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Wood unit 이하일 때에는 수술의 적응증이 되나, 폐고혈압이 심하여 단락의 방향이 주로 우→좌인 경우에는 수술을 할 수 없다.
영아의 수술 위험률이 낮아진 근래에는 심첨부의 다발성 근성부 결손 등 일부 고위험군을 제외하고는 완화적 방법으로 쓰이는 폐동맥 banding은 거의 시행하지 않는 경향이다. 수술이 까다로운 이 결손의 경우 최근 심도자술로 기구를 이용한 폐쇄가 시도되고 있다. (결손 부위가 작을 때는 purse-string approach로 교정, 결손 부위가 클 때는 개구부에 Dacron조각을 부착 - 두 가지 처치는 모두 cardiopulmonary by pass를 통해 이루어진다.)
<참고문헌>
김미예 외(1999), 아동간호학, 수문사
홍창의 편(제 7판), 소아과학, 대한교과서
영아의 수술 위험률이 낮아진 근래에는 심첨부의 다발성 근성부 결손 등 일부 고위험군을 제외하고는 완화적 방법으로 쓰이는 폐동맥 banding은 거의 시행하지 않는 경향이다. 수술이 까다로운 이 결손의 경우 최근 심도자술로 기구를 이용한 폐쇄가 시도되고 있다. (결손 부위가 작을 때는 purse-string approach로 교정, 결손 부위가 클 때는 개구부에 Dacron조각을 부착 - 두 가지 처치는 모두 cardiopulmonary by pass를 통해 이루어진다.)
<참고문헌>
김미예 외(1999), 아동간호학, 수문사
홍창의 편(제 7판), 소아과학, 대한교과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