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왜 하필 디즈니인가?
2. 백인 부르주아 이데올로기 디즈니의 위선과 기만
3. 디즈니를 넘기 위해서
Ⅲ. 결론
Ⅱ. 본론
1. 왜 하필 디즈니인가?
2. 백인 부르주아 이데올로기 디즈니의 위선과 기만
3. 디즈니를 넘기 위해서
Ⅲ. 결론
본문내용
모 상업적 기업들일 것이다.
Ⅲ. 결론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자본주의 체제이다. 그리고 1990년 이후 자본주의는 전세계적 지배 체제이다.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체제에서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은 분리되어 작동할 수 없다는 것은 자명하다.
그런 의미에서 디즈니에 대한 반대는 문화적 측면에서의 반대만을 뜻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즈니로 대표되는 자본주의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와 사회 체제에 대한 전면적인 저항이 있을 때만이 디즈니의 이데올로기를 분쇄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저자인 헨리 지루는 디즈니를 '비판적으로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공교육을 통해 길러내는 것이 대안이라고 주장한다. 이미 학교 제도와 교육, 언론 매체 등이 디즈니와 같은 자본가들에 의해 장악되어 체계적으로 부르주아 지배 이데올로기가 침투하여 당연시되는 사회에서 헨리 지루의 주장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디즈니에 대한 진정한 대안은 노동자 계급에 달려 있다. 디즈니와 같은 문화 기업이나 공교육 제도 그리고 언론 매체 등에서 일하는, 생산의 주체인 노동자들이 회사와 사회를 통제하고 운영할 수 있을 때, 디즈니의 위선과 기만은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또한 경쟁과 이윤의 논리가 판을 치는 자본주의 체제에 맞서 대안적 사회를 고민하고 실천하는 것과 분리되어 있지 않다.
디즈니의 만화 영화 등이 노동자들의 돈에 의해 생산되고 운영될 때, 지금과 같이 사람들에게 철저한 소비 양식과 인종 차별, 성 차별, 계급 차별을 유포시키는 디즈니가 아닌 평등하고 자유로운 사람들의 이야기가 살아 숨쉬는 디즈니표 만화 영화가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Ⅲ. 결론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자본주의 체제이다. 그리고 1990년 이후 자본주의는 전세계적 지배 체제이다.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체제에서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은 분리되어 작동할 수 없다는 것은 자명하다.
그런 의미에서 디즈니에 대한 반대는 문화적 측면에서의 반대만을 뜻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즈니로 대표되는 자본주의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와 사회 체제에 대한 전면적인 저항이 있을 때만이 디즈니의 이데올로기를 분쇄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저자인 헨리 지루는 디즈니를 '비판적으로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공교육을 통해 길러내는 것이 대안이라고 주장한다. 이미 학교 제도와 교육, 언론 매체 등이 디즈니와 같은 자본가들에 의해 장악되어 체계적으로 부르주아 지배 이데올로기가 침투하여 당연시되는 사회에서 헨리 지루의 주장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디즈니에 대한 진정한 대안은 노동자 계급에 달려 있다. 디즈니와 같은 문화 기업이나 공교육 제도 그리고 언론 매체 등에서 일하는, 생산의 주체인 노동자들이 회사와 사회를 통제하고 운영할 수 있을 때, 디즈니의 위선과 기만은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또한 경쟁과 이윤의 논리가 판을 치는 자본주의 체제에 맞서 대안적 사회를 고민하고 실천하는 것과 분리되어 있지 않다.
디즈니의 만화 영화 등이 노동자들의 돈에 의해 생산되고 운영될 때, 지금과 같이 사람들에게 철저한 소비 양식과 인종 차별, 성 차별, 계급 차별을 유포시키는 디즈니가 아닌 평등하고 자유로운 사람들의 이야기가 살아 숨쉬는 디즈니표 만화 영화가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대중문화에대해-개념,헤게모니이론,하위문화
대중문화속의 힙합문화
[대중문화의 이해]한국 대중문화의 성격과 실체비판 (A+리포트)
<문화>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현대문화분석 - 문화산업 (계몽의 변증법) & 문화연구의 두개의 패러다임 (현대사회와 대...
[대중문화와매스컴미디어] 인터넷 댓글문화와 침묵의 나선이론을 통한 댓글문화의 특성분석
[미디어 리터러시][컴퓨터 리터러시][디지털 리터러시][대중문화컨텐츠 리터러시][멀티 리터...
대중문화의 개념 및 특징과 과거와 현대의 대중문화 조사분석과 나아가야 할 길
[1950년대, 모더니즘, 문학, 희곡, 대중문화, 국가정책]1950년대의 모더니즘, 1950년대의 문...
[헤르만 헤세][헤르만 헤세 출생][헤르만 헤세 종교][내면세계][음악세계][대중문화]헤르만 ...
[대중문화] 아이돌 팬덤(fandom)문화의 변질에 대한 비판적 분석 - 국내 대중가수 팬덤을 중...
[대중문화와 기독교] CCM(contemporary christian music)과 대중문화
대중문화의 이해 “젊은 세대의 자유분방한 문화적 에너지가 과거와는 다른 자발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