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제 강점기의 희곡
1) 시대개관
2) 1910년대 희곡 : 조일제, 이광수, 윤백남, 최승만
3) 1920년대 희곡
4) 1930년대 희곡
2. 해방 이후 1960년까지의 연극
1) 들어가는 말
2) 해방기 민족 연극의 진로
3) 전쟁 이후 남한 연극의 쇠퇴
3. 1960-1970년대의 희곡
1) 시대 개관
2) 사실주의극 계열의 작가와 작품들
3) 탈사실주의 계열의 작가와 작품
4) 사회 풍자적인 마당극·마당굿
5) 전통문화의 수용과 실험극
4. 1980-1990년대의 희곡
1) 시대개관
2) 1980년대 희곡문학의 양상
3) 1990년대 초반 희곡문학의 양상
1) 시대개관
2) 1910년대 희곡 : 조일제, 이광수, 윤백남, 최승만
3) 1920년대 희곡
4) 1930년대 희곡
2. 해방 이후 1960년까지의 연극
1) 들어가는 말
2) 해방기 민족 연극의 진로
3) 전쟁 이후 남한 연극의 쇠퇴
3. 1960-1970년대의 희곡
1) 시대 개관
2) 사실주의극 계열의 작가와 작품들
3) 탈사실주의 계열의 작가와 작품
4) 사회 풍자적인 마당극·마당굿
5) 전통문화의 수용과 실험극
4. 1980-1990년대의 희곡
1) 시대개관
2) 1980년대 희곡문학의 양상
3) 1990년대 초반 희곡문학의 양상
본문내용
추천자료
[현대희곡개론] 일그러진 미국인의 초상: Who's Afraid of Virginia Woolf?의 등장인물을 중...
한국 현대 문학사 (40년대 해방공간의 좌우논쟁)
[현대희곡] Brecht의 The Threepenny Opera에 나타난 희극적 결말의 아이러니
[현대 스페인 희곡선] 감상문
중국문학사(선진~현대)
현대 문학사의 주요 논쟁 중 세대론-순수문학 이론 논쟁
현대 문학사
한국 근현대 문학사 연도별 정리 (시, 소설, 수필,극)
이광수의 '무정'이 현대소설의 기점이 되는 이유와 문학사적 의의
[현대문학강독]이인직의 혈의루, 은세계 중 1편을 골라 읽고 작품의 줄거리와 문학사적 의미...
[현대문학] 1940년대 문학사
[가족문제][가족해체]가족문제의 구조, 가족문제의 출현, 가족문제와 가족제도, 가족문제와 ...
문학사의 연속성-고전의 현대적 재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