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실험도시 개관....................................1P
1. 실험도시 만들게 된 이유
2. 도시형태
3. 공간구조
4. 도로형태
5. 시설
6. 예산전략
Ⅱ 실험도시조감도..............................3~7P
1. 주작구의 모습 (백호동과 청룡동)
2. 현무구의 모습 (기하동과 호개동)
3. 실험도시의 개략정보
Ⅲ 실험도시만들고난 후기........................8P
Ⅰ 실험도시 개관....................................1P
1. 실험도시 만들게 된 이유
2. 도시형태
3. 공간구조
4. 도로형태
5. 시설
6. 예산전략
Ⅱ 실험도시조감도..............................3~7P
1. 주작구의 모습 (백호동과 청룡동)
2. 현무구의 모습 (기하동과 호개동)
3. 실험도시의 개략정보
Ⅲ 실험도시만들고난 후기........................8P
본문내용
도입하여 시설을 많이 만드는데 투자를 하였다.
Ⅱ 실험도시조감도
experiment city의 전체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 지역의 큰 특징은 도시를 가르고 있는 광개토대왕 강이라는 큰 강이 있다는 것이다. 강을 기준으로 오른쪽은 큰 상업 지구와 주택가를 만들었고 왼쪽은 오른쪽에 비해서 좀 작은 상,공업 지구와 대부분이 주택지로 만들었다. 행정구역으로 따지자면 오른쪽은 주작구 왼쪽은 현무구로 하여 주작구는 상업을 중심으로 지대도 높고 고층건물이 많이 세워 소위 부유층을 중심으로 발전시켰고 현무구는 그림에서 보듯 중저층 건물을 많이 세워두었다. 주작구와 현무구 사이에 다리를 네 개를 세워 교통 흐름이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래서 공동화 현상이 보통 낮에 중심업무지구로 몰려있다가 업무가 끝나는 시간이면 주변으로 나가는 현상이라고 보통 배웠는데 실험도시에서 주작구에 대체로 중심업무지구를 토대로 만들었고 주작구의 왼편 백호동과 현무구 대부분을 주거지구로 만들어 보았다.
1. 주작구의 모습 (백호동과 청룡동)
주작구의 백호동의 모습
소밀주거와 소밀상업이 중심으로
되어있다.
그림 오른편은 밀집상업을 중심으
로 건물을 지었다.
주작구의 청룡동의 모습1
백호동에 비해 고층건물이
밀집되어 있고 보험사와 세계적으로 유명한 쌍둥이 빌딩 등이
모여 있어서 번화가이다.
주작구의 청룡동의 모습2
중심업무지구를 벗어난 청룡동의
모습은 소밀상업과 밀집상업
지구로 나타나져 있다.
2. 현무구의 모습 (기하동과 호개동)
현무구의 기하동의 모습
끝에 보이는 것이 쓰레기 매립장
이고 그 주위로 방위 산업체 건물
군사시설이 밀집되어 있다.
또한 저가의 소밀주거가 있다.
현무구의 호개동의 모습
기하동에 비해 주택지역 보다는
상업지역과 밀집주택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하동에
비해 지대가높은 편이다.
3. 실험도시의 개략정보
실험도시
주위의 지역들
실험도시의
재정상태
자문위원들의 의견
현재 토지
용도 상태
Ⅲ 실험도시만들고난 후기
박신오:
처음에 씸씨티 과제가 주어졌을때 조금 난감했었다. 왜냐하면 게임엔 관심이 없는 상태라 어떻게 접근해야 될 지 까우뚱 했었다. 그럴 때 조원들 중에 씸씨티의 경험이 있는 강동진 학생이 갑자기 휴학을 하는 바람에 앞이 깜깜 해졌다.
‘You never know what you can do till you try.’
어떤 일이든 해보기도 전에 포기하지 말라 라는 속담처럼 게임에 문외한 나에게 씸씨티 실습과 함께 한 여경호 학생과 함께 머리를 맞댄 결과 다른 조 보다 조금 더 발전된 그리고 우리가 생각한 도시계획에 부합 했었다. 나무 심고 도로를 놓고 수도관을 연결하는 걸음마 단계에서 어떻게 하면 주택지가 생기고 또 공장을 만들고 전력을 끌어들이고 다른 도시와 연결시켜 교류를 잇게 하는데 까지 관심을 가지고 하면 된다는 것을 또 한번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하다 보니 예산이 바닥나서 항상 최고로 25000달러 빌려서 돈을 갚고 또 모자라면 빌리고 그렇게 해서 만든 도시이다.
가상의 도시이지만 나름 머리 쓰면서 해서 그런지 애착이 간다. 과제를 제출 하고 나도 개인적으로 또 해보고 싶은 게임이다.
목 차
Ⅰ 실험도시 개관....................................1P
1. 실험도시 만들게 된 이유
2. 도시형태
3. 공간구조
4. 도로형태
5. 시설
6. 예산전략
Ⅱ 실험도시조감도..............................3~7P
1. 주작구의 모습 (백호동과 청룡동)
2. 현무구의 모습 (기하동과 호개동)
3. 실험도시의 개략정보
Ⅲ 실험도시만들고난 후기........................8P
Ⅱ 실험도시조감도
experiment city의 전체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 지역의 큰 특징은 도시를 가르고 있는 광개토대왕 강이라는 큰 강이 있다는 것이다. 강을 기준으로 오른쪽은 큰 상업 지구와 주택가를 만들었고 왼쪽은 오른쪽에 비해서 좀 작은 상,공업 지구와 대부분이 주택지로 만들었다. 행정구역으로 따지자면 오른쪽은 주작구 왼쪽은 현무구로 하여 주작구는 상업을 중심으로 지대도 높고 고층건물이 많이 세워 소위 부유층을 중심으로 발전시켰고 현무구는 그림에서 보듯 중저층 건물을 많이 세워두었다. 주작구와 현무구 사이에 다리를 네 개를 세워 교통 흐름이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래서 공동화 현상이 보통 낮에 중심업무지구로 몰려있다가 업무가 끝나는 시간이면 주변으로 나가는 현상이라고 보통 배웠는데 실험도시에서 주작구에 대체로 중심업무지구를 토대로 만들었고 주작구의 왼편 백호동과 현무구 대부분을 주거지구로 만들어 보았다.
