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심폐소생술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1. 심폐소생술의 정의
□ 2. 심폐소생술의 목적
□ 3. 올바른 심폐소생술의 기본
□ 4. 심폐소생술의 기본적인 요소
□ 5. 심페소생술 과정 및 환자간호
□ 6. 심폐소생술의 방법
□ 7. CPR을 하지 않는 경우
□ 1. 심폐소생술의 정의
□ 2. 심폐소생술의 목적
□ 3. 올바른 심폐소생술의 기본
□ 4. 심폐소생술의 기본적인 요소
□ 5. 심페소생술 과정 및 환자간호
□ 6. 심폐소생술의 방법
□ 7. CPR을 하지 않는 경우
본문내용
d pulse)을 촉진해 봄으로써 심장과 혈류 흐름을 파악한다.
기도 개방후 2회의 인공호흡을 연속 실시한 뒤 환자의 맥박을 확인하고 똑바로 눕힌다.
Carotid pulse가 촉진되지 않으면 CPR 형태의 basic life support 방법을 시행하여야 하며, 맥박은 있고, 호흡이 없다면 인공 호흡을 계속 실시한다.
심장압박 부위를 확인하고 흉부압박법을 실시한다.
③ 주의사항
늑골골절이 일어나지 않도록 정확하게 실시한다.
심장내로 약물을 주사했다면 혈흉, 기흉, 심장압전의 증상이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호흡하기 힘들거나 기이맥 심잡음,빈맥, 호흡음의 감소또는 혈압하강이 있으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2) 2차 소생술
① 1차소생술을 실시한다.
② 호흡 및 순환유지를 위한 기구나 장비를 사용한다.
③ 심부정맥 발견 및 치료를위하여 제세동법을 포함한 치료장비를 사용한다.
④ 계속 관찰하면서 후송한다.
□ 7. CPR을 하지 않는 경우
1) DNR - 불치병으로 사망한 경우
- 의사의 지시로 구조술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2) 구조술 후 의식의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3분이 지나버려서 재생이 불가능하다고 의사가 판단할때)
기도 개방후 2회의 인공호흡을 연속 실시한 뒤 환자의 맥박을 확인하고 똑바로 눕힌다.
Carotid pulse가 촉진되지 않으면 CPR 형태의 basic life support 방법을 시행하여야 하며, 맥박은 있고, 호흡이 없다면 인공 호흡을 계속 실시한다.
심장압박 부위를 확인하고 흉부압박법을 실시한다.
③ 주의사항
늑골골절이 일어나지 않도록 정확하게 실시한다.
심장내로 약물을 주사했다면 혈흉, 기흉, 심장압전의 증상이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호흡하기 힘들거나 기이맥 심잡음,빈맥, 호흡음의 감소또는 혈압하강이 있으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2) 2차 소생술
① 1차소생술을 실시한다.
② 호흡 및 순환유지를 위한 기구나 장비를 사용한다.
③ 심부정맥 발견 및 치료를위하여 제세동법을 포함한 치료장비를 사용한다.
④ 계속 관찰하면서 후송한다.
□ 7. CPR을 하지 않는 경우
1) DNR - 불치병으로 사망한 경우
- 의사의 지시로 구조술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2) 구조술 후 의식의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3분이 지나버려서 재생이 불가능하다고 의사가 판단할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