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해령을 축으로 판이 확장되어 해구 쪽으로 이동하며, 맨틀 대류가 하강하는 해구에서는 해양판이 비스듬히 침강하여 소멸된다.
→판구조론
(3)판의 경계
-발산형 경계 : 판과 판이 갈라지면서 생긴 경계로 해양판이 갈라져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해 나가면서 만들어진 경계이다. 해양판의 발산경계에서는 해령이 만들어지는데 이는 육지의 산맥에 해당하는 것이다. 해령은 고온의 용융체가 두 판사이의 공간으로 상승하여 맨틀에서 해양저의 표면을 융기시킴으로 인해서 생기는 것이다. 확장축 부근에는 두 판 사이에 생긴 공간으로 가운데가 움푹 파인 공짜기가 생성되는 열곡이 형성되기도 한다. 그 예로 대서양 중앙 해령을 들 수 있다.
→발산형 경계
-수렴형 경계 : 판과 판이 만나 생긴 경계로 두 판이 서로 접근하여 충동하는 경계이다. 대륙판과 대륙판의 경계, 대륙판과 해양판의 경계, 해양판과 해양판의 경계가 있다. 수렴경계는 소멸경계라고도 하는데 마리아나 해구나 일본해구, 알프스 히말라야 산맥을 예로 들 수 있다.
-보존형경계 : 판과 판이 어긋나면서 생긴 경계로 두 판이 접하고 있지만 멀어지거나 가까워지지 않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경계이기 때문에 변환단층경계라고도 한다. 대서양 중앙해령이나 동태평양 해령 중간 중간을 끊어놓고 있는 수많은 변환단층이 보존경계에 해당하는데 대표적인 예로 미국 캘리포니아의 산안드레아스 단층을 들수 있다.
2) 판의 이동으로 생기는 것
(1)발산형 경계 : 판이 멀어지는 경계
-해령 : 판이 벌어지면서 그 사이로 마그마 등이 분출하여 쌓이는 것으로 규모면에서 습곡산맥과 비교가 안될 정도로 거대하며 대표적인 예로 대서양 중앙 해령을 들 수 있다.
-열곡 : 해령 상부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판이 멀어지는 사이로 V자 모양 틈이 생기 는 것이다.
(2)수렴형 경계 : 판이 모이는 곳
-해구 : 판이 모이면서 하나의 판이 다른 판 아래로 들어가는 지형으로 대표적인 마 리아나 해구는 지구에서 가장 깊은 곳이다.
-열도(호상 열도) : 판의 경계가 아닌 그 근처에서 생기는 것으로 해구의 베니오프대 에서 화산등이 일어나고 이 화산 분출물이 쌓여 섬을 만드는데 대표적인 예로 일본을 들 수 있다.
-습곡 산맥 :판이 모이면서 올라가는 것인데 해구는 대륙판과 해양판이 만나서 만들어 지는 것이고 이것은 대륙판까리 만나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아주 높게 올라간다. 대표적인 예로 알프스와 히말라야 산맥을 들 수 있다.
(3)보존형 경계 : 판이 어긋나는 곳
-변환단층 : 판이 엇갈려서 단층이 만들어진다.
-열점 : 맨틀 깊은 곳에 고정되어 있는 마그마 덩어리를 열점이라고 한다. 이곳은 판의 경계는 아니지만 화산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판의 이동에 의해 일련의 화산섬을 만 들어 내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생성된 대표적인 섬이 하와이 제도이다.
3) 판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지질 현상
(1)발산형 경계에서 지각변동 : 발산형 경계에서는 맨틀 대류가 상승하여 해저 화산 활 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맨틀 대류의 방향으로 판이 이동하면서 해저가 확장된다. 발 산형 경계에서는 해양판과 대륙판이 발산하는 예는 관찰되지 않으며 대서양 중앙 해 령은 같이 해양판과 해양판이 만나는 경우와 동아프리카 열곡대와 같이 대륙판과 대 륙판이 만나는 경우를 관찰할 수 있다.
