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심리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
1) 신뢰도의 개념
2) 신뢰도의 종류
① 검사-재검사 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 A - A
② 동형 검사 신뢰도(parallel forms reliability) A - A'
③ 반분신뢰도(split half reliability)
④ 내적 일관성 신뢰도(internal consistency)
⑤ 채점자 신뢰도
3)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2. 타당도
1) 타당도(validity)의 개념
2) 타당도의 종류
①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② 예언타당도(predictive validity)
③ 공인타당도 (concurrent validity)
④ 구인타당도 (construct validity)
⑤ 요인타당도(factorial validity)
3) 타당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신뢰도의 개념
2) 신뢰도의 종류
① 검사-재검사 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 A - A
② 동형 검사 신뢰도(parallel forms reliability) A - A'
③ 반분신뢰도(split half reliability)
④ 내적 일관성 신뢰도(internal consistency)
⑤ 채점자 신뢰도
3)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2. 타당도
1) 타당도(validity)의 개념
2) 타당도의 종류
①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② 예언타당도(predictive validity)
③ 공인타당도 (concurrent validity)
④ 구인타당도 (construct validity)
⑤ 요인타당도(factorial validity)
3) 타당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문내용
는 중간정도 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보여 야 하는 반면, 관련이 없는 특성을 측정하고 있는 검사와는 매우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거나 전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 을 경우 지지된다.
- 검사자들이 가정해놓은 가정, 가설을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 : 알콜중독 처럼 ‘인터넷 중독’ 이란 것이 있는 것 같다.
( 구 인 )
인정받지 않는 인터넷 중독 이라는 구인을 제대로 측정하는가 하는 것이다.
인터넷 중독시에 나타나는 특징들을 목록으로 만들고, 새로 만든 검사 시행시 점수가
높은 사람들이 과연 그 특징들이 높게 나타나는지를 비교.
⑤ 요인타당도(factorial validity)
요인타당도는 요인분석을 통하여 입증되는 구인타당도의 한 형태이다.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은 일련의 변수들의 상관을 분석하고 변수들을 몇 개의 요 인으로 수렴 분류하여 상호관계를 설명하는 수리적 절차이다.
예: 검사를 실시. -> 결과
요인분석 방법을 가지고 검사.
지능검사를 실시하였을때, 지능의 기억, 언어, 수리, 공간 영역의 측정이 잘 되었는지
피검사자들 1000명에게 몇 개의 요인을 측정하는 것 같으냐고 물어보아 4가지(기억. 언어 수리 공 간)이 나왔다고 하면 타당도가 높다고 한다.
3) 타당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장 중요한 요인은 검사의 준거측정치의 신뢰도이다. 또한 집단의 이질성 요인,
즉 다른 조건이 같을 때 집단이 이질적일수록 타당도 계수는 높아진다. 그 밖에
피검자의 반응경향(response tendency or set)이나 허위반응(faking response)등
이 영향을 주기 쉽다.
- 검사자들이 가정해놓은 가정, 가설을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 : 알콜중독 처럼 ‘인터넷 중독’ 이란 것이 있는 것 같다.
( 구 인 )
인정받지 않는 인터넷 중독 이라는 구인을 제대로 측정하는가 하는 것이다.
인터넷 중독시에 나타나는 특징들을 목록으로 만들고, 새로 만든 검사 시행시 점수가
높은 사람들이 과연 그 특징들이 높게 나타나는지를 비교.
⑤ 요인타당도(factorial validity)
요인타당도는 요인분석을 통하여 입증되는 구인타당도의 한 형태이다.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은 일련의 변수들의 상관을 분석하고 변수들을 몇 개의 요 인으로 수렴 분류하여 상호관계를 설명하는 수리적 절차이다.
예: 검사를 실시. -> 결과
요인분석 방법을 가지고 검사.
지능검사를 실시하였을때, 지능의 기억, 언어, 수리, 공간 영역의 측정이 잘 되었는지
피검사자들 1000명에게 몇 개의 요인을 측정하는 것 같으냐고 물어보아 4가지(기억. 언어 수리 공 간)이 나왔다고 하면 타당도가 높다고 한다.
3) 타당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장 중요한 요인은 검사의 준거측정치의 신뢰도이다. 또한 집단의 이질성 요인,
즉 다른 조건이 같을 때 집단이 이질적일수록 타당도 계수는 높아진다. 그 밖에
피검자의 반응경향(response tendency or set)이나 허위반응(faking response)등
이 영향을 주기 쉽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