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구원의 이해
2. 구원과 성경말씀
3. 구원의 확신
4. 구원의 길
5. 구원 치료의 단계
6. 구원 상담의 모델
7. 구원 받은 그리스도인의 삶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구원의 이해
2. 구원과 성경말씀
3. 구원의 확신
4. 구원의 길
5. 구원 치료의 단계
6. 구원 상담의 모델
7. 구원 받은 그리스도인의 삶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 Thomas Watson, Repentance, 이기양 역,「회개」(서울: 기독교 문서 선교회, 1992), 17.
구원 얻은 진실한 그리스도인은 이렇듯 하나님의 성결의 은혜, 즉 중생의 삶에서 자유 해야 한다. 하나님께 주시는 일차적 은혜인 이 중생의 삶 속에서 더욱 성숙된 신앙인으로 거듭나야 한다.
6) 헌신의 삶
그리스도께 삶을 헌신하려는 사람은 자신의 욕망을 기꺼이 죽이고 모든 것을 포기해야 한다. 예수님은 다음과 같은 심각한 말로 모든 사람에게 도전하신다. “무릇 내게 오는 자가 자기 부모와 처자와 형제와 자매와 및 자기 목숨까지 미워하지 아니하면 능히 나의 제자가 되지 못하고”(눅 14:26; 요 12:24, 25; 눅 18:22, 23).
Ⅲ. 결론
구원은 죄로부터 자유함을 얻는 것과 사단의 권세 혹은 압제로부터 자유함을 얻는 것이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영원한 구원에 이를 수 있다고 본론에서 언급하였다. 이를 토대로 구원의 소극적, 긍정적인 면을 살폈고 성경에 나타난 구원, 구원의 확신과 구원으로 이끄는 길, 구원치료의 두 단계 즉, 자신의 회개와 칭의(용납)에 대하여도 연구하였다. 또한 구원상담의 모델로 막달라 마리아와 간음 중에 붙들린 여인 그리고 사마리아 여인에 대하여도 알아보았고 구원 얻는 그리스도인의 삶으로 하나님과 끊임없는 교제, 하나님께 전적인 순종, 정직한 삶, 중생과 헌신의 삶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구원상담을 어떻게 할 것인가. 구원 상담을 위해서 꼭 전제가 되어야 할 것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 많은 것들을 내담자에게 가르치며 설명하기에는, 내담자가 모든 것을 다 이해하고 받아들이기에는, 짧은 시간이 아닌 많은 시간과 열정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성경은 분명 말씀하고 계신다. 하나님께서 태초부터 죄에 빠진 인간을 구원하시고자 독생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죄 많은 세상 가운데 구원자로 보내셨다. 모든 사람은 그를 믿음으로 구원 얻은 하나님의 백성이 되는 것이다.
Ⅳ. 참고문헌
Adams, J. E. Competent to Counsel. 정정숙 역.「목회 상담학」. 서울: 총신대학출판부. 1981.
Adams, Jay E. A Theology of Christian Counseling. 류근상, 원준자 역.「기독교 상담신학」.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0.
Aycock, Don M. Symbols of Salvation. 김승진 역. 「구원의 상징들」. 서울: 요단. 1983.
Barclay, William. The Mind of ST Paul. 박문재 역.「바울신학개론」.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Bridges, Jerry. The Pursuit of Holiness. 네비게이토 역.「거룩한 삶의 추구」. 서울: 네비게이토. 1986.
Bruce, F. F. Paul: Apostle of the Heart Set Free. 정원태 역.「바울신학」.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87.
Buchanan, Duncan. The Counseling of Jesus. 박형중 역.「예수의 상담」. 서울: 요단. 1990.
Guthrie, Donald. A Shorter Life of Christ. 나단 편집부 역.「그리스도의 생애」. 서울: 도서출판 나단. 1993.
Hybels, Bill. Transparency. 하신숙 역.「정직」. 서울: 두란노. 1998.
Kummel, Werner Georg. Die Theologie des Neuen Testaments nach Seinen Hauptieugen JesusPaulusJohannes. 박창건 역.「신약성서 신학」. 서울: 성광문화사. 1985.
Lice, John. A Konw-So Salvation. 유화자 역.「구원의 길」.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77.
Murray, Andrew. The Blessings of Obedience. 권명달 역.「순종의 축복」. 서울: 보이시사. 1992.
Pawson, David. Once Saved, Always Saved?. 박대영 역. 「한 번 구원은 영원한 구원인가?」. 서울: 모리아. 2000.
Piny, Charles G. True and False Repentance. 지상우 역.「구원에 이르는 회개」. 서울: 은성. 1986.
Reymond, Robert L. Paul Missionary Theologian. 원광연 역.「바울의 생애와 신학」. 고양: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3.
Smith, Wilbur M. Biblical Doctrine of Heaven. 손주철 역.「이것이 천국이다」.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5.
Stafford, Kenneth. Handbook for Helping Others. 강승문 역.「기독교 상담 지침서」.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1.
Stuart, James S. The Life and Teaching of Jesus Christ. 김정훈 역.「예수의 생애와 교훈」. 서울: 기독교. 1995.
Turner, Clyde J. Soul-Winning Doctrines. 고명순 역.「구원의 교리」. 서울: 침례회. 1977.
Watson, Thomas. Repentance. 이기양 역.「회개」. 서울: 기독교 문서 선교회. 1992.
Whitney, Danald S. How Can I Be Sure I'm a Christian?. 네비게이토 역.「구원의 확신」. 서울: 네이비게이토. 1997.
Lake, Frank. Clinical Theology. Darton. Longman & Todd. 1966.
