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후반 소설 한설야의 황혼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한설야

2. 이 시기에는...(1930년대 후반의 소설들)

3. <황혼>을 중심으로...

4. 인물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5. 마치며...

본문내용

것은 하강과 대극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카프의 입장에서) 여기서 <황혼>이 카프 계열의 쇠퇴기 작품으로 그 계열을 이어 주고 있는 의미가 있다.
(3) 중도적 주인공의 역할... - 여순과 맺고 있는 주위의 인물들
여순은 이 소설에서 중도적 주인공의 역할을 한다. 그가 맺고 있는 여러 인간관계 특히 역사발전에 참여하지 못하고 몰락해가는 경재와 선전적 노동자로서 노동계급의 정치적 투쟁이 복무하는 준식의 사이에서 여순이 맺고 있는 관계는 이들 인물의 성격을 한층 더 잘 부각시켜준다. 그뿐 아니라 성욕에 날뛰는 자본가 안사장이나 신분 상승욕구에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정님이, 그리고 건강한 생명력을 지닌 여공 복술이들도 여순과의 관계 속에서 개성을 더욱 뚜렷이 드러내게 되는 것이다.
5. 마치며...
이와 같은 <황혼>은 카프가 해체되어 노동 운동이 쇠퇴할 때에 여순과 같은 노동운동의 한 전형을 만들고 몰락하는 인텔리의 관념의 허상으로 소시민으로 안주하는 비관적 현실을 사랑과의 관련 속에서 형상화한 30년대를 대표하는 리얼리즘의 장편소설이다.
참고문헌
권영민 <한설야論>
한국문학통사
한국현대문학사
한국근대민족문학사
구인환 <한설야의 생애와 작품세계>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8.08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89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