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울시
고양시
부천시
안양시
안산시
의정부시
인천시
남양주시
광명시
시흥시
원주시
군포시
강릉시
아산시
이천시
구리시
김포시
논산시
공주시
삼척시
고양시
부천시
안양시
안산시
의정부시
인천시
남양주시
광명시
시흥시
원주시
군포시
강릉시
아산시
이천시
구리시
김포시
논산시
공주시
삼척시
본문내용
거쳐 놀뫼까지 들어와 이 마을 이름이 이지방의 지명을 대표하게 되었다. 시골의 5일장이 존재할 때까지 논산장을 '놀미장'이라고 불러온 것으로 보아도 알 수 있다.
고깃배들이 여기까지 들어와 시장을 이루면서 통용되던 지명이기에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논산리가 사라지고 대교리와 산동리로 나뉘어 지명은 바뀌었지만 논산면으로 새롭게 등장하게 되었다. '놀뫼'의 지명을 한자로 표기할 때 음과 뜻을 빌어 논산으로 지어졌을 뿐인 것 같다. 논산면이 논산읍으로 승격되고 논산시의 중심지가 되었다.
19. 공주시
공주시는 삼한시대에는 마한의 불운국(不雲國)이었고, 백제가 위례성(慰禮城)에서 웅진으로 도읍을 옮긴 475년(문주왕 1) 이후 538년(성왕 16) 부여로 천도하기까지 약 60년간 백제의 수도였다.
백제가 멸망한 후 중국 당(唐)나라가 웅진도독부(熊津都督部)를 두었고, 670년(문무왕 10) 신라가 차지한 후, 686년(신문왕 6) 웅천주(熊川州)를 설치하여 13개 군 29개 현을 통할하게 하였다.
757년(경덕왕 16)에는 웅주로 개칭하였다가 940년(태조 23) 공주로 개칭하였다. 983년(성종 2) 공주목이 되었으며, 993년에는 하남도(河南道)에 속하였고, 1341년(충혜왕 2)에는 목으로 승격되었다.
조선 세조 때에는 공주에 진관이 설치되었으며, 1598년(선조 31) 충청감영이 충주에서 공주로 이전되었다. 그 후 1895년(고종 32) 공주군으로 개편되었고 이듬해에는 충청남도의 도청소재지가 되었다. 1931년 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하였고, 1938년 공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86년 1월 공주읍이 공주시로 승격되면서 공주시와 공주군으로 분리되었고, 1995년 1월 다시 통합되어 도농복합형(都農複合型)의 공주시로 되었다. 1998년 봉화동이 중앙동에 통합되고, 금호동이 신관동에 통합되었다.
2001년 현재 유구읍과 계룡·반포·사곡·신풍·우성·탄천·의당·이인·장기·정안면, 중학·산성·웅진·금학·옥룡·신관동 등 1읍 10면 6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20. 삼척시
실직국(悉直國)으로 있다가 102년(신라 파사왕 23) 신라에 합병되었다. 505년(지증왕 6) 실직주라 하여 군주(軍主)를 두고, 639년(진덕여왕 8) 진주도독부(眞珠都督府)로 고쳤으며, 760년(경덕왕 19) 삼척군이 되었다. 995년(고려 성종 14) 척주단련사(陟州團練使)를 두고, 1018년(현종 9) 강등되어 삼척현이 되었다.
고깃배들이 여기까지 들어와 시장을 이루면서 통용되던 지명이기에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논산리가 사라지고 대교리와 산동리로 나뉘어 지명은 바뀌었지만 논산면으로 새롭게 등장하게 되었다. '놀뫼'의 지명을 한자로 표기할 때 음과 뜻을 빌어 논산으로 지어졌을 뿐인 것 같다. 논산면이 논산읍으로 승격되고 논산시의 중심지가 되었다.
19. 공주시
공주시는 삼한시대에는 마한의 불운국(不雲國)이었고, 백제가 위례성(慰禮城)에서 웅진으로 도읍을 옮긴 475년(문주왕 1) 이후 538년(성왕 16) 부여로 천도하기까지 약 60년간 백제의 수도였다.
백제가 멸망한 후 중국 당(唐)나라가 웅진도독부(熊津都督部)를 두었고, 670년(문무왕 10) 신라가 차지한 후, 686년(신문왕 6) 웅천주(熊川州)를 설치하여 13개 군 29개 현을 통할하게 하였다.
757년(경덕왕 16)에는 웅주로 개칭하였다가 940년(태조 23) 공주로 개칭하였다. 983년(성종 2) 공주목이 되었으며, 993년에는 하남도(河南道)에 속하였고, 1341년(충혜왕 2)에는 목으로 승격되었다.
조선 세조 때에는 공주에 진관이 설치되었으며, 1598년(선조 31) 충청감영이 충주에서 공주로 이전되었다. 그 후 1895년(고종 32) 공주군으로 개편되었고 이듬해에는 충청남도의 도청소재지가 되었다. 1931년 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하였고, 1938년 공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86년 1월 공주읍이 공주시로 승격되면서 공주시와 공주군으로 분리되었고, 1995년 1월 다시 통합되어 도농복합형(都農複合型)의 공주시로 되었다. 1998년 봉화동이 중앙동에 통합되고, 금호동이 신관동에 통합되었다.
2001년 현재 유구읍과 계룡·반포·사곡·신풍·우성·탄천·의당·이인·장기·정안면, 중학·산성·웅진·금학·옥룡·신관동 등 1읍 10면 6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20. 삼척시
실직국(悉直國)으로 있다가 102년(신라 파사왕 23) 신라에 합병되었다. 505년(지증왕 6) 실직주라 하여 군주(軍主)를 두고, 639년(진덕여왕 8) 진주도독부(眞珠都督府)로 고쳤으며, 760년(경덕왕 19) 삼척군이 되었다. 995년(고려 성종 14) 척주단련사(陟州團練使)를 두고, 1018년(현종 9) 강등되어 삼척현이 되었다.
추천자료
도시개발과 보존(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재개발)
샷포르 눈꽃축제와 우리나라 눈꽃축제와 비교후 문제점과 개선방안.
공간 예술의 이해
심 씨티 과제
백제의 도시 공주답사
덴마크의 자전거 교통정책과 국내 적용 방안 및 적용 시 개선사항
[부에노스아이레스]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의 개관,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
타문화와의 갈등
[논술지도 교수-학습안] 자유롭게 도시의 곰이 되자
[전산정보][도서관][장애인복지시설][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광속상거래]도서관의 전산정보...
현대인의 국제매너[해외여행]
BBQ 중국시장진출-BBQ 글로벌 현지화전략,BBQ 프랜차이즈,BBQ 브랜드파워,브랜드마케팅,서비...
내가 살고 있는 지역사회 주민(이웃 가족 친구 등 주민 1명)을 만나 지역사회문제(복지 관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