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기
2. 본문
3. 맺음말
2. 본문
3. 맺음말
본문내용
산으로 도망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행동을 하면 그것은 신념에 따른 행동이었을지언정 제어할 수 없기에 신념이라기보다는 모험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가 그 맹수가 사자나 늑대 등이었다면 제어할 수 있었을까? 그리고 그것을 제어 했다고 해도 그것은 이미 자연 상태가 아니기에 자신의 신념에 반하는 행동이었다고 할 수 있다.
3. 맺음말
어떻게 앎과 신념을 조화시킬 수 있을까? 앎이라고 하는 것은 시대에 따라 변화가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변화가 되기도 한다. 앎이라고 하는 것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기에 자신에게 맞는 것을 고를 수 있다. 진리라고 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것을 받아들일 수 있다. 진리가 아니기에 그것들은 섞일 수 있고 배척하기도 하면서 신념을 만들어 간다. 물론 이러한 방식이 지극히 개인적인 방식이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이러기도 하고 저러기도 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내가 여러 가지 일들을 겪으면서 보고, 느끼고, 판단한 결과들과 간접적으로 책이나 tv를 통해 얻은 앎들을 조화 시켜나가면 「절대적인 것은 없다.」라는 나의 신념을 보조하며 행동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 자신한다.
3. 맺음말
어떻게 앎과 신념을 조화시킬 수 있을까? 앎이라고 하는 것은 시대에 따라 변화가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변화가 되기도 한다. 앎이라고 하는 것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기에 자신에게 맞는 것을 고를 수 있다. 진리라고 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것을 받아들일 수 있다. 진리가 아니기에 그것들은 섞일 수 있고 배척하기도 하면서 신념을 만들어 간다. 물론 이러한 방식이 지극히 개인적인 방식이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이러기도 하고 저러기도 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내가 여러 가지 일들을 겪으면서 보고, 느끼고, 판단한 결과들과 간접적으로 책이나 tv를 통해 얻은 앎들을 조화 시켜나가면 「절대적인 것은 없다.」라는 나의 신념을 보조하며 행동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 자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