-열곡 발달 : 해령의 정상부에 V자 모양의 열곡이 발달한다.
-화산 활동 : 해령 정상부의 열곡을 따라 고온의 현무암질 마그마가 분출함으로 인해 새로운 해양 지각이 만들어진다.
-지진 : 해저 확장을 일으키는 장력으로 정단층이 발달하며, 천발지진이 주로 발생한 다.
→대서양 해양저에 발달한 발산경계
(2)수렴형 경계에서 지각변동 : 맨틀이 대류함으로서 두 판이 수렴하고 이에 따라 해구 와 호상 열도가 만들어지고, 습곡 산맥이 형성된다.
-대륙판- 해양판 : 지각변동
해구 형성 : 대륙판과 해양판이 충돌하게 되면 밀도가 큰 해양판이 밀도가 작은 대 륙판 아래로 비스듬히 침강하여 소멸되는데 그 경계부에서 폭이 좁고 수심이 깊은 해구가 형성된다.
화산 활동 : 판이 침강하여 온도와 압력이 높은 지하로 끌려 들어간 물질은 녹게 되 고, 이 때 생성된 안산암질 마그마가 지표에 분출하여 호상 열도가 생성된다.
지진 :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비스듬히 침강하기 때문에 베니오프 대를 따라 지진 이 발생하게 되는데, 해구 부근에서는 천발지진이 주로 발생하고, 대륙쪽으로 갈수 록 심발지진이 주로 발생한다.
-대륙판- 대륙판 : 지각 변동
조산대 형성 : 두 대륙판이 충돌하면서 경계부의 지각이 솟아올라 조산대를 형성하 는데, 히말라야 산맥이 이것에 속한다.
화산 활동 : 대륙판은 맨틀에 비해 밀도가 매우 작다. 두 대륙판이 충돌하는 곳에서 는 화산 활동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대륙판이 지하 깊은 곳까지 침강하 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진 : 지진은 깊이 약 3000Km 이내에서 판의 경계를 따라 빈번하게 발생한 다
(3)보존형 경계에서 지각변동 : 두 판이 접하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평형 하게 미끄러 지는 경계이며 판의 형태가 보존된다.
-변환단층 발달: 해령축을 지각으로 절단하는 변환단층이 발달한다. 해령은 변환 단층 에 의해 어긋나 있는 곳이 많다.
-화산 활동 : 보존형 경계는 판이 생성, 소멸되는 곳이 아니기 때문에 화산 활동 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지진 : 해령과 해령 사이에서 천발지진이 자주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해령을 중심으 로 해저가 확장하여 판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판의 경계와 지각변동
판의 종류
특징적인 형태
판의 경계
발산형 경계
수렴형 경계
보존형 경계
해양판과 해양판
지형
해령, V자 열곡
해구
변환 단층
지진
천발 지진
천발지진, 심발지진
천발 지진
화산 활동
해령의 열곡에서 활발함
호상 열도에서 활발함
화산 활동 없음
해양판과 대륙판
지형
-
해구
산안드레아스 단층
지진
-
천발 지진, 심발지진
천발지진
화산 활동
-
호상열도에서 활발함
화산 활동 없음
대륙판과 대륙판
지형
열곡
습곡 산맥
-
지진
천발지진
천발 지진, 심발지진
-
화산 활동
열곡에서 활발함
화산 활동 없음
-
→판구조론
(3)판의 경계
-발산형 경계 : 판과 판이 갈라지면서 생긴 경계로 해양판이 갈라져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해 나가면서 만들어진 경계이다. 해양판의 발산경계에서는 해령이 만들어지는데 이는 육지의 산맥에 해당하는 것이다. 해령은 고온의 용융체가 두 판사이의 공간으로 상승하여 맨틀에서 해양저의 표면을 융기시킴으로 인해서 생기는 것이다. 확장축 부근에는 두 판 사이에 생긴 공간으로 가운데가 움푹 파인 공짜기가 생성되는 열곡이 형성되기도 한다. 그 예로 대서양 중앙 해령을 들 수 있다.