1. 주작구의 모습 (백호동과 청룡동)
주작구의 백호동의 모습
소밀주거와 소밀상업이 중심으로
되어있다.
그림 오른편은 밀집상업을 중심으
로 건물을 지었다.
주작구의 청룡동의 모습1
백호동에 비해 고층건물이
밀집되어 있고 보험사와 세계적으로 유명한 쌍둥이 빌딩 등이
모여 있어서 번화가이다.
주작구의 청룡동의 모습2
중심업무지구를 벗어난 청룡동의
모습은 소밀상업과 밀집상업
지구로 나타나져 있다.
2. 현무구의 모습 (기하동과 호개동)
현무구의 기하동의 모습
끝에 보이는 것이 쓰레기 매립장
이고 그 주위로 방위 산업체 건물
군사시설이 밀집되어 있다.
또한 저가의 소밀주거가 있다.
현무구의 호개동의 모습
기하동에 비해 주택지역 보다는
상업지역과 밀집주택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하동에
비해 지대가높은 편이다.
3. 실험도시의 개략정보
실험도시
주위의 지역들
실험도시의
재정상태
자문위원들의 의견
현재 토지
용도 상태
Ⅲ 실험도시만들고난 후기
박신오:
처음에 씸씨티 과제가 주어졌을때 조금 난감했었다. 왜냐하면 게임엔 관심이 없는 상태라 어떻게 접근해야 될 지 까우뚱 했었다. 그럴 때 조원들 중에 씸씨티의 경험이 있는 강동진 학생이 갑자기 휴학을 하는 바람에 앞이 깜깜 해졌다.
‘You never know what you can do till you try.’
어떤 일이든 해보기도 전에 포기하지 말라 라는 속담처럼 게임에 문외한 나에게 씸씨티 실습과 함께 한 여경호 학생과 함께 머리를 맞댄 결과 다른 조 보다 조금 더 발전된 그리고 우리가 생각한 도시계획에 부합 했었다. 나무 심고 도로를 놓고 수도관을 연결하는 걸음마 단계에서 어떻게 하면 주택지가 생기고 또 공장을 만들고 전력을 끌어들이고 다른 도시와 연결시켜 교류를 잇게 하는데 까지 관심을 가지고 하면 된다는 것을 또 한번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하다 보니 예산이 바닥나서 항상 최고로 25000달러 빌려서 돈을 갚고 또 모자라면 빌리고 그렇게 해서 만든 도시이다.
가상의 도시이지만 나름 머리 쓰면서 해서 그런지 애착이 간다. 과제를 제출 하고 나도 개인적으로 또 해보고 싶은 게임이다.
목 차
Ⅰ 실험도시 개관....................................1P
1. 실험도시 만들게 된 이유
2. 도시형태
3. 공간구조
4. 도로형태
5. 시설
6. 예산전략
Ⅱ 실험도시조감도..............................3~7P
1. 주작구의 모습 (백호동과 청룡동)
2. 현무구의 모습 (기하동과 호개동)
3. 실험도시의 개략정보
Ⅲ 실험도시만들고난 후기........................8P
추천자료
[가족제도][가족형태]가족제도와 가족형태의 변화와 전망 분석(가족관계란, 가족제도에 내재...
조직구조의 개념, 조직설계의 변수, 조직구조에 대한 정보처리 관점, 조직구조의 형태 및 설...
[전통가옥][전통가옥 기능][전통가옥 재료][전통가옥 배치형태][전통가옥 구조적 지역차]전통...
[경영조직] 경영조직의 개념(의의, 특징)과 구조 및 경영구조의 조직화와 형태
재난형태의 구조적 변화와 대응 (재난발생 과정에서 나타난 위기관리의 문제점)
[조직구조] 조직구조의 기본형태(유형)
[중소기업의 구조와 형태] 중소기업 특징(대기업과 중소기업 비교)과 형태(조직형태)
[기업구조조정회사, CRV]기업구조조정회사(CRV)의 추진배경, 조직형태, 기업구조조정회사(CRV...
가족의 정의, 가족의 기능, 사회구조와 가족형태의 변화, 가족형태의 변화 전망, 발전모델
사회복지행정론, 조직의 이해, 분류와 조직의 구조적 요인 구조의 형태와 조직화 방법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조직 - 조직구조의 개념, 사회복지조직의 목표와 변화, 사회복지조...
[조직구조의 형태] 조직구조의 유형 (보편적 분류기준에 따른 유형, 구체적 분류기준에 따른 ...
종교형태론 (미르시아 엘리아데, Mircea Eliade) [천공신과 태양, 성의 구조와 형태, 천공]
종교형태론, [마르치아 엘리아데, 성의 구조와 형태, 천공과 천공신, 태양과 태양숭배, 달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