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반민 특위의 등장 배경
경찰기구의 재편
군부의 성격
2. 반민특위의 성립
3. 반민특위의 활동
4. 반민특위의 와해
1)이승만과 반민특위
2)친일파의 저항
맺음말
참고문헌
경찰기구의 재편
군부의 성격
2. 반민특위의 성립
3. 반민특위의 활동
4. 반민특위의 와해
1)이승만과 반민특위
2)친일파의 저항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단독정부 수립 후 그들은 여전히 누리고 있던 권력과 사회적 지위를 수단으로 하여 그 기득권을 유지할 수 있었기에 반민법 법률 자체를 쓸모없게 만들었다. 그야말로 친일파의 매국 행위 처벌을 통한 정의 회복과 민족정기 선양 및 광복의 기본정신 관철이란 절호의 기회가 무참하게 짓밟혀 물거품으로 사라져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이처럼 해방과 건국과정에서 첫 단추가 잘못 끼워짐으로 이승만 정권이 친일 정권으로 출발하게 되었고 그 후에 정부도 친일관료의 정권이 되었다. 이후 1961년 5. 16쿠데타로 등장한 박정희 정권도 만주를 중심으로 활약하던 친일파가 주도하는 정권이었다. 해방 후 50년 만에 정권이 교체되었다고 하지만, 이 나라의 실세가 되어온 친일 부패 세력은 정계ㆍ관계ㆍ재계 등 사회 각 분야에서 실력자로 군림하고 있다.
비록 반민특위가 실패는 하였다고 하나, 매국노들을 없애고 일제의 잔재를 청산하려는 민족적이고 자발적이었다는 점 하나는 높이 사야 한다고 생각하고 반민특위가 다하지 못한 역사적 과제는 깊이 생각해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이현희, 『한국 근대사의 재조명』(2000, 삼광출판사)
정차근, 허재일 『해방전후사의 바른 이해』(1991, 평민사)
오익환, 「반민특위의 활동과 와해」『해방전후사의 인식1』(1979, 한길사:서울)
이강수,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조직과 구성」, 『국사관 논총』84집,(1999, 국사편찬위원회)
이동일, 「1948-49년 반민족위의 구성과 피의자 기소내용에 관한 분석」, 『한국민족운동사연구 17』(1997, 한국민족운동사 연구회)
반민족행위 특별조사위원회
성 명
직 위
출신지
소 속
경 력
김상덕
위원장
경북
민족통일본부
임정학무국차장, 조선청년독립단 대표,
한국독립군 참가
김상돈
부위원장
서울
서울
3ㆍ1운동 참가, 재미한국인국민회 교육부장
조중현
위원
경기
무소속
보성전문 졸, 채광업 경영
박우경
위원
충북
국민당
한일운송(주) 지배인, 신재생산판매조합 이사
김명동
위원
충남
무소속
3ㆍ1운동 참가, 신간회 상무집행위원
오기열
위원
전북
무소속
독립운동 참가,
조선독립군 청년단의 융단 조직
김준연
위원
전남
한민당
<동아일보>편집국장,
신간회 참가, 일장기 말살사건
김효석
위원
경남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경남하동 지점장,
한민당 집행위원
이종손
위원
강원
상동
호산기독청년회 총무,
한국민족대표자 대의원
김경배
위원
무소속
독립운동가, 연백면장, 군수, 수리조합장
비록 반민특위가 실패는 하였다고 하나, 매국노들을 없애고 일제의 잔재를 청산하려는 민족적이고 자발적이었다는 점 하나는 높이 사야 한다고 생각하고 반민특위가 다하지 못한 역사적 과제는 깊이 생각해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이현희, 『한국 근대사의 재조명』(2000, 삼광출판사)
정차근, 허재일 『해방전후사의 바른 이해』(1991, 평민사)
오익환, 「반민특위의 활동과 와해」『해방전후사의 인식1』(1979, 한길사:서울)
이강수,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조직과 구성」, 『국사관 논총』84집,(1999, 국사편찬위원회)
이동일, 「1948-49년 반민족위의 구성과 피의자 기소내용에 관한 분석」, 『한국민족운동사연구 17』(1997, 한국민족운동사 연구회)
반민족행위 특별조사위원회
성 명
직 위
출신지
소 속
경 력
김상덕
위원장
경북
민족통일본부
임정학무국차장, 조선청년독립단 대표,
한국독립군 참가
김상돈
부위원장
서울
서울
3ㆍ1운동 참가, 재미한국인국민회 교육부장
조중현
위원
경기
무소속
보성전문 졸, 채광업 경영
박우경
위원
충북
국민당
한일운송(주) 지배인, 신재생산판매조합 이사
김명동
위원
충남
무소속
3ㆍ1운동 참가, 신간회 상무집행위원
오기열
위원
전북
무소속
독립운동 참가,
조선독립군 청년단의 융단 조직
김준연
위원
전남
한민당
<동아일보>편집국장,
신간회 참가, 일장기 말살사건
김효석
위원
경남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경남하동 지점장,
한민당 집행위원
이종손
위원
강원
상동
호산기독청년회 총무,
한국민족대표자 대의원
김경배
위원
무소속
독립운동가, 연백면장, 군수, 수리조합장
추천자료
사회적 이슈의 헌법적 쟁점화와 기여-성매매특별법의 헌법적 쟁점
법률 불소급과 관련한 5.18 특별법 분석
한국의 성매매 정책과 성매매특별법
포르노와 성매매 그리고 특별법
행정중심 복합도시 건설 특별법
[여성학]성매매 특별법 시행후 현황과 문제점및 대책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신행정수도의 건설을 위한 특별조치법 위헌확인에 대한 논평
[헌법판례분석A+] 신행정수도의건설을위한특별조치법 위헌 확인 (2004.10.21, 2004헌마554 56...
[법학개론] 성매매 특별법에 대하여
부동산 민법 및 민사특별법 2012
[이슈] 세월호 특별법 처리 지연 (세월호 유족들, 진상규명, 세월호 국정조사, 수사권 특검, ...
사회복지정책관련 신문기사 분석(성매매방지특별법, 금연치료프로그램, 신문기사분석, 개인의견)
[정책학개론] (성매매특별법 정책 분석) 정책의 형성 과정, 정책의 집행, 정책 평가, 정책 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