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大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학 (大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대학 (大學)

대학장구서 ( 大學章句序 )

대학장구 ( 大學章句 )
제 1 편 경 문 ( 經 文 )
제 2 편 전 문 ( 傳 文 )

본문내용

下)
제 1 절
--- 君子는 有 矩之道也니라.
군 자 유 혈 구 지 도 야
군자는 자기의 마음으로 남의 마음을 헤아린다. (남의 어려운 사정을 잘 안다)
☞ 혈구( 矩) : 혈은 사물의 척도를 재는 동작, 구는 재는 도구 즉 자를 말함
所惡於上으로 毋以使下니라 ---
소 오 어 상 무 이 사 하
위에서 싫다는 것을 아랫사람에게 시키지 말 것이다.
--- 民之所好를 好之하며 民之所惡를 惡之라 此之謂民之父母니라. ---
민 지 소 호 호 지 민 지 소 오 오 지 차 지 위 민 지 부 모
백성들이 좋아하는 바를 좋아하며 백성들이 싫어 하는 바를 싫어한다. 이러한 사람을 일 러 백성의 부모라고 말한다.
제 2 절
--- (道)得衆則得國하고 失衆則失國이니라. 是故로 君子는 先愼乎德이니라.
도 득 중 즉 득 국 실 중 즉 실 국 . 시 고 군 자 선 신 호 덕
민중을 얻으면 곧 나라를 얻게 되고, 민중을 잃게 되면 곧 나라를 잃게 됨을 말함(道:말 하다의 뜻) 이다. 그러므로 군자는 먼저 덕을 쌓아야 한다
有德이면 此有人이오 有人이면 此有土요 有土면 此有財요 有財면此有用이니라.
유 덕 차 유 인 유 인 차 유 토 유 토 차 유 재 유 재 차 유 용
덕이 있으면 이에 사람이 따르게 되고, 사람이 따르면 이에 땅이 있게 되고, 땅이 있으면 이에 재물이 있게 되고, 재물이 있으면 이에 용도가 있게 된다.
德者는 本也요 財者는 末也니라. 外本內末이면 爭民施奪이니라.
덕 자 본 야 재 자 말 야 . 외 본 내 말 쟁 민 시 탈
덕은 근본이요 재물은 말단이니, 근본을 밖으로(소홀히) 하고 말단을 안으로(중히) 여기 면 백성들은 다투어 약탈하게 된다.
(是故로) 財聚則民散하고 財散則民聚하니라.
시 고 재 취 즉 민 산 재 산 즉 민 취
(그러므로) 재물이 모이면 백성들이 흩어지고 재물이 흩어지면 백성들이 모인다.
☞ 위정자가 재물을 좋아하여 돈을 긁어모으면 백성들이 등을 돌린다는 뜻.
(是故로) 言悖而出者는 亦悖而入하고 貨悖而入者는 亦悖而出하니라.
시 고 언 패 이 출 자 역 패 이 입 화 패 이 입 자 역 패 이 출
(따라서) 말이 거슬리어 나간 것은 또한 거슬리어 들어오고, 재물이 거슬리어 들어오면 거슬리어 나가는 것이다.
제 3 절
--- 楚國은 無以爲寶요 惟善을 以爲寶라 ---
초 국 무 이 위 보 유 선 이 위 보
(초서에 말하길) 초나라는 보배로 삼을 만한 것이 없고 오직 선으로서 보배를 삼는다 하 였다.
--- 見賢이 不能擧하며 擧而不能先은 命也요
견 현 불 능 거 거 이 불 능 선 명 야
어진 사람을 보고도 천거하지 않거나, 등용해 놓고도 얼른 쓰지 않으면 태만이다.
☞ 명(命) : 명을 정현은 만자(慢字)로, 정자는 태자(怠字)로 보아야 한다고 했다. 명자와 만자가 음이 비슷하여 잘못 적은 것으로 판단했음.
실지 본래의 명자 대로 뜻을 풀이를 하면 풀이가 안됨
見不善而不能退하며 退而不能遠은 過也니라.
견 불 선 이 불 능 퇴 퇴 이 불 능 원 과 야
