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상황을 불러온다. 정부의 투자계획으로 기업은 미리 정보를 쥐고 땅을 사들임으로써 부동산에서 막대한 때돈을 벌 수 있다. 오늘날의 경제성장은 현재진행형으로 생각한다. 정부의 개성공단의 착수는 점차 통일을 대비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개성공단은 전쟁을 막는 수단으로써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외국 자본과 국내 자본이 북한내의 들어감으로써 미국의 일방주의적 정치, 네오콘(신보수주의자)의 행동을 막을 수 있는 안전장치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즉, 외국자본에 앞서 한국내 자본이 들어가서 성공을 하게 되면 외국 자본도 같이 들어가게 된다. 이는 자본을 투자한 외국기업의 뒤에 있는 국가에서 전쟁을 막게 되는 것이다. 물론 기업은 이윤을 두고 진출한다. 국가의 입장과 기업의 입장이 맞물려 돌아가는것을 기대해본다.
추천자료
[한국경제]한국경제공황 기원, 한국경제 위기,배경, 한국 외환위기, 금융위기 원인,특징, 지...
[한국경제][한국경제 세계화][경제][IMF]IMF경제위기(IMF외환위기)의 배경, 대응과 IMF경제위...
[한국경제][한국경제개발][한국 경제발전과정][한국경제성장 특징][한국경제 문제점][한국경...
[한국경제][한국경제개혁]IMF경제위기(IMF외환위기, IMF금융위기) 원인,내용, IMF경제위기(IM...
[한국경제][한국경제개발][한국경제성장][한국무역정책][한국경제개발전략][한국경제위기][중...
[한국경제][한국경제위기][IMF][한국경제개발전략][한국경제개발정책][한국경제개혁][한국경...
[한국경제개발][정부 역할][누적채무][한국과 일본 경제개발 차이점]한국경제개발의 특징, 한...
[무역학과 관세론]농업과 WTO협상 개념과 한국경제 그리고 농촌지역문제 및 WTO 농업협상의 ...
전자본주의기와 일제 강점기에 대한 한국경제사적 고찰
중화학공업 육성을 기본으로 한 1970년대 한국경제의 발전
임진왜란 전·후의 한국경제사의 변화
한국경제 성장잠재력의 현황, 한국경제 성장잠재력의 안정, 한국경제 성장잠재력과 인도경제...
제2차세계대전 이후의 탈식민지현상, 제2차세계대전 이후의 한국경제, 제2차세계대전 이후의 ...
[한국경제] 한국 경제 발전과정 (1960년대 한국의 경제발전, 1970년대의 한국의 경제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