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훈 -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난다. 그리고 마을사람들은 위협이 사라진 것을 기뻐하게 된다. 즉, 흉년이 들어 아기장수가 다시 돌아오고 떠나는 그 과정 속에서 제의의식이 짙게 드러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말을 더듬는 남편도 이 희곡의 특성중 하나이다. 뚜렷한 의사표현을 하기가 힘들게 말을 더듬는 남편은 극중 농민들의 마음을 모두 대변한다고 볼 수 있다. 하고 싶은 말도 많고 하고 싶은 일도 많지만 차단된 입과 몸이라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그저 말을 더듬는 것으로 표현하지만 사실 이것은 하고 싶은 말을 다 하지 못하는 민중의 모습과 동일시된다. 또한 결국 자식을 죽일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내몰린 아버지의 모습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관군 앞에서 그저 무력할 수 밖 에 없는 모습이 여실히 드러난다.
Ⅲ. 결론
이 작품에서는 가족적 비극이 사회적인 비극으로 나아간다. 최인훈은 가족을 혈연집단이면서 동시에 사회적인 집단으로 바라보고 이야기를 풀어나갔다. 그렇게 하여 주인공부부의 비극과 도적이 되어 죽은 아들의 머리를 찾는 할머니의 비극은 사회적인 역사의식도 동시에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아기장수의 탄생-죽음-재생의 제의구조는 더 풍부한 의미를 지니며 우리에게 다가온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9.29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41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