→발산형 경계
-수렴형 경계 : 판과 판이 만나 생긴 경계로 두 판이 서로 접근하여 충동하는 경계이다. 대륙판과 대륙판의 경계, 대륙판과 해양판의 경계, 해양판과 해양판의 경계가 있다. 수렴경계는 소멸경계라고도 하는데 마리아나 해구나 일본해구, 알프스 히말라야 산맥을 예로 들 수 있다.
-보존형경계 : 판과 판이 어긋나면서 생긴 경계로 두 판이 접하고 있지만 멀어지거나 가까워지지 않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경계이기 때문에 변환단층경계라고도 한다. 대서양 중앙해령이나 동태평양 해령 중간 중간을 끊어놓고 있는 수많은 변환단층이 보존경계에 해당하는데 대표적인 예로 미국 캘리포니아의 산안드레아스 단층을 들수 있다.
2) 판의 이동으로 생기는 것
(1)발산형 경계 : 판이 멀어지는 경계
-해령 : 판이 벌어지면서 그 사이로 마그마 등이 분출하여 쌓이는 것으로 규모면에서 습곡산맥과 비교가 안될 정도로 거대하며 대표적인 예로 대서양 중앙 해령을 들 수 있다.
-열곡 : 해령 상부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판이 멀어지는 사이로 V자 모양 틈이 생기 는 것이다.
(2)수렴형 경계 : 판이 모이는 곳
-해구 : 판이 모이면서 하나의 판이 다른 판 아래로 들어가는 지형으로 대표적인 마 리아나 해구는 지구에서 가장 깊은 곳이다.
-열도(호상 열도) : 판의 경계가 아닌 그 근처에서 생기는 것으로 해구의 베니오프대 에서 화산등이 일어나고 이 화산 분출물이 쌓여 섬을 만드는데 대표적인 예로 일본을 들 수 있다.
-습곡 산맥 :판이 모이면서 올라가는 것인데 해구는 대륙판과 해양판이 만나서 만들어 지는 것이고 이것은 대륙판까리 만나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아주 높게 올라간다. 대표적인 예로 알프스와 히말라야 산맥을 들 수 있다.
(3)보존형 경계 : 판이 어긋나는 곳
-변환단층 : 판이 엇갈려서 단층이 만들어진다.
-열점 : 맨틀 깊은 곳에 고정되어 있는 마그마 덩어리를 열점이라고 한다. 이곳은 판의 경계는 아니지만 화산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판의 이동에 의해 일련의 화산섬을 만 들어 내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생성된 대표적인 섬이 하와이 제도이다.
3) 판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지질 현상
(1)발산형 경계에서 지각변동 : 발산형 경계에서는 맨틀 대류가 상승하여 해저 화산 활 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맨틀 대류의 방향으로 판이 이동하면서 해저가 확장된다. 발 산형 경계에서는 해양판과 대륙판이 발산하는 예는 관찰되지 않으며 대서양 중앙 해 령은 같이 해양판과 해양판이 만나는 경우와 동아프리카 열곡대와 같이 대륙판과 대 륙판이 만나는 경우를 관찰할 수 있다.
-열곡 발달 : 해령의 정상부에 V자 모양의 열곡이 발달한다.
-화산 활동 : 해령 정상부의 열곡을 따라 고온의 현무암질 마그마가 분출함으로 인해 새로운 해양 지각이 만들어진다.
-지진 : 해저 확장을 일으키는 장력으로 정단층이 발달하며, 천발지진이 주로 발생한 다.