착하지 못한 사람을 보고도 물리치지 못하고, 물리치되 멀리하지 못하는 것은 잘못이다.
好人之所惡하며 惡人之所好를 是謂不人之性이니 必逮夫身이니라.
호 인 지 소 오 오 인 지 소 호 시 위 불 인 지 성 재 필 체 부 신
남이 싫어하는 바를 좋아하며, 남이 좋아하는 바를 싫어하느 것, 이것은 사람의 본성에 어긋나는 짓이니 재앙이 반드시 자신에게 미치고야 말 것이다.
☞ : 재 또는 치로 읽으며, 재로 쓰일대는 재(災)앙 과 같은 뜻이다.
(是故로) 君子有大道하니 必忠信而得之하고 驕泰以失之하니라.
시 고 군 자 유 대 도 필 충 신 이 득 지 교 태 이 실 지
(이러한 까닭에) 군자에게는 큰 도가 있으니, 반드시 성실과 믿음으로써 그것을 얻고, 교 만함과 건방짐으로써 그것을 잃게 될 것이다.
제 4 절
生財有大道하니 生之者衆하고 食之者寡하며 爲之者疾하고
생 재 유 대 도 생 지 자 중 식 지 자 과 위 지 자 질
재물을 생기게 하는데도 대도가 있으니 생산자는 많고, 소비자는 적으며 마련하기는 빠 르게 하며
用之者舒하면 則財恒足矣니라.
용 지 자 서 즉 재 항 족 의
사용하는 사람이 아끼면, 곧 재물은 항상 풍족하게 된다는 것이다.
☞ 옛 사람들의 경제관을 볼수 있다.
仁者는 以財發身하고 不仁者는 以身發財니라. ---
인 자 이 재 발 신 불 인 자 이 신 발 재
어진 사람은 재물로써 몸을 일으키고, 어질지 못한 사람은 몸으로써 재물을 일으킨다
--- 孟獻子曰 畜馬乘은 不察於鷄豚하고 伐 之家는 不畜牛羊하고
맹 헌 자 왈 축 마 승 불 찰 어 계 돈 벌 빙 지 가 불 축 우 양
맹헌자가 말하길 수레 끄는 말을 기르는 사람은 닭과 돼지 먹이는 일을 살피지 아니하 고, (여름에) 얼음을 쓰는 집안에서는 소나 양을 기르지 아니하고
百乘之家는 不畜聚斂之臣이니라 與其有聚斂之臣인댄 寧有盜臣이라하니라.---
백 승 지 가 불 축 취 렴 지 신 여 기 유 취 렴 지 신 영 유 도 신
백대의 수레가 있는 집에서는 취렴(백성들로부터 부당하게 세금을 징수하는 것)하는 신 하를 두지 말 것이며, 취렴하는 신하를 두기보다는 차라리 도둑질하는 신하를 두는 편이 낫다.
☞ 맹헌자 : 노나라 대부로 이름은 중손멸이며 기품 있는 인물로 알려짐
☞ 백승지가 : 경(卿)이상의 신분을 나타내며, 천승은 제후, 만승은 천자를 뜻함 주나라 시대에는 1리4방에 병거 1승이 할당되었다..
☞ 자신보다 못하거나 없는 사람을 위해 그들의 생계수단 까지도 부업으로 하는 것은 잘 못이라 지적한말. 현재에는 대기업이 영세기업에서 하는 것까지 손을 대어 수십개의 업체를 그릅으로 형성하는 것이 잘 하는 일인지 ?
--- 雖有善者라도 亦無如之何矣니라.
수 유 선 자 역 무 여 지 하 의
(앞구절 요약 : 암금이 간신배를 두어 재물을 함부로 쓰다 나라가 위기에 처하게 되면)
비록 착한(유능한) 사람이 있을지라도, 또한 어찌할 수가 없는 것이다.
此謂國不以利爲利요 以義爲利也니라.
차 위 국 불 이 리 위 리 이 의 위 리 야
이것을 일컬어 나라는 이(利)로써 이로움을 삼지 아니하며, 의(義)로써 이로움을 삼는다 고 말하는 것이다.
이것으로 대학의 본문 정리를 마쳤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9.19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29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