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화사 염불암관경변상도 桐華寺 念佛庵觀經變相圖
동화사 염불암마애불좌상 桐華寺 念佛庵 磨崖佛坐像
동화사 당간지주 桐華寺 幢竿支株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桐華寺 毘盧庵 三層石塔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동화사 염불암마애불좌상 桐華寺 念佛庵 磨崖佛坐像
동화사 당간지주 桐華寺 幢竿支株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桐華寺 毘盧庵 三層石塔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본문내용
8구를 배열하였다. 또한, 두광.신광의 바깥에는 불꽃무늬를 묘사하고 가장 윗부분에는 삼존불형태의 화불을 배치하였다. 이러한 형식의 광배는 특히 9세기에 유행한 것이다. 대좌는 통일신라시대에 가장 유행한 8각삼단대좌(八角三段臺座)인데, 상대와 하대에는 연꽃무늬가 조각되어 있고, 거의 원통형에 가까운 8각의 중대에는 구름무늬와 괴수문(怪獸紋)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전체적으로 화려하고 섬려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상대의 꽃무늬는 8세기의 연꽃과는 다른 섬세하고 화려한 것이며,중대의 안상(眼象)에 부조된 상 역시 형태와 선에서 섬세함이 잘 표현되어 있다. 특히, 불상과 관련된 사실이 비로암 석탑조성기에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신라 하대 조각양식 편년에 절대적인 자료가 되는 귀중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