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액자소설, 농민소설, 신마소설, 인정소설, 의인소설, 영웅소설]소설과 액자소설, 소설과 농민소설, 소설과 신마소설, 소설과 인정소설, 소설과 의인소설, 소설과 영웅소설, 소설과 판소리계소설(판소리소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설, 액자소설, 농민소설, 신마소설, 인정소설, 의인소설, 영웅소설]소설과 액자소설, 소설과 농민소설, 소설과 신마소설, 소설과 인정소설, 소설과 의인소설, 소설과 영웅소설, 소설과 판소리계소설(판소리소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소설과 액자소설

Ⅱ. 소설과 농민소설

Ⅲ. 소설과 신마소설
1. 통치계급에서는 종교를 제창
2. 명대사상의 해방운동의 영향

Ⅳ. 소설과 인정소설

Ⅴ. 소설과 의인소설

Ⅵ. 소설과 영웅소설
1. 고귀한 혈통을 지니고 태어남
2. 비정상적으로 잉태되었거나 출생
3. 범인과는 다른 탁월한 능력을 타고 남
4. 어려서 기아(棄兒)가 되어 죽을 고비에 이름

Ⅶ. 소설과 판소리계소설(판소리소설)

참고문헌

본문내용

- 따라서 영웅소설의 주인공들이 나중에 펼칠 영웅적 활약의 바탕은 수학을 통해 얻어지는 후천적인 능력으로 이들이 선천적으로 가진 뛰어난 점은 평범한 사람들에 비해 머리가 총명하거나 영민하여 그 수학 속도가 빠르다는 점이다.
「장국진전」계향 : 천문지리와 병법, 창쓰기에 능통함.
「김희경전」설빙 : 시서백가(詩書百家)에 능통하고 검법을 익히매 일삭(一朔)에 통달함.
「이봉빈전」봉빈 : 총명혜일(聰明慧日)하고 재질이 과인함.
「홍계월전」계월 : 일람첩기(一覽輒記)하고 풍운조화지술을 삼삭(三朔) 안에 통달함.
위에서 밑줄을 그은 부분은 네 편의 여성영웅소설 주인공들이 혼자 혹은 스승의 도움을 얻어 그 능력을 수학한 부분이다. 계향이 천문지리와 병법에 능통하고 창쓰기를 잘 한 것과 설빙이 검법을 익힌 것은 혼자서 책을 보고 수학한 것이며, 계월이 풍운조화지술을 통달한 것은 스승인 곽도사의 가르침을 통한 것이었다. 이는 여성영웅소설의 주인공 역시 선천적이 아닌 후천적 노력의 결과로 얻어진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4. 어려서 기아(棄兒)가 되어 죽을 고비에 이름
‘영웅의 일생’ 구조에서 더욱 강한 영웅이 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시련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시련의 과정은 능력의 차이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즉, 선천적 능력을 타고났던 영웅들은 자신의 탁월한 능력을 두려워하는 주변 사람들에 의해 죽을 위기에 처하는 직접적인 시련을 겪는다. 이에 비해 후천적 능력을 가진 영웅소설들의 주인공들은 그들의 능력이 아직 드러나지 않았으므로 자신에게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시련보다는 간신의 참소로 인한 집안의 몰락으로 그 형태가 바뀌어 나타난다.
「장국진전」계향 : 어려서 아버지 이창옥이 간신의 참소를 받아 역률로 다스려지고, 그 어머니가 이에 절망해서 자살함.
「김희경전」설빙 : 아버지가 참소를 받아 원찬(遠竄)되었다가 사망함. 희경을 찾을 수 없어 강에 투신함.
「이봉빈전」봉빈 : 부모가 운공부자의 참사에 절망하여 병사함. 강희가 혼인을 강행하므로 집에서 나와 피신함.
「홍계월전」계월 : 장사랑의 난이 일어나 피난을 가다 수적 맹길을 만나 물에 던져지고 부모와도 이별함.
특히 여성영웅소설의 주인공들은 여성이라는 신분적 한계로 인해 부모와의 헤어짐이나 부모의 죽음은 이제 그들을 지탱해 주었던 의지처가 없어졌다는 심리적 불안과 함께 생계의 막막함이 큰 시련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계월을 제외한 나머지 세 작품에 나타나는데, 설빙과 봉빈의 경우는 여기에 정혼자인 희경과 운기의 부재(不在)가 더해져 그 시련이 더욱 강하게 그려지고 있다.
Ⅶ. 소설과 판소리계소설(판소리소설)
판소리계 소설이 무엇인지를 알기 전에 판소리부터 알아야 할 것이다. 판소리란 어떠한 이야기를 노래로 부른 것이다. 그러한 이야기는 바로 구비된 문학, 말로써 전해지는 이야기로써 아직 글로 남기지 않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글이란 것이 양반계층의 전유물이었기에 하층계급의 사람들은 이렇게 구비로써 어떠한 이야깃거리를 전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판소리가 개인의 창작이 아니고 공동작이었기에 민중 모두가 그 창자에 참여할 수 없고 전문적인 소리꾼에 의하여 발전되었다는 점은 일반적인 구비문학과는 조금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판소리에는 풍자해학과 함께 비속적인 내용이 많아 서민의 의식이 반영된 예술이었다.
이러한 구비문학에서 독서 물로써의 소설로 정착된 것이 이른바 판소리계 소설이다.
판소리계소설에는「춘향전」「심청전」「흥부전」「토끼전」「변강쇠전」「장끼전」등이 있다. 이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은 기존의 판소리로부터 유래한 율문적 문체가 있다. 이것은 바로 창의 대본이었다.
그리고 감탄법, 중언법에다 직유와 은유를 자주 구사하는 수사적 특징을 가진다.
판소리계 소설에서는 평민적 인물 및 세계관을 보여주며 삶의 고통에 마주선 비장함이 구수한 해학, 신랄한 풍자와 함께 공존하면서 조선 후기 생활상을 폭넓게 형상화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광순 / 의인소설의 사적 전개와 문학적 성격, 한국문학언어학회, 1982
김승종 / 한국액자소설 연구 :형성 및 발전과정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2000
민긍기 / 영웅소설 작품구조와 총체적 의미규명을 위한 예비적 고찰, 마산대학, 1983
박현정 / 판소리계소설에 나타난 재담의 유형과 교육방향, 조선대학교, 2011
이명우 / 한국 농민소설의 사적 연구, 동국대학교, 1997
장춘석 외 1명 / 신마소설에 보이는 전세에 대한 연구, 한국중국어문학회, 2011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2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6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