→대서양 해양저에 발달한 발산경계
(2)수렴형 경계에서 지각변동 : 맨틀이 대류함으로서 두 판이 수렴하고 이에 따라 해구 와 호상 열도가 만들어지고, 습곡 산맥이 형성된다.
-대륙판- 해양판 : 지각변동
해구 형성 : 대륙판과 해양판이 충돌하게 되면 밀도가 큰 해양판이 밀도가 작은 대 륙판 아래로 비스듬히 침강하여 소멸되는데 그 경계부에서 폭이 좁고 수심이 깊은 해구가 형성된다.
화산 활동 : 판이 침강하여 온도와 압력이 높은 지하로 끌려 들어간 물질은 녹게 되 고, 이 때 생성된 안산암질 마그마가 지표에 분출하여 호상 열도가 생성된다.
지진 :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비스듬히 침강하기 때문에 베니오프 대를 따라 지진 이 발생하게 되는데, 해구 부근에서는 천발지진이 주로 발생하고, 대륙쪽으로 갈수 록 심발지진이 주로 발생한다.
-대륙판- 대륙판 : 지각 변동
조산대 형성 : 두 대륙판이 충돌하면서 경계부의 지각이 솟아올라 조산대를 형성하 는데, 히말라야 산맥이 이것에 속한다.
화산 활동 : 대륙판은 맨틀에 비해 밀도가 매우 작다. 두 대륙판이 충돌하는 곳에서 는 화산 활동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대륙판이 지하 깊은 곳까지 침강하 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진 : 지진은 깊이 약 3000Km 이내에서 판의 경계를 따라 빈번하게 발생한 다
(3)보존형 경계에서 지각변동 : 두 판이 접하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평형 하게 미끄러 지는 경계이며 판의 형태가 보존된다.
-변환단층 발달: 해령축을 지각으로 절단하는 변환단층이 발달한다. 해령은 변환 단층 에 의해 어긋나 있는 곳이 많다.
-화산 활동 : 보존형 경계는 판이 생성, 소멸되는 곳이 아니기 때문에 화산 활동 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지진 : 해령과 해령 사이에서 천발지진이 자주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해령을 중심으 로 해저가 확장하여 판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판의 경계와 지각변동
판의 종류
특징적인 형태
판의 경계
발산형 경계
수렴형 경계
보존형 경계
해양판과 해양판
지형
해령, V자 열곡
해구
변환 단층
지진
천발 지진
천발지진, 심발지진
천발 지진
화산 활동
해령의 열곡에서 활발함
호상 열도에서 활발함
화산 활동 없음
해양판과 대륙판
지형
-
해구
산안드레아스 단층
지진
-
천발 지진, 심발지진
천발지진
화산 활동
-
호상열도에서 활발함
화산 활동 없음
대륙판과 대륙판
지형
열곡
습곡 산맥
-
지진
천발지진
천발 지진, 심발지진
-
화산 활동
열곡에서 활발함
화산 활동 없음
-
추천자료
한류를 통한 동아시아 공동체의 가능성 찾기
제주도 관광개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기후변화협약 이후 10년 성과는 있는가?
컨테이너터미널의 역할과 컨테이너터미널의 운영시스템 및 ON-DOCK Terminal(온도크터미널)의...
[기후변화]기후변화의 원인과 문제점,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도 상승(지구온난화), 기후변화...
조선산업의 현재와 미래
해조류실험레포트(표본만들기 포함)
[4대강] 4대강 살리기의 긍정적, 부정적 분석
[수산업][수산업 현황][수산업 특수성][수산업 여건변화][수산업 기반조성정보][수산업 당면 ...
세계 영토분쟁,한국의 영토분쟁,영토분쟁의 유형,ICJ 사례(양자간의 법정 협정),영유권의 승...
기후변화 사례 및 영향
(한국사회문제A형) 한국사회에서 청년문제의 핵심은 무엇이고 왜 개개인의 노력만으로 해결할...
[독후감] 등대지기를 읽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