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빈도
3. 분류 및 정의
4. 감염 경로
5. 발병 기전
6. 위험 요소
7. 원인균
8. 증상
9. 진단
10. 감별 부위의 감별 진단
11. 치료
12. 합병증
13. 감별 진단
14. 요로계 영상 검사
2. 빈도
3. 분류 및 정의
4. 감염 경로
5. 발병 기전
6. 위험 요소
7. 원인균
8. 증상
9. 진단
10. 감별 부위의 감별 진단
11. 치료
12. 합병증
13. 감별 진단
14. 요로계 영상 검사
본문내용
시마다 신속히 치료 용량으로 투여하기도 함
2) 일반 치료
① 충분한 수분 섭취
② 회음부의 위생 관리
③ 규칙적인 배뇨
④ 배뇨 이상 치료
⑤ 변비 치료
⑥ 요충 치료
⑦ 포경 수술
3) 수술 치료
① 신농양 또는 신주위 농양- 경피적 배농
12. 합병증
1) 신 반흔
① 신 반흔의 3대 위험 요소
압력: 방광 요관 역류(신장 내 역류), 요로 폐쇄, 신경성 방광
연령: 5세 미만, 특히 1세 미만, 신생아, 태아
감염: 세균의 독성, 면역 반응, 염증 반응, 치료 지연, 반복성 감염
② 신 반흔의 장기 예후
고혈압(소아기 고혈압의 20%)
단백뇨
만성 신부전(소아 말기 신부전의 20%0
신결석
2) Xanthogranulomatous 신우신염
드문 합병증
육아종성 염증을 특징으로 함
초음파상 신 종괴로 보이기도 함
신절제술 요함
13. 감별 진단
1) 바이러스성 출혈성 방광염: Adenovirus 11, 21형
2) Eosinophilic cystitis
14. 요로계 영상 검사
1) 적응증
요로 감염으로 확진된 모든 소아에서 실시
일부- 남아는 전부, 여아는 5세 미만, 급성 신우신염, 재발성 요로 감염시에만 선택적
으로 시행
검사의 종류도 선별해서 단계적으로 시행하기도 함
2) 종류
① 신장 초음파
급성기에 시행
신장 크기, 요로 폐쇄(수신증), 신 또는 신 주위 농양, 요관 확장, 방광 기형
②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voiding cystourethrography)
조영제 VCU는 방광 요관 역류, 후부 요도 판막의 진단에 필수적
검사에 따른 고통과 방사선 조사의 위험 때문에 신 초음파나 99mTc-DMSA 신주사상 이상이 있는 경우에만 시행하기도 함
검사 시기- 감염 후 2-6주로 논란, 요 배양검사가 음성이면 퇴원 전에 시행해도 무방
- 2-6주 후에 시행할 때에는 시행시까지 예방적 항균 요법이 필요
동위 원소 VCU
→ 역류의 진단에 대한 예민도가 높고 방사선 조사가 적어 여아 추적 검사나 가족 선별 검사시에 유용
전신 마취- 시행하지 않음, 일부에서 경구 midazolam 사용 가능
③ 99mTc-DMSA 신 주사
신 반흔의 진단에 가장 예민한 검사
치료 3~6개월 후에 시행하여 진단
요로 감염의 급성기- 급성 신우신염을 진단할 수 있으나 신 반흔과의 감별 어려워 주의
④ 정맥 내 신우 조영술, 신장 단층 촬영
신 반흔의 진단에 선별적으로 사용
2) 일반 치료
① 충분한 수분 섭취
② 회음부의 위생 관리
③ 규칙적인 배뇨
④ 배뇨 이상 치료
⑤ 변비 치료
⑥ 요충 치료
⑦ 포경 수술
3) 수술 치료
① 신농양 또는 신주위 농양- 경피적 배농
12. 합병증
1) 신 반흔
① 신 반흔의 3대 위험 요소
압력: 방광 요관 역류(신장 내 역류), 요로 폐쇄, 신경성 방광
연령: 5세 미만, 특히 1세 미만, 신생아, 태아
감염: 세균의 독성, 면역 반응, 염증 반응, 치료 지연, 반복성 감염
② 신 반흔의 장기 예후
고혈압(소아기 고혈압의 20%)
단백뇨
만성 신부전(소아 말기 신부전의 20%0
신결석
2) Xanthogranulomatous 신우신염
드문 합병증
육아종성 염증을 특징으로 함
초음파상 신 종괴로 보이기도 함
신절제술 요함
13. 감별 진단
1) 바이러스성 출혈성 방광염: Adenovirus 11, 21형
2) Eosinophilic cystitis
14. 요로계 영상 검사
1) 적응증
요로 감염으로 확진된 모든 소아에서 실시
일부- 남아는 전부, 여아는 5세 미만, 급성 신우신염, 재발성 요로 감염시에만 선택적
으로 시행
검사의 종류도 선별해서 단계적으로 시행하기도 함
2) 종류
① 신장 초음파
급성기에 시행
신장 크기, 요로 폐쇄(수신증), 신 또는 신 주위 농양, 요관 확장, 방광 기형
②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voiding cystourethrography)
조영제 VCU는 방광 요관 역류, 후부 요도 판막의 진단에 필수적
검사에 따른 고통과 방사선 조사의 위험 때문에 신 초음파나 99mTc-DMSA 신주사상 이상이 있는 경우에만 시행하기도 함
검사 시기- 감염 후 2-6주로 논란, 요 배양검사가 음성이면 퇴원 전에 시행해도 무방
- 2-6주 후에 시행할 때에는 시행시까지 예방적 항균 요법이 필요
동위 원소 VCU
→ 역류의 진단에 대한 예민도가 높고 방사선 조사가 적어 여아 추적 검사나 가족 선별 검사시에 유용
전신 마취- 시행하지 않음, 일부에서 경구 midazolam 사용 가능
③ 99mTc-DMSA 신 주사
신 반흔의 진단에 가장 예민한 검사
치료 3~6개월 후에 시행하여 진단
요로 감염의 급성기- 급성 신우신염을 진단할 수 있으나 신 반흔과의 감별 어려워 주의
④ 정맥 내 신우 조영술, 신장 단층 촬영
신 반흔의 진단에 선별적으로 사용
키워드
추천자료
당뇨병 보건교육안
TEF, 패혈증과 관련된 사례연구
비타민(vitamin, A,B,C,D,E,K)개념 효능 작용 결핍증
전립선비대증
조기진통케이스
아동의 야뇨증(유뇨증,enuresis) 진단과 치료방법(약물,야뇨경보기,행동치료)
신농양 케이스 스터디 (renal abscess,신장내과)
성간 비뇨기계 summary
아동정리 ★
성인간호학정리
오랄테스트 산부인과 용어정리
[신부전증] 신부전의 종류 - 급성신부전과 만성신부전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식사요법(식이...
성인간호학) 배뇨장애 대상자의_간호(요정체, 요실금, 신경성 방광, 요역류, 수신증)
[간호학] 비뇨기계 염증성 질환 대상자의 간호 (신우신염 방광염 요관 및 요도염 사구체 신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