Lenski, R. C. H. The Interpretation of Mattew's Gospel. Columbus. OH: Wartburg. 1943.
Ryrie, Charles C. Dispensationlism Today . Chicago: Moody. 1965.
Tillich, Paul. Systematic Theology, Vol. Ⅱ. Chicag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7.
구원 얻은 진실한 그리스도인은 이렇듯 하나님의 성결의 은혜, 즉 중생의 삶에서 자유 해야 한다. 하나님께 주시는 일차적 은혜인 이 중생의 삶 속에서 더욱 성숙된 신앙인으로 거듭나야 한다.
6) 헌신의 삶
그리스도께 삶을 헌신하려는 사람은 자신의 욕망을 기꺼이 죽이고 모든 것을 포기해야 한다. 예수님은 다음과 같은 심각한 말로 모든 사람에게 도전하신다. “무릇 내게 오는 자가 자기 부모와 처자와 형제와 자매와 및 자기 목숨까지 미워하지 아니하면 능히 나의 제자가 되지 못하고”(눅 14:26; 요 12:24, 25; 눅 18:22, 23).
Ⅲ. 결론
구원은 죄로부터 자유함을 얻는 것과 사단의 권세 혹은 압제로부터 자유함을 얻는 것이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영원한 구원에 이를 수 있다고 본론에서 언급하였다. 이를 토대로 구원의 소극적, 긍정적인 면을 살폈고 성경에 나타난 구원, 구원의 확신과 구원으로 이끄는 길, 구원치료의 두 단계 즉, 자신의 회개와 칭의(용납)에 대하여도 연구하였다. 또한 구원상담의 모델로 막달라 마리아와 간음 중에 붙들린 여인 그리고 사마리아 여인에 대하여도 알아보았고 구원 얻는 그리스도인의 삶으로 하나님과 끊임없는 교제, 하나님께 전적인 순종, 정직한 삶, 중생과 헌신의 삶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구원상담을 어떻게 할 것인가. 구원 상담을 위해서 꼭 전제가 되어야 할 것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 많은 것들을 내담자에게 가르치며 설명하기에는, 내담자가 모든 것을 다 이해하고 받아들이기에는, 짧은 시간이 아닌 많은 시간과 열정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성경은 분명 말씀하고 계신다. 하나님께서 태초부터 죄에 빠진 인간을 구원하시고자 독생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죄 많은 세상 가운데 구원자로 보내셨다. 모든 사람은 그를 믿음으로 구원 얻은 하나님의 백성이 되는 것이다.
Ⅳ. 참고문헌
Adams, J. E. Competent to Counsel. 정정숙 역.「목회 상담학」. 서울: 총신대학출판부. 1981.
Adams, Jay E. A Theology of Christian Counseling. 류근상, 원준자 역.「기독교 상담신학」.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0.
Aycock, Don M. Symbols of Salvation. 김승진 역. 「구원의 상징들」. 서울: 요단. 1983.
Barclay, William. The Mind of ST Paul. 박문재 역.「바울신학개론」.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Bridges, Jerry. The Pursuit of Holiness. 네비게이토 역.「거룩한 삶의 추구」. 서울: 네비게이토. 1986.
Bruce, F. F. Paul: Apostle of the Heart Set Free. 정원태 역.「바울신학」.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87.
Buchanan, Duncan. The Counseling of Jesus. 박형중 역.「예수의 상담」. 서울: 요단. 1990.
Guthrie, Donald. A Shorter Life of Christ. 나단 편집부 역.「그리스도의 생애」. 서울: 도서출판 나단. 1993.
Hybels, Bill. Transparency. 하신숙 역.「정직」. 서울: 두란노. 1998.
Kummel, Werner Georg. Die Theologie des Neuen Testaments nach Seinen Hauptieugen JesusPaulusJohannes. 박창건 역.「신약성서 신학」. 서울: 성광문화사. 1985.
Lice, John. A Konw-So Salvation. 유화자 역.「구원의 길」.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77.
Murray, Andrew. The Blessings of Obedience. 권명달 역.「순종의 축복」. 서울: 보이시사. 1992.
Pawson, David. Once Saved, Always Saved?. 박대영 역. 「한 번 구원은 영원한 구원인가?」. 서울: 모리아. 2000.
Piny, Charles G. True and False Repentance. 지상우 역.「구원에 이르는 회개」. 서울: 은성. 1986.
Reymond, Robert L. Paul Missionary Theologian. 원광연 역.「바울의 생애와 신학」. 고양: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3.
Smith, Wilbur M. Biblical Doctrine of Heaven. 손주철 역.「이것이 천국이다」.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5.
Stafford, Kenneth. Handbook for Helping Others. 강승문 역.「기독교 상담 지침서」.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1.
Stuart, James S. The Life and Teaching of Jesus Christ. 김정훈 역.「예수의 생애와 교훈」. 서울: 기독교. 1995.
Turner, Clyde J. Soul-Winning Doctrines. 고명순 역.「구원의 교리」. 서울: 침례회. 1977.
Watson, Thomas. Repentance. 이기양 역.「회개」. 서울: 기독교 문서 선교회. 1992.
Whitney, Danald S. How Can I Be Sure I'm a Christian?. 네비게이토 역.「구원의 확신」. 서울: 네이비게이토. 1997.
Lake, Frank. Clinical Theology. Darton. Longman & Todd. 1966.
Lenski, R. C. H. The Interpretation of Mattew's Gospel. Columbus. OH: Wartburg. 1943.
Ryrie, Charles C. Dispensationlism Today . Chicago: Moody. 1965.
Tillich, Paul. Systematic Theology, Vol. Ⅱ. Chicag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