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면 전선 주위에 생기는 자기장의 방향은 어떻게 되는가?
- 전류의 방향이 바뀌듯, 자기장의 방향도 바뀌게 된다.
④ 전류가 흐르는 전선 주위에 생기는 자기장의 방향은 무엇에 따라 달라지는가? - 전류의 방향
⑤ 전류가 흐르는 전선 주위에 생기는 자기장의 세기는 무엇에 따라 달라지는가?
- 직렬로 연결된 전지의 수, 전선 감은 수
⑥ 정전차폐란?
- 전위차가 있는 두 지점을 도선이나 금속면으로 연결하여 전위차를 0으로 만들어 어떠한 정전위나 전파도 통과하지 못하는 것을 정전차폐라고 한다.
심화학습
1. 빛의 성질
① 직진 : 빛이 곧바로(휘어지거나 꺾여지지 않고 바로)나아가는 것.
② 반사 : 빛이 통과하지 않는 물체를 만나 튕겨져 나가는 것.
③ 굴절 : 빛이 투명한 물체를 통과할때, 속도가 떨어져서 약간 꺾여서 나가는 것.
④ 합성 : 빛의 색깔들이 합쳐지는 것.
⑤ 분산 : 합쳐졌던 색깔들이 색깔이 분리된는것.
⑥ 산란 : 빛이 깨져서 퍼지는 것.
2. 굴절의 법칙
(1) 입사 광선과 굴절 광선은 법선의 양쪽에 있고, 두 광선과 법선은 같은 평면상에 있다.
(2) 입사각이 커지면 굴절각도 커진다.
(3) 입사각이 변하면 굴절각도 변하지만 굴절률은 변하지 않는다.
(4) 굴절률 : 서로 다른 물질의 경계면에서 빛이 꺾이는 정도이다.
그림에서 굴절률= = 일정
3. 렌즈에 의한 상
(1) 평면 거울
① 상 : 평면 거울 앞에 물체 AB가 있을 때, 물체에서 나오는 빛이 반사의 법칙에 따라 반사하여 관측자의 눈에 도달하면, 관측자에게는 반사되어 들어온 빛이 마치 거울 뒤 A´B´에서 나오는 것처럼 보인다. 이 때, A´B´를 물체의 상이라고 한다.
② 평면 거울에 의한 상 : 항상 물체의 크기와 같고 좌우가 반대인 상이 거울을 중심으로 같은 거리에 대칭으로 생긴다.
(2) 볼록 거울에 의한 상 : 볼록 거울은 빛을 퍼지게 하고, 물체의 크기보다 항상 작은 상이 맺히며, 실제보다 먼 곳에 있는 것처럼 보이고, 평면 거울보다 넓은 범위를 볼 수 있다. (항상 똑바로 서 있는 상이 맺힌다.).
예) 자동차의 백미러, 커브길의 모퉁이나 슈퍼마켓에 설치하는 거울 등
(3) 오목 거울에 의한 상 : 빛을 모이게 하며, 물체의 위치에 따라 상의 크기가 물체의 크기보다 클 수도, 작을 수도 있다(물체의 위치에 따라 똑바로 서 있는 상이나, 거꾸로 서 있는 상이 맺힐 수가 있다.).
예) 자동차의 전조등, 손전등 등
- 전류의 방향이 바뀌듯, 자기장의 방향도 바뀌게 된다.
④ 전류가 흐르는 전선 주위에 생기는 자기장의 방향은 무엇에 따라 달라지는가? - 전류의 방향
⑤ 전류가 흐르는 전선 주위에 생기는 자기장의 세기는 무엇에 따라 달라지는가?
- 직렬로 연결된 전지의 수, 전선 감은 수
⑥ 정전차폐란?
- 전위차가 있는 두 지점을 도선이나 금속면으로 연결하여 전위차를 0으로 만들어 어떠한 정전위나 전파도 통과하지 못하는 것을 정전차폐라고 한다.
심화학습
1. 빛의 성질
① 직진 : 빛이 곧바로(휘어지거나 꺾여지지 않고 바로)나아가는 것.
② 반사 : 빛이 통과하지 않는 물체를 만나 튕겨져 나가는 것.
③ 굴절 : 빛이 투명한 물체를 통과할때, 속도가 떨어져서 약간 꺾여서 나가는 것.
④ 합성 : 빛의 색깔들이 합쳐지는 것.
⑤ 분산 : 합쳐졌던 색깔들이 색깔이 분리된는것.
⑥ 산란 : 빛이 깨져서 퍼지는 것.
2. 굴절의 법칙
(1) 입사 광선과 굴절 광선은 법선의 양쪽에 있고, 두 광선과 법선은 같은 평면상에 있다.
(2) 입사각이 커지면 굴절각도 커진다.
(3) 입사각이 변하면 굴절각도 변하지만 굴절률은 변하지 않는다.
(4) 굴절률 : 서로 다른 물질의 경계면에서 빛이 꺾이는 정도이다.
그림에서 굴절률= = 일정
3. 렌즈에 의한 상
(1) 평면 거울
① 상 : 평면 거울 앞에 물체 AB가 있을 때, 물체에서 나오는 빛이 반사의 법칙에 따라 반사하여 관측자의 눈에 도달하면, 관측자에게는 반사되어 들어온 빛이 마치 거울 뒤 A´B´에서 나오는 것처럼 보인다. 이 때, A´B´를 물체의 상이라고 한다.
② 평면 거울에 의한 상 : 항상 물체의 크기와 같고 좌우가 반대인 상이 거울을 중심으로 같은 거리에 대칭으로 생긴다.
(2) 볼록 거울에 의한 상 : 볼록 거울은 빛을 퍼지게 하고, 물체의 크기보다 항상 작은 상이 맺히며, 실제보다 먼 곳에 있는 것처럼 보이고, 평면 거울보다 넓은 범위를 볼 수 있다. (항상 똑바로 서 있는 상이 맺힌다.).
예) 자동차의 백미러, 커브길의 모퉁이나 슈퍼마켓에 설치하는 거울 등
(3) 오목 거울에 의한 상 : 빛을 모이게 하며, 물체의 위치에 따라 상의 크기가 물체의 크기보다 클 수도, 작을 수도 있다(물체의 위치에 따라 똑바로 서 있는 상이나, 거꾸로 서 있는 상이 맺힐 수가 있다.).
예) 자동차의 전조등, 손전등 등