고령이며, 소득수준이 낮은 농어촌지역 노인의 재가복지 욕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초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1개소 이상의 재가노인복지시설이 필요하다.
6) 송영서비스의 강화
주간보호시설은 일반노인 및 장애노인들이 시설에 다니도록 교통편의를 제공하고, 시설에서의 외출이나 소풍 등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교통수단을 제공하거나 준비 또는 교섭해 주어야 한다.
7) 타 노인복지시설과의 연계
대상자들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협동과 연계활동을 해야한다. 궁극적으로 같은 노인복지의 향상이라는 목적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타 기관과 연계를 통해 자원을 공유하고 프로그램을 나누어야 할 것이다.
8) 관련 사회복지시설, 기관, 행정기관, 보건소 등과의 연계
9) 정부의 지원확대
10) 대상자 선정 기준의 개선
11) 시설기준의 강화
12) 이용료 부가 원칙
13) 주간보호사업의 홍보

추천자료

  • 가격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9.15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27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