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구려의 역사적 상황
2. 평양성 천도(장수왕 15년-427년)의 배경
3. 평양천도 이후에 따른 대내외적인 영향 및 변화
4. 평양천도의 역사적 의의
Ⅲ. 총 결론 및 조사하면서 느낀 점
* 참고자료
Ⅱ. 본론
1. 고구려의 역사적 상황
2. 평양성 천도(장수왕 15년-427년)의 배경
3. 평양천도 이후에 따른 대내외적인 영향 및 변화
4. 평양천도의 역사적 의의
Ⅲ. 총 결론 및 조사하면서 느낀 점
* 참고자료
본문내용
구려를 비롯한 한반도 전체를 하나의 동방문화권으로 인식
Ⅲ 총 결론 및 조사하면서 느낀 점
주제선정이유에서도 말했듯이 첨에는 평양천도의 이유 중에 고구려의 천하관이 있다는 얘기에 고무되어 조사를 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조사과정에서 평양천도의 실질적인 이유가 천하관이 아닌 다른 각도에서 여러 가지로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파악했고 천하관이 평양천도의 주된 이유가 아니라 후대에 사람들이 갖다 붙인 일종의 명분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그래서 처음에는 천하관에 가졌던 막연한 호기심과 환상이 사라져서 약간은 의기소침한 부분이 있었지만
천하관이라는 것이 장수왕 당시에 국가체제정비라는 역사적 명제속에 특히 의식적인 측면에서 국가의 정체성과 존엄성을 확립하는데 필수적으로 만들어진 지배층의 일종의 통치이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고구려의 입장에서 뿐 만 아니라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입장에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우리는 우리나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국가, 민족, 문화에 대한 정체성 및 자부심을 갖고 있는가? 역사적으로 중국과 미국에 대한 사대주의 그리고 그들의 그늘에서 여태껏 벗어나지 못했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자괴감 혹은 실망을 해본 적이 있는가?
21세기 문화전쟁의 시대에 중요해진 문화산업의 핵심적이고 차별화되면서 지속적인 경쟁력이 될 수 있는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세계화 국제화를 외치는 시대의 흐름속에서 국가와 민족과 문화에 대한 정체성 및 자부심이 결여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과연 고구려의 천하관은 우리에게 무엇이고 어떤 의미가 있는지 진지하게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 참고서적
-한국 생활사 박물관 (사계절출판사)
-신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웅진출판사 박영규저)
-고구려의 발견 : 새로 쓰는 고구려 문명사 (바다출판사 김용만저)
-다시 찾은 고구려 정사 (을지서적 오종철저)
-한국사 그 끝나지 않는 의문 (다우출판사 이희근저)
-고구려 특별전 (통천문화사 서울대학교박물관)
-고구려 고분벽화연구 (사계절출판사 전호태저)
-고구려인의 삶과 정신 (혜안 서병국저)
-고구려사의 제문제 (신서원 손영종저)
-고구려 역사연구: 평양천도와 고구려의 강성 (백산자료원 채희국저)
-고구려 역사 유적답사 (사계절출판사 서길수저)
-고구려 영역 확장사 연구 (서경문화사 공석귀저)
-말타고 고구려가다 (청노루 윤명철)
* 가볼만한 싸이트
-http://www.koguryo.org
-http://www.parkbae.com
-http://www.kokooryu.com
-http://www.museum.go
-http://www.hongik.ac.kr
-http://www.abouthistory.net/
-http://histopia.new21.org
-http://cafe.daum.net/yeoksa
-http://www.kbs.co.kr/history
-http://my.netian.com/~ulpang
-http://user.chollian.net/~heart003
-http://www.shinbiro.com/~parhae
-http://www.koguryo.pe.kr
-http://www.shinbiro.com/~sunin.
-http://members.tripod.co.kr/lytg
-http://user.chollian.net/~kbw007
-http://members.tripod.co.kr/biryusu
-http://myhome.netsgo.com/hsg3104
-http://user.chollian.net/~cnswn
-http://plex82.new21.net
-http://www.kebi.com/~cometrue
Ⅲ 총 결론 및 조사하면서 느낀 점
주제선정이유에서도 말했듯이 첨에는 평양천도의 이유 중에 고구려의 천하관이 있다는 얘기에 고무되어 조사를 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조사과정에서 평양천도의 실질적인 이유가 천하관이 아닌 다른 각도에서 여러 가지로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파악했고 천하관이 평양천도의 주된 이유가 아니라 후대에 사람들이 갖다 붙인 일종의 명분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그래서 처음에는 천하관에 가졌던 막연한 호기심과 환상이 사라져서 약간은 의기소침한 부분이 있었지만
천하관이라는 것이 장수왕 당시에 국가체제정비라는 역사적 명제속에 특히 의식적인 측면에서 국가의 정체성과 존엄성을 확립하는데 필수적으로 만들어진 지배층의 일종의 통치이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고구려의 입장에서 뿐 만 아니라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입장에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우리는 우리나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국가, 민족, 문화에 대한 정체성 및 자부심을 갖고 있는가? 역사적으로 중국과 미국에 대한 사대주의 그리고 그들의 그늘에서 여태껏 벗어나지 못했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자괴감 혹은 실망을 해본 적이 있는가?
21세기 문화전쟁의 시대에 중요해진 문화산업의 핵심적이고 차별화되면서 지속적인 경쟁력이 될 수 있는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세계화 국제화를 외치는 시대의 흐름속에서 국가와 민족과 문화에 대한 정체성 및 자부심이 결여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과연 고구려의 천하관은 우리에게 무엇이고 어떤 의미가 있는지 진지하게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 참고서적
-한국 생활사 박물관 (사계절출판사)
-신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웅진출판사 박영규저)
-고구려의 발견 : 새로 쓰는 고구려 문명사 (바다출판사 김용만저)
-다시 찾은 고구려 정사 (을지서적 오종철저)
-한국사 그 끝나지 않는 의문 (다우출판사 이희근저)
-고구려 특별전 (통천문화사 서울대학교박물관)
-고구려 고분벽화연구 (사계절출판사 전호태저)
-고구려인의 삶과 정신 (혜안 서병국저)
-고구려사의 제문제 (신서원 손영종저)
-고구려 역사연구: 평양천도와 고구려의 강성 (백산자료원 채희국저)
-고구려 역사 유적답사 (사계절출판사 서길수저)
-고구려 영역 확장사 연구 (서경문화사 공석귀저)
-말타고 고구려가다 (청노루 윤명철)
* 가볼만한 싸이트
-http://www.koguryo.org
-http://www.parkbae.com
-http://www.kokooryu.com
-http://www.museum.go
-http://www.hongik.ac.kr
-http://www.abouthistory.net/
-http://histopia.new21.org
-http://cafe.daum.net/yeoksa
-http://www.kbs.co.kr/history
-http://my.netian.com/~ulpang
-http://user.chollian.net/~heart003
-http://www.shinbiro.com/~parhae
-http://www.koguryo.pe.kr
-http://www.shinbiro.com/~sunin.
-http://members.tripod.co.kr/lytg
-http://user.chollian.net/~kbw007
-http://members.tripod.co.kr/biryusu
-http://myhome.netsgo.com/hsg3104
-http://user.chollian.net/~cnswn
-http://plex82.new21.net
-http://www.kebi.com/~